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군의 군사수송과 한반도 해안요새 = Military transportation of Japanese army & Coastal fortresses of Korean peninsu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531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일본군의 대륙침략이라는 시각에서 한반도 해양의 의미를 고찰해보고, 한반도에 해안요새를 구축한 목적을 규명해보고자 했다. 한반도는 섬나라 일본이 러시아를 견제하며 대륙으로 나아가기 위한 토대였다. 일본군을 앞세운 대륙팽창은 해양교통로를 이용한 군사수송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했다. 일본군은 해상교통로와 해상요충지 확보를 위해 한반도 동남해안을 ‘內海化’하여 해상봉쇄를 시도했다.
      일본군은 병력과 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조선에 철도와 항만 시설을 마련하고, 군사시설을 구축했다. 해상교통로와 육상교통로가 만나는 곳에 구축한 것이 해안요새였다. 해안요새는 일본군의 근거지를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내륙으로 진출하는데 역할을 했다. 그 결과 1945년 당시 한반도에 영흥만, 진해만, 부산, 나진, 여수에 일본군 요새사령부가 설치되었고, 항만과 철도가 대규모로 정비되고 기반시설이 만들어졌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일본군의 대륙침략이라는 시각에서 한반도 해양의 의미를 고찰해보고, 한반도에 해안요새를 구축한 목적을 규명해보고자 했다. 한반도는 섬나라 일본이 러시아를 견제하며 대륙...

      이 논문은 일본군의 대륙침략이라는 시각에서 한반도 해양의 의미를 고찰해보고, 한반도에 해안요새를 구축한 목적을 규명해보고자 했다. 한반도는 섬나라 일본이 러시아를 견제하며 대륙으로 나아가기 위한 토대였다. 일본군을 앞세운 대륙팽창은 해양교통로를 이용한 군사수송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했다. 일본군은 해상교통로와 해상요충지 확보를 위해 한반도 동남해안을 ‘內海化’하여 해상봉쇄를 시도했다.
      일본군은 병력과 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조선에 철도와 항만 시설을 마련하고, 군사시설을 구축했다. 해상교통로와 육상교통로가 만나는 곳에 구축한 것이 해안요새였다. 해안요새는 일본군의 근거지를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내륙으로 진출하는데 역할을 했다. 그 결과 1945년 당시 한반도에 영흥만, 진해만, 부산, 나진, 여수에 일본군 요새사령부가 설치되었고, 항만과 철도가 대규모로 정비되고 기반시설이 만들어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meaning of coastal areas of Korean peninsula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inent invasion of Japanese army, and establish the objective in building coastal fortresses along the peninsula. Korean peninsula as for the continent policy of Japan had been the foundation of advancing toward the main continent from an island nation while holding back Russia. Expansion of the Japanese army had been able with the military transportation using routes across the sea. Japanese army suggested the policy of forming the transportation route along the southeast coastal areas of Korean peninsula, to set the marine blockade for securing the route and both strategic points. Japanese army arranged railroads and harbor facilities in Chosun for transporting military force and supplies, and established other military facilities for securing coastal strategic points. They were the coastal fortresses built at the spot where the marine and land transportation route met. The roles of those coastal fortresses were to make themselves as bases for the Japanese army, and to let the army advance into the continent. As a result, the Japanese fortress headquarters were built in Yeongheung bay(永興灣), Jinhae bay(鎭海灣), Busan(釜山), Najin(羅津) and Yeosu(麗水) of Korean peninsula in 1945, and harbors and railroads were arranged on a large scale with the following infrastructur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meaning of coastal areas of Korean peninsula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inent invasion of Japanese army, and establish the objective in building coastal fortresses along the peninsula. Korean peninsula as for the con...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meaning of coastal areas of Korean peninsula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inent invasion of Japanese army, and establish the objective in building coastal fortresses along the peninsula. Korean peninsula as for the continent policy of Japan had been the foundation of advancing toward the main continent from an island nation while holding back Russia. Expansion of the Japanese army had been able with the military transportation using routes across the sea. Japanese army suggested the policy of forming the transportation route along the southeast coastal areas of Korean peninsula, to set the marine blockade for securing the route and both strategic points. Japanese army arranged railroads and harbor facilities in Chosun for transporting military force and supplies, and established other military facilities for securing coastal strategic points. They were the coastal fortresses built at the spot where the marine and land transportation route met. The roles of those coastal fortresses were to make themselves as bases for the Japanese army, and to let the army advance into the continent. As a result, the Japanese fortress headquarters were built in Yeongheung bay(永興灣), Jinhae bay(鎭海灣), Busan(釜山), Najin(羅津) and Yeosu(麗水) of Korean peninsula in 1945, and harbors and railroads were arranged on a large scale with the following infrastruct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한반도 해안요새 구축의 배경
      • Ⅲ. 전쟁 전개에 따른 해안요새의 역할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한반도 해안요새 구축의 배경
      • Ⅲ. 전쟁 전개에 따른 해안요새의 역할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河村弁治, "4.大東亜戦争/4. 朝鮮鉄道/①朝鮮鉄道関係資料, 軍事鉄道記録第3巻4. 大東亜戦争大東亜戦争間に於ける大本營の軍事鉄道施策の概要内地鉄道, 樺太, 台湾鉄道, 朝鮮鉄道を含む5満洲鉄道の①まで"

