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학습자 연구의 지형도: 국내 대학에서의 연구 경향과 미래 과제 = Topographic Map of Adult Learner Research: Research Trends and Future Challenges in Korean Univers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354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성인학습자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성인학습자 특성이 대학 교육의 변화와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연구 주제와 방법론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과 고등교육 정책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를 위해 2004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연구재단(KCI)과 한국학술정보원(KISS)에서 제공하는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대학 성인학습자’를 핵심 키워드로 설정하여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297편의 논문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키워드 빈도 분석, 키워드 간 동시 출현빈도 분석, 중심성 분석 및 커뮤니티 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 2020년대 이후 대학 성인학습자 연구가 급증하였으며, 이는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의 평생교육 기능 강화 요구와 관련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는 ‘평생교육’, ‘원격교육’, ‘자아’, ‘성취’, ‘교육과정’, ‘만족’ 등의 키워드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성인학습자의 심리적 요인, 평생교육 및 원격교육, 학습자 적응과 성취 요인 등 세 가지 주요 연구 영역이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의 성인학습자 연구가 대학 교육의 변화와 긴밀한 관련성을 가지며, 향후 성인학습자의 학습 경험을개선하고 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성인학습자의 지속적인 학습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개인 맞춤형 교육과정, 원격⋅디지털 교육의 확대, 심리⋅정서적 지원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성인학습자의 교육 만족도를높이기 위해 실무 중심의 교육 과정 개발과 학습지원 체계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성인학습자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성인학습자 특성이 대학 교육의 변화와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연...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성인학습자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성인학습자 특성이 대학 교육의 변화와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연구 주제와 방법론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과 고등교육 정책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를 위해 2004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연구재단(KCI)과 한국학술정보원(KISS)에서 제공하는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대학 성인학습자’를 핵심 키워드로 설정하여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297편의 논문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키워드 빈도 분석, 키워드 간 동시 출현빈도 분석, 중심성 분석 및 커뮤니티 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 2020년대 이후 대학 성인학습자 연구가 급증하였으며, 이는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의 평생교육 기능 강화 요구와 관련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는 ‘평생교육’, ‘원격교육’, ‘자아’, ‘성취’, ‘교육과정’, ‘만족’ 등의 키워드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성인학습자의 심리적 요인, 평생교육 및 원격교육, 학습자 적응과 성취 요인 등 세 가지 주요 연구 영역이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의 성인학습자 연구가 대학 교육의 변화와 긴밀한 관련성을 가지며, 향후 성인학습자의 학습 경험을개선하고 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성인학습자의 지속적인 학습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개인 맞춤형 교육과정, 원격⋅디지털 교육의 확대, 심리⋅정서적 지원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성인학습자의 교육 만족도를높이기 위해 실무 중심의 교육 과정 개발과 학습지원 체계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adult learners in Korean universities and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are linked to changes in higher education. It also explores the evolution of re search topics and methodologies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Methods For this study,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24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and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using "university adult learn ers" as the primary keyword. A total of 297 research papers were analyz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net work analysis. The study conducted keyword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community analys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Result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ince the 2020s, research on adult learners in universitie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which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grow ing demand for universities to strengthen their lifelong education functions. The primary research themes revolve around keywords such as "lifelong education," "distance education," "self," "achievement," "curriculum," and "satisfaction." Keyword network analysis identified three major research domains: psychological factors of adult learners, lifelong and distance education, and factors influencing learner adaptation and achievement.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 on adult learners in domestic universities is closely linked to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highlighting the need for new approaches to enhance learning experiences and expand edu cational opportunities for adult learners. In particular, personalized curricula, the expansion of remote and digital ed 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measures are essential to promote continuous learning participation. Additionally, to enhance adult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actice-oriented curricula and strengthen learning support systems, supported by policy initiatives.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adult learners in Korean universities and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are linked to changes in higher education. It also explores the evolution of re search topics and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adult learners in Korean universities and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are linked to changes in higher education. It also explores the evolution of re search topics and methodologies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Methods For this study,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24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and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using "university adult learn ers" as the primary keyword. A total of 297 research papers were analyz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net work analysis. The study conducted keyword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community analys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Result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ince the 2020s, research on adult learners in universitie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which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grow ing demand for universities to strengthen their lifelong education functions. The primary research themes revolve around keywords such as "lifelong education," "distance education," "self," "achievement," "curriculum," and "satisfaction." Keyword network analysis identified three major research domains: psychological factors of adult learners, lifelong and distance education, and factors influencing learner adaptation and achievement.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 on adult learners in domestic universities is closely linked to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highlighting the need for new approaches to enhance learning experiences and expand edu cational opportunities for adult learners. In particular, personalized curricula, the expansion of remote and digital ed 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measures are essential to promote continuous learning participation. Additionally, to enhance adult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actice-oriented curricula and strengthen learning support systems, supported by policy initiativ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