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洛東江 河口堰 建設 후 養殖 海藻類의 病害 原因에 관하여 = Diseases of the cultivated marine alga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Naktong River estuary barr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79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둑 건설 이후의 해조 양식장의 병해 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9년 9월부터 1990년 4월까지 수행하였다.
      양식기간중 강수량, 일조량 기온에서 부산지방의 기상 특이성이 나타났다.
      하구둑 건설 후 장림천의 영향을 직접 받는 수로 부근의 해역에서 COD와 영양염류의 농도는 증가한 반면 pH와 염분도는 감소하였다.
      양식 김과 파래는 구멍갯병, 녹반병, 붉은갯병, 횐갯병. 쪼그랑병 및 부착규조에 의한 병해가 만연 하였다. 김 및 파래 발에 침착된 뻘의 양은 32.9-361.9mg/10cm였으며 침착된 뻘량과 병해율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뻘과 부착 조류는 사주와 사주 사이의 조간대에 위치한 양식어장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김과 파래의 엽면에 착생하는 부착 규조류는 Achnanthes, Licmophora, Melosira, Nitzschia, Synedra속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 해역 해조류 양식장에서 발생되는 양식 해조의 병해 원인은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 등의 오염물질량의 증가와 주변 해수의 정체 그리고 단속적으로 방류되는 하천수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홍수 등의 대유량 빈도가 높을 때는 구멍갯병이 만연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둑 건설 이후의 해조 양식장의 병해 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9년 9월부터 1990년 4월까지 수행하였다. 양식기간중 강수량, 일조량 기온에서 부산지방의 기상 특이성...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둑 건설 이후의 해조 양식장의 병해 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9년 9월부터 1990년 4월까지 수행하였다.
      양식기간중 강수량, 일조량 기온에서 부산지방의 기상 특이성이 나타났다.
      하구둑 건설 후 장림천의 영향을 직접 받는 수로 부근의 해역에서 COD와 영양염류의 농도는 증가한 반면 pH와 염분도는 감소하였다.
      양식 김과 파래는 구멍갯병, 녹반병, 붉은갯병, 횐갯병. 쪼그랑병 및 부착규조에 의한 병해가 만연 하였다. 김 및 파래 발에 침착된 뻘의 양은 32.9-361.9mg/10cm였으며 침착된 뻘량과 병해율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뻘과 부착 조류는 사주와 사주 사이의 조간대에 위치한 양식어장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김과 파래의 엽면에 착생하는 부착 규조류는 Achnanthes, Licmophora, Melosira, Nitzschia, Synedra속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 해역 해조류 양식장에서 발생되는 양식 해조의 병해 원인은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 등의 오염물질량의 증가와 주변 해수의 정체 그리고 단속적으로 방류되는 하천수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홍수 등의 대유량 빈도가 높을 때는 구멍갯병이 만연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Naktong River estuary barrage, physiological damages and diseases of the cultivated marine algae in the estuary were investigated reviewing meteor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from September, 1989 to April, 1990.
      The meteorological characters in the precipitation, sunshine and air temperature were appaered at the region of Pusan during the farming period.
      COD and concentrations of nutrients of water seem to have increased in the just lower region of the barrage off Changrim, while pH and salinities decreased, probably due to the domestic sewage and industrial waste discharged from the Changrim stream and water stagnant after the barrage construction.
      The cultivated Gim, Porphyra and Parae, Enteromorpha have been infected with shot hole, green spot, red rot, white blight, crape and diatom felt.
      The amounts of mud adhered to the farming net were 32.9-361.9mg/10cm.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diseases and mud. Most of the epjphytic microalgae on the farming net and thallus were genus Achnanthes, Licmopfora, Melosira, Nitzschia and Synedra, among them the dominant genus was Licmophora.
      Accordingly, effects of the diseases of Gim and Parae at the farming area in the estuary seem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tagnation of water, the waste, and the discharge inflowing to farming area after the barrage construction.
      번역하기

      After the completion of the Naktong River estuary barrage, physiological damages and diseases of the cultivated marine algae in the estuary were investigated reviewing meteor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from September, 1989 to April, 1990. The ...

      After the completion of the Naktong River estuary barrage, physiological damages and diseases of the cultivated marine algae in the estuary were investigated reviewing meteor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from September, 1989 to April, 1990.
      The meteorological characters in the precipitation, sunshine and air temperature were appaered at the region of Pusan during the farming period.
      COD and concentrations of nutrients of water seem to have increased in the just lower region of the barrage off Changrim, while pH and salinities decreased, probably due to the domestic sewage and industrial waste discharged from the Changrim stream and water stagnant after the barrage construction.
      The cultivated Gim, Porphyra and Parae, Enteromorpha have been infected with shot hole, green spot, red rot, white blight, crape and diatom felt.
      The amounts of mud adhered to the farming net were 32.9-361.9mg/10cm.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diseases and mud. Most of the epjphytic microalgae on the farming net and thallus were genus Achnanthes, Licmopfora, Melosira, Nitzschia and Synedra, among them the dominant genus was Licmophora.
      Accordingly, effects of the diseases of Gim and Parae at the farming area in the estuary seem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tagnation of water, the waste, and the discharge inflowing to farming area after the barrage construc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