      2 송규진, "함경선 부설과 길회선 종단항 결정이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나진・웅기・청진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57) : 325-357, 2014

      3 배은선, "한국철도의 남만주철도주식회사 위탁경영시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17 (17): 297-306, 2014

      4 문화재청, "태평양 전쟁 유적(부산․경남․전남 지역) 일제조사 연구용역"

      5 문화재청, "태평양 전쟁 유적(대전․충남․전북․도서 지역) 일제조사연구용역"

      6 문화재청, "태평양 전쟁 유적(대구․경북․충북지역) 일제조사 연구용역"

      7 전상숙, "조선총독정치 연구" 지식산업사 2012

      8 안자코 유카, "조선총독부의 '총동원체제'(1937~1945) 형성 정책"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9 민족문제연구소, "일제하 전시체제기 정책사료총서 7" 학술정보주식회사 2000

      10 정재정, "일제침략과 한국철도(1892~1945)"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1 河村弁治, "4.大東亜戦争/4. 朝鮮鉄道/①朝鮮鉄道関係資料, 軍事鉄道記録第3巻4. 大東亜戦争大東亜戦争間に於ける大本營の軍事鉄道施策の概要内地鉄道, 樺太, 台湾鉄道, 朝鮮鉄道を含む5満洲鉄道の①まで"

      2 송규진, "함경선 부설과 길회선 종단항 결정이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나진・웅기・청진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57) : 325-357, 2014

      3 배은선, "한국철도의 남만주철도주식회사 위탁경영시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17 (17): 297-306, 2014

      4 문화재청, "태평양 전쟁 유적(부산․경남․전남 지역) 일제조사 연구용역"

      5 문화재청, "태평양 전쟁 유적(대전․충남․전북․도서 지역) 일제조사연구용역"

      6 문화재청, "태평양 전쟁 유적(대구․경북․충북지역) 일제조사 연구용역"

      7 전상숙, "조선총독정치 연구" 지식산업사 2012

      8 안자코 유카, "조선총독부의 '총동원체제'(1937~1945) 형성 정책"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9 민족문제연구소, "일제하 전시체제기 정책사료총서 7" 학술정보주식회사 2000

      10 정재정, "일제침략과 한국철도(1892~1945)"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11 송규진, "일제의 대륙침략기 ‘북선루트’・‘북선3항’" 한국사연구회 (163) : 379-413, 2013

      12 차철욱, "일제시대 부산항 설비사업과 사회적 의미" 한국학연구소 33 : 397-422, 2010

      13 김윤미, "일제시기 일본군의 방어체계와 부산의 요새"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5) : 127-162, 2012

      14 김윤미, "일제시기 일본군의 대륙침략 전쟁과 부산의 군사기지화" 부경대학교 2015

      15 이용상, "일제강점기의 한국철도와 만주철도의 비교연구" 한국철도학회 16 (16): 151-162, 2013

      16 우승완, "일제강점기 여수의 도시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103-121, 2011

