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한국에서 勸善書는 유교적인 것으로 이해되어 왔었다. 그러나 원론적으로 권선서는 유불도 혼융의 것으로 출발하였던 것이며 특히 도교측에서 만든 勸善懲惡의 책자는 道敎勸善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08595
200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3-169(27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국과 한국에서 勸善書는 유교적인 것으로 이해되어 왔었다. 그러나 원론적으로 권선서는 유불도 혼융의 것으로 출발하였던 것이며 특히 도교측에서 만든 勸善懲惡의 책자는 道敎勸善書 ...
중국과 한국에서 勸善書는 유교적인 것으로 이해되어 왔었다. 그러나 원론적으로 권선서는 유불도 혼융의 것으로 출발하였던 것이며 특히 도교측에서 만든 勸善懲惡의 책자는 道敎勸善書 곧 道敎善書이다. 도교권선서는 中國 宋明 시대 이후에 유행하였는데, 특히 『太上感應篇』, 『陰?文』 등은 대표적인 것들이다. 이러한 도교선서는 유교나 불교가 아닌 바로 도교적인 세계관, 인간관, 윤리관을 토대로 형성되는 것이며, 그중에서도 가치관이나 윤리관은 핵심내용이 된다.
이와 같은 후대의 도교권선서는 바로 당 시대에 자생적으로 형성되었던 것만은 결코 아니다. 그것들은 세계관, 인간관, 윤리관의 측면에서 훨씬 앞선 세대의 선구적인 도교적 사상체계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바로 그러한 선구적인 사유 형태는 後漢時代 초기에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太平經이다. 이 경전은 도교경전의 최초 형태로서 총체적 사상의 형태에서 만이 아니라 도덕철학적 성격에서도 후대 도교권선서의 典型이자 맹아가 된다.
원래 『태평청령서』로 불리어오던 『태평경』에는 三合相通, 皇天, 天曹, 司命, 承負, 守一, 神仙, 眞人 등의 관념들이 담겨져 있다. 이러한 관념들은 후대 도교의 종교철학적 사상체계의 근간을 이루는 天人感應說, 玉皇說, 司命說, 孝에 관한 입론의 선구적 형식이다. 이러한 형식은 『태평경』에서는 다른 표현으로 씌어져 있다. 이러한 관념들은 후대 도교와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현되고는 있으나, 도교라는 사상체계 안에서 하나로 통일되어 있으며, 사유 구조상으로도 거의 유사한 개념들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陶建國, "兩漢魏晋之道家思想" 文律出版社 1985
2 "老子, (漢文大系 卷九) 文淵閣 四庫全書 893-901 子部 類書類)"
3 張恩富, "한권으로 읽는 도교" 웅진씽크빅 2008
4 막스 칼텐마르크, "노자와 도교" 까치 1993
5 胡孚琛, "魏晋神仙道敎, (抱朴子內篇硏究)," 人民出版社 1989
6 陳國符, "道藏原流考" 臺北古亭書店 1963
7 福井康順, "道敎란 무엇인가" 民族社 1990
8 石井昌子, "道敎學の硏究-陶弘景お中心に-" 圖書出版社 1970
9 大淵忍爾, "道敎史の硏究" 岡山大學共濟會書籍部 1964
10 窪德忠, "道敎史, (世界宗敎史叢書)," 山川出版社 1977
1 陶建國, "兩漢魏晋之道家思想" 文律出版社 1985
2 "老子, (漢文大系 卷九) 文淵閣 四庫全書 893-901 子部 類書類)"
3 張恩富, "한권으로 읽는 도교" 웅진씽크빅 2008
4 막스 칼텐마르크, "노자와 도교" 까치 1993
5 胡孚琛, "魏晋神仙道敎, (抱朴子內篇硏究)," 人民出版社 1989
6 陳國符, "道藏原流考" 臺北古亭書店 1963
7 福井康順, "道敎란 무엇인가" 民族社 1990
8 石井昌子, "道敎學の硏究-陶弘景お中心に-" 圖書出版社 1970
9 大淵忍爾, "道敎史の硏究" 岡山大學共濟會書籍部 1964
10 窪德忠, "道敎史, (世界宗敎史叢書)," 山川出版社 1977
11 許地山, "道敎史" 商務印書館 1934
12 窪德忠, "道敎史" 분도출판사 1990
13 酒井忠夫, "道敎の總合的硏究" 圖書刊行會 1977
14 橘樸(興亞宗敎協會), "道敎の實態" 新民印書館 1941
15 福井康順, "道敎の其礎的硏究" 理想社 1952
16 王明, "道家和道敎思想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4
17 金谷治, "秦漢思想史硏究" 平樂寺書店 1960
18 葛弘, "神仙傳, (文淵閣 四庫全書 1059 子部 雜家類)"
19 堀池信夫, "漢魏思想史硏究" 明治書阮 1986
20 葛弘, "抱朴子" 中華書局 1984
21 王 明, "太平經合校" 中華書店 1960
22 윤찬원, "太平經』에 나타난 道敎倫理" 10 : 1996
23 卿希泰, "中國道敎史, 第一卷" 四川人民出版社 1992
24 卿希泰, "中國道敎史, 第一卷" 四川人民出版社 1988
25 酒井忠夫, "中國善書の硏究" 弘文堂 1960
26 余英時, "中國古代死後觀的演變" (3) : 1985
27 Ying-shih, Yu, "Life and Immortality in the Mind of Han China" 25 : 196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 | 1.665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