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솔루션) 광개토 한국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130118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국교육문화원 : I PASS ZONE, 2008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951.9 판사항(22)

      • ISBN

        8982678085 93910 : ₩28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솔루션) 광개토 한국사 / 한국사연구회 편저.

      • 기타서명

        교과서를 완전 해부한 또 하나의 교과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대비 기본서
        2∼3급용

      • 형태사항

        669 p. : 채색삽도,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한국사 주요 연표: p. 9-23.
        서지적 각주 수록.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목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항공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한국사 주요 연표 = 9
      • 역대 왕조 계보
      • 고구려 = 24
      • 백제 = 26
      • 목차
      • 한국사 주요 연표 = 9
      • 역대 왕조 계보
      • 고구려 = 24
      • 백제 = 26
      • 신라 = 28
      • 발해 = 32
      • 고려 = 33
      • 조선 = 37
      • 역대 연호 = 42
      • 제1편 한국사의 바른 이해
      • 1. 역사의 학습 목적
      • 역사의 의미 = 44
      • 역사 학습의 목적 = 45
      • 2. 한국사와 세계사
      •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 47
      • 민족 문화의 이해 = 48
      • 핵심문제 = 50
      • 제2편 선사 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 01. 선사 시대의 전개
      • 1. 선사 시대의 세계
      • 인류의 기원 = 53
      • 신석기 문화와 청동기 문명의 탄생 = 54
      • 2. 우리 나라의 선사 시대
      • 우리 민족의 기원 = 56
      • 구석기 시대의 유물과 유적 = 56
      • 구석기 시대의 생활 = 57
      • 신석기 시대의 유물과 유적 = 59
      • 신석기 시대의 생활 = 60
      • 핵심문제 = 63
      • 02. 국가의 형성
      • 1. 고조선과 청동기 문화
      • 청동기의 보급 = 66
      • 철기의 사용 = 67
      • 청동기ㆍ철기 시대의 생활 = 68
      • 청동기ㆍ철기 시대의 예술 = 71
      • 단군과 고조선 = 72
      • 위만의 집권 = 74
      • 고조선의 사회 = 75
      • 2. 여러 나라의 성장
      • 부여 = 77
      • 고구려 = 79
      • 옥저와 동예 = 80
      • 삼한 = 81
      • 핵심문제 = 84
      • 제3편 통치 구조와 정치 활동
      • 01. 고대의 정치
      • 1. 고대의 세계
      • 동양의 고대 = 89
      • 서양의 고대 = 90
      • 2. 고대 국가의 성립
      • 고대 국가의 성격 = 92
      • 삼국의 성립 = 92
      • 3. 삼국의 발전과 통치 체제
      • 삼국의 정치적 발전 = 95
      • 삼국간의 항쟁 = 96
      • 삼국의 통치 체제 = 99
      • 4.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 고구려와 수ㆍ당의 전쟁 = 102
      •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 103
      • 신라의 삼국 통일 = 104
      • 5. 남북국 시대의 정치 변화
      • 통일 신라의 발전 = 106
      • 발해의 건국과 발전 = 107
      • 남북국의 통치 체제 = 109
      • 신라 말기 호족 세력과 후삼국의 성립 = 110
      • 후삼국의 성립 = 112
      • 핵심문제 = 114
      • 02. 중세의 정치
      • 1. 중세의 세계
