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약류 범죄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에 관한 일고찰 = Criminal Law Responses to Narcotic Drug Crim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991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to devise preventive actions to prevent narcotic drug crimes. The punishment system taking a heavy penalty system on narcotic drug crimes may achieve an effect at the general preventive level.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

      It is very important to devise preventive actions to prevent narcotic drug crimes. The punishment system taking a heavy penalty system on narcotic drug crimes may achieve an effect at the general preventive level.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addition to criminal law responses to narcotic drug crimes, the preventive actions should be established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 Also, measures for th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drug addicts in correctional fac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an efficient management policy for drug addicts, who return to society, is necessary. Actually, the effectiveness needs to be ensured. The punishment system on the narcotic drug crimes maintains the basis of severe punishment policy on the use activity, as well as on distribution activity with a differential punishment system by activity type. However, more debate is needed on whether the heavy punishment system on simple use activity of soft narcotic drugs with relatively low addictiveness, risk, or risk possibility, is a proper criminal policy alternative. Under the current system, a punishment on simple use seems to be shifted to treatment-focused policy, rather than punishment. The disposition of treatment system needs to be operated, centered on treatment subjects to the extent that the treatment protection or correction treatment on narcotic drugs offenses can get actual effectiveness, rather than just formality. Namely, the disposition of treatment should be carried out for enough time to induce behavioral change. Also, a procedure to request narcotic drugs offenses to a treatment center from the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stages seems to be necessary, before proceeding to the procedure in public trial. Meanwhile, the investigation of narcotic drug crime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rime need an action of special investigation techniques, such as controlled delivery, electronic monitoring, and undercover operation, and the specific enactment of legally applicable provisions