      17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계획 연구" 일지사 1990

      18 조건, "일제 말기 關東軍의 韓人 동원과 피해 실태" 한일민족문제학회 (29) : 71-106, 2015

      19 요시타 유타카, "아시아태평양전쟁" 어문학사 2012

      20 사카모토유이치, "식민지기 조선철도에 있어서 군사수송-시베리아 출병, 만주사변과 부산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8) : 137-166, 2006

      21 허영란, "도시화와 사회갈등의 역사" 심산 2011

      22 朝鮮所在重砲兵聯隊史編纂委員会, "馬山. 永興灣. 羅津. 麗水 重砲兵聯隊史" 千創 1999

      23 김경남, "韓末日帝의 鎮海湾要塞建設과 植民都市開発의 変形" 28 : 2012

      24 兒嶋俊郞, "防衛省戰史部圖書館所藏․軍事輸送關係資料について" 2010

      25 防衛廳防衛硏修所戰史室, "關東軍(2)" 朝雲新聞社 1974

      26 防衛廳防衛硏修所戰史室, "關東軍(1)" 朝雲新聞社 1969

      27 坂本悠一, "近代植民地都市釜山" 櫻井書店 2007

      28 參謀本部, "要塞整理の件, 軍事機密大日記"

      29 纐纈厚, "總力戰體制硏究" 社會評論社 2010

      30 海軍省, "第2376号の2 12.5.6 鎮要第5号の15の2朝鮮沿海土木工事に関する件(1) , 公文備考昭和13年J 警戒計画巻10"

      31 復員局, "第1巻第1篇/第6章1941年乃至1945年の対ソ作戦計画(1) ,満洲に関する用兵的観察第1巻昭和27年5月"

      32 朝鮮軍司令部, "満洲派遣第7師団に對する羅津及鮮内輸送間に於ける兵站業務詳報の件, 昭和13年「満受大日記」"

      33 朝鮮軍司令部, "朝鮮軍歴史(第4巻)送付の件, 昭和08年「密大日記」第6冊"

      34 宮田節子, "朝鮮軍槪要史" 不二出版 1989

      35 加藤圭木, "朝鮮東北部․咸鏡北道の社会変容-植民地期の港湾「開発」問題を中心に" 一橋大学校 2014

      36 関東軍參謀部, "時局関係事項の秘匿称呼に関する件, 昭和16年『陸満密大日記第9冊1/3』"

      37 加藤圭木, "日露戦争以降の朝鮮における軍事基地建設と地域-永興湾を対象として―" 5 : 2013

      38 임종국, "日本軍의 朝鮮侵略史Ⅰ" 일월서각 1989

      39 후지와라 아키라, "日本軍事史 上" 제이앤씨 2013

      40 淨法寺朝美, "日本築城史" 原書房 1971

      41 長谷川普, "日本の要塞" 學習硏究社 2003

      42 兒嶋俊郞, "戰時期滿洲の軍事鐵道輸送-河村弁治 <自昭和十四年至昭和十七年滿洲に於ける鐵道整備>の紹介" 2007

      43 林采成, "戰時下朝鮮國鐵の組織的對應:「植民地」から「分斷」への歷史的經路を探って" 東京大學校 2002

      44 内閣, "御署名原本明治二十八年․勅令第三十九号要塞司令部条例, 御署名原本明治二十八年․勅令第三十九号要塞司令部条例"

      45 조선총독부, "官報, 1942년 7월 25일자(제4647호)"

      46 防衛廳防衛硏修所戰史室, "大本營陸軍部(3)" 朝雲新聞社 1970

      47 防衛廳防衛硏修所戰史室, "大本營陸軍部(2)" 朝雲新聞社 1968

      48 신주백, "1945년 한반도 남서해안에서의 본토결전 준비와 부산.여수의 일본군 시설지 현황"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70) : 231-273, 2009

      49 이승렬, "1930년대 전반기 일본군부의 대륙침략관과 ‘조선공업화’정책" 67 : 1996

      50 김경남, "1930·40년대 전시체제기 부산 시가지계획의 군사적 성격" 한일관계사학회 (34) : 267-30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
      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43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