      • 동양의 중세 = 120
      • 서양의 중세 = 121
      • 2. 중세 사회의 성립
      • 고려의 성립과 민족의 재통일 = 122
      • 태조의 정책 = 123
      • 광종의 개혁 정치 = 124
      • 유교적 정치 질서 강화 = 125
      • 3. 통치 체제의 정비
      • 중앙 정치 조직 = 127
      • 지방 행정 조직의 정비 = 128
      • 군역 제도와 군사 조직 = 129
      • 관리 등용 제도 = 130
      • 4.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 = 132
      • 이자겸의 난과 서경 천도 운동 = 134
      • 무신 정권의 성립 = 135
      • 5. 대외 관계의 전개
      • 거란의 침입과 격퇴 = 137
      • 여진 정벌과 동북 9성 = 138
      • 몽골과의 전쟁 = 139
      • 6.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 원의 내정 간섭 = 142
      • 공민왕의 개혁 정치 = 142
      • 신진 사대부의 등장 = 145
      • 고려의 멸망 = 145
      • 핵심문제 = 148
      • 03. 근세의 정치
      • 1. 근세의 세계
      • 동양의 근세 = 153
      • 서양의 근세 = 154
      • 2. 근세 사회의 성립
      • 조선의 건국 = 156
      •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 정비 = 156
      • 유교 정치의 실현 노력 = 157
      • 문물 제도의 정비 = 158
      • 3. 통치 체제의 정비
      • 중앙 정치 체제 = 160
      • 지방 행정 조직 = 161
      • 군역 제도와 군사 조직 = 162
      • 관리 등용 제도 = 164
      • 4.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 훈구와 사림 = 166
      • 사림의 정치적 성장 = 167
      • 붕당의 출현 = 168
      • 붕당 정치의 전개 = 169
      • 붕당 정치의 성격 = 170
      • 5.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
      • 명과의 전쟁 = 172
      • 여진과의 관계 = 173
      • 일본 및 동남아시아시아의 관계 = 173
      • 6. 양난의 극복
      • 왜군의 침략 = 175
      • 수군과 의병의 승리 = 176
      • 전란의 극복과 영향 = 177
      • 광해군의 중립 외교 = 179
      • 호란과 북벌 운동 = 179
      • 북벌 운동의 전개 = 180
      • 핵심문제 = 183
      • 04. 근대 태동기의 정책
      • 1. 근대의 세계
      • 서양의 세계 = 190
      • 동양의 근대 = 191
      • 2. 통치 체제의 변화
      • 정치 구조의 변화 = 192
      • 군사 제도의 변화 = 193
      • 수취 제도의 개편 = 195
      • 3. 붕당 정치의 전개와 탕평 정치
      • 붕당 정치의 전개 = 196
      • 붕당 정치의 변질 = 196
      • 탕평론의 대두 = 197
      • 영조의 탕평정치 = 198
      • 정조의 탕평 정치 = 200
      • 4. 정치 질서의 변화
      • 세도 정치의 전개 = 202
      • 세도 정치기의 권력구조 = 202
      • 세도 정치의 폐단 = 203
      • 5. 대외 관계의 변화
      • 청과 관계 = 205
      • 일본과의 관계 = 206
      • 핵심문제 = 209
      • 05. 근ㆍ현대의 정치
      • 1. 근ㆍ현대의 세계 = 213
      • 2. 개회와 주권 수호 운동
      • 흥선 대원군의 정책 = 214
      • 개항과 개화 정책 = 214
      • 갑신 정변 = 215
      • 동학 농민 운동 = 216
      • 갑오 개혁과 을미 개혁 = 218
      •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 = 219
      • 일제의 국권 침탈 = 221
      • 항일 의병 전쟁과 애국 계몽 운동 = 223
      • 3. 민족의 수난과 항일 운동
      • 일제의 식민 정책 = 225
      • 3ㆍ1운동 = 226
      • 대한 민국 임시 정부 = 228
      • 국내외 항일 민족 운동 = 229
      • 4. 대한 민국의 성립과 발전
      • 광복 직후의 국내 정세 = 232
      • 대한 민국의 성립 = 233
      • 6ㆍ25전쟁 = 234
      • 민주주의 시련과 발전 = 235
      • 6월 민주 항쟁과 민주주의의 발전 = 236
      • 북한의 정치 = 238
      • 통일을 위한 노력 = 238
      • 핵심문제 = 243
      • 제4편 경제 구조와 경제 생활
      • 01. 고대의 경제
      • 1. 삼국의 경제 생활
      • 삼국의 경제 정책 = 247
      • 귀족의 경제 생활 = 249
      • 농민의 경제 생활 = 250
      • 2. 남북국 시대의 경제 변화
      • 통일 신라의 경제 정책 = 252
      • 통일 신라의 경제 활동 = 253
      • 귀족의 경제생활 = 254
      • 농민의 경제 생활 = 254
      • 발해의 경제 발달 = 256
      • 핵심문제 = 258
      • 02. 중세의 경제
      • 1. 경제 정책
      • 농업 중심의 산업 발전 = 261
      • 국가 재정의 운영 = 262
      • 수취 제도 = 262
      • 전시과 제도와 토지 소유 = 263
      • 2. 경제 활동
      • 귀족의 경제 생활 = 266
      • 농민의 경제 생활 = 267
      • 수공업자의 활동 = 268
      • 상업 활동 = 269
      • 화폐 주조와 고리대의 유행 = 271
      • 무역 활동 = 272
      • 핵심문제 = 274
      • 03. 근세의 경제
      • 1. 경제 정책
      • 농본주의 경제 정책 = 277
      • 과전법의 시행과 변화 = 278
      • 수취 체제의 확립 = 280
      • 2. 양반과 평민의 경제 활동
      • 양반 지주의 생활 = 282
      • 농민의 생활 = 283
      • 수공업 생산 활동 = 284
      • 상업 활동 = 285
      • 수취 제도의 문란 = 286
      • 핵심문제 = 289
      • 04. 근대 태동기의 경제
      • 1. 수취 체제의 변동
      • 농촌 사회의 동요 = 293
      • 전세의 정액화 = 293
      • 공납의 전세화 = 294
      • 균역법의 시행 = 295
      • 2. 서민 경제의 발전
      • 양반 지주의 경영 변화 = 297
      • 농민 경제의 변화 = 298
      • 민영 수공업의 발달 = 300
      • 민영 광산의 증가 = 301
      • 3.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 사상의 대두 = 303
      • 장시의 발달 = 304
      • 포구에서의 상업 활동 = 305
      • 대외 무역의 발달 = 306
      • 화폐 유통 = 306
      • 핵심문제 = 308
      • 05. 근ㆍ현대의 경제
      • 1. 외세의 경제 침략과 국민 경제의 모색
      • 개항과 불평등 조약 = 313
      • 외국 상인의 침투와 무역의 확대 = 313
      • 각국의 내정 간섭과 이권 침탈 = 314
      • 정부와 민간의 식산 흥업 노력 = 316
      • 자주적 근대화의 좌절 = 317
      • 경제적 구국 운동의 전개 = 318
      • 2. 일제의 경제 침탈과 민족 경제의 운동
      • 식민지 수탈 정책 = 320
      • 농민과 노동자에 대한 수탈 = 321
      • 일제의 병참 기지화 정책과 군수 공업화 = 322
      • 민족 경제 운동 = 323
      • 전시 동원 체제와 식민지 경제의 파탄 = 324
      • 3. 현대의 경제 성장과 자본주의의 발달
      • 8ㆍ5 광복과 새로운 경제 질서 형성 = 325
      • 6ㆍ25 전쟁의 피해와 원조 경제 = 325
      •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과 고도 성장 = 326
      • 경제 위기 극복과 경제력 집중 = 327
      • 산업화의 진전과 경제적 갈등 = 328
      • 세계속의 한국 경제 = 328
      • 21세기 선진 복지 경제를 향한 노력 = 329
      • 제5편 사회 구조와 사회 생활
      • 01. 고대의 사회
      • 1. 신분제 사회의 성립
      • 사회 계층과 신분 제도 = 333
      • 귀족ㆍ평민ㆍ천민 = 333
      • 2. 삼국 사회의 모습
      • 고구려의 사회 모습 = 335
      • 백제의 사회 모습 = 336
      • 신라의 골품제도와 화랑도 = 337
      • 3. 남북국 시대의 사회
      • 통일 후 신라사회의 변화 = 340
      • 발해의 사회 구조 = 341
      • 통일 신라인의 생활 = 341
      • 통일 신라말의 사회 모순 = 343
      • 핵심문제 = 345
      • 02. 중세의 사회
      • 1. 고려의 신분 제도
      • 귀족 = 348
      • 중류층 = 349
      • 양민 = 350
      • 천민 = 350
      • 2. 백성의 생활 모습
      • 농민의 공동 조직 = 353
      • 사회 시책과 제도 = 353
      • 법률과 풍속 = 355
      • 혼인과 여성의 지위 = 355
      • 3. 고려 후기의 사회 변화
      • 무신 집권기의 하층민의 봉기 = 357
      • 몽골의 침입과 백성의 생활 = 359
      • 원 간섭기의 사회 변화 = 360
      • 핵심문제 = 362
      • 03. 근세의 사회
      • 1. 양반 관료 중심의 사회
      • 양반 제도와 반상 제도 = 366
      • 양반 = 366
      • 중인 = 368
      • 상민 = 368
      • 천민 = 369
      • 2. 사회 정책과 사회 시설
      • 사회 정책과 사회제도 = 370
      • 법률 제도 = 371
      • 3. 향촌 사회의 조직과 운영
      • 향촌 사회의 모습 = 373
      • 향약과 유교 윤리의 보급 = 374
      • 촌락의 구성과 운영 = 374
      • 촌락의 풍습 = 375
      • 4. 성리학적 사회 질서의 강화
      • 예학과 족보의 보급 = 377
      • 서원과 향약 = 378
      • 핵심문제 = 381
      • 04. 근대 태동기의 사회
      • 1. 사회 구조의 변동
      • 신분제의 동요 = 387
      • 양반의 분화 = 388
      • 중간 계층의 신분 상승 운동 = 388
      • 노비의 해방 = 390
      • 가족 제도의 변화와 혼인 = 391
      • 인구의 변동 = 392
      • 2. 향촌 질서의 변화
      • 양반의 향촌 지배 약화 = 394
      • 부농 계층의 대두와 관권의 강화 = 395
      • 3. 농민층의 변화
      • 농민층의 분화 = 397
      • 지주와 임노동자 = 397
      • 4. 사회 변혁의 움직임
      • 사회 불안의 심화 = 399
      • 예언 사상의 대두 = 399
      • 천주교의 전파 = 400
      • 동학의 발생 = 402
      • 농민의 항거 = 403
      • 핵심문제 = 406
      • 05. 근ㆍ현대의 사회
      • 1. 개항 이후의 사회 변화
      • 사회 제도와 의식의 변화 = 408
      • 의식주 생활의 변화 = 409
      • 동포들의 국외 이주 = 410
      • 2. 일제 강점기의 사회 변화
      • 독립 운동 세력의 분화 = 413
      • 신간회 = 413
      • 농민 운동과 노동 운동 = 414
      • 청년 운동, 여성 운동, 형평 운동 = 416
      • 인구의 증가와 도시의 변화 = 417
      • 의식주 생활의 변화 = 418
      • 3. 현대 사회의 발전
      • 인구의 변화 = 420
      • 산업화 도시화 = 420
      • 농촌 사회의 변화 = 421
      • 노동 계층의 확대와 노동 운동 = 422
      • 시민 운동의 성장 = 423
      • 의식주 생활의 변화 = 424
      • 핵심문제 = 426
      • 제6편 민족 문화의 발달
      • 01. 고대의 문화
      • 1. 학문과 사상, 종교
      • 한자의 보급과 교육 = 429
      • 역사 편찬과 유학의 보급 = 430
      • 불교의 수용 = 432
      • 불교 사상의 발달 = 434
      • 선종과 풍수지리설 = 436
      • 2. 과학 기술의 발달
      • 천문학과 수학 = 438
      • 목판 인쇄술과 제지술의 발달 = 439
      • 금속 기술의 발달 = 440
      • 3. 고대인의 자취와 멋
      • 고분과 고분 벽화 = 441
      • 건축과 탑 = 444
      • 불상 조작과 공예 = 447
      • 글씨, 그림과 음악 = 449
      • 한문학과 향가 = 450
      • 4. 일본으로 간 우리 문화
      •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 452
      • 일본에 건너간 통일 신라 문화 = 453
      • 핵심문제 = 455
      • 02. 중세의 문화
      • 1.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의 편찬
      • 유학의 발달 = 460
      • 교육 기관 = 461
      • 역사서의 편찬 = 462
      • 성리학의 전래 = 465
      • 2. 불교의 사상과 신앙
      • 불교 정책 = 467
      • 불교 통합 운동과 천태종 = 468
      • 결사 운동과 조계종 = 469
      • 대장경 간행 = 471
      • 도교와 풍수지리설 = 473
      • 3. 과학 기술의 발달
      • 천문학과 의학 = 476
      • 인쇄술의 발달 = 477
      • 화약 무기 제조와 조선 기술 = 479
      • 4. 귀족 문화의 발달
      • 건축과 조각 = 480
      • 청자와 공예 = 483
      • 글씨, 그림과 음악 = 485
      • 핵심문제 = 487
      • 03. 근세의 문화
      • 1. 민족 문화의 융성
      • 발달 배경 = 491
      • 한글 창제 = 491
      • 교육 기관 = 493
      • 역사서의 편찬 = 494
      • 지리서의 편찬 = 495
      • 윤리, 의례서와 법전 편찬 = 496
      • 2. 성리학의 발달
      • 성리학의 정착 = 498
      • 성리학의 융성 = 498
      • 학파의 형성과 대립 = 499
      • 예학의 발달 = 501
      • 3. 불교와 민간 신앙
      • 불교의 정비 = 502
      • 도교와 민간 신앙 = 503
      • 4. 과학 기술의 발달
      • 천문, 역법과 의학 = 504
      • 활자 인쇄술과 제지술 = 505
      • 병서의 편찬과 무기 제조 = 506
      • 6. 건축과 예술
      • 왕실과 양반의 건축 = 507
      • 분청사기, 백자와 공예 = 508
      • 그림과 글씨 = 510
      • 음악과 무용 = 512
      • 핵심문제 = 515
      • 04. 근대 태동기의 문화
      • 1. 성리학의 변화
      • 성리학의 절대화 경향 = 519
      • 양명학의 수용 = 520
      • 2. 실학의 발달
      • 실학의 등장 = 522
      • 농업 중심의 개혁론 = 522
      • 상공업 중심의 개혁론 = 524
      • 국학 연구의 확대 = 525
      • 3. 과학 기술의 발달
      • 서양 문물의 수용 = 528
      • 천문학과 지도 제작 기술의 발달 = 528
      • 의학의 발달과 기술의 개발 = 531
      • 농서의 편찬과 농업 기술의 발달 = 532
      • 4. 문화의 새 경향
      • 서민 문학의 발달 = 533
      • 판소리와 탈놀이 = 534
      • 한글 소설과 사설 시조 = 534
      • 진경 산수화와 풍속화 = 536
      • 건축의 변화 = 538
      • 백자와 생활 공예, 음악 = 539
      • 핵심문제 = 541
      • 05. 근ㆍ현대의 문화
      • 1. 근대 문물의 수용과 발전
      • 서양 과학 기술의 수용 = 546
      • 근대 교육과 학문의 보급 = 547
      • 국학 연구 = 548
      • 언론 기관의 발달 = 550
      • 문예와 종교의 새 경향 = 551
      • 2.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 운동의 전개
      •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 = 553
      • 국어의 보급과 한글의 보급 = 554
      • 한국사 연구의 발전 = 555
      • 민족 교육 진흥 운동 = 556
      • 종교 운동 = 557
      • 문학과 예술 활동 = 558
      • 3. 현대 문화의 성장
      • 한국학 연구의 발전 = 560
      • 서구 문화의 수용과 전통 문화의 계승 = 560
      • 언론 활동의 발달 = 561
      • 교육의 확대 = 562
      • 대중 문화의 성장 = 562
      • 문화과 예술, 종교의 발달 = 563
      • 체육 활동의 성장 = 563
      • 과학 기술의 놀라운 발전 = 564
      • 북한 문화와 예술의 이해 = 565
      • 한국의 유네스코 지정 유산 = 567
      • 본서 축약정리편 = 584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알라딘

      광개토 한국사 - 한국사 능력검정시험대비 기본서 2~3급용

      품절 28,000원 25,200원 (10%)

      종이책 구매

      1,400포인트
      예스24.com

      광개토 한국사

      절판 28,000원 25,200원 (10%)

      종이책 구매

      280포인트 (1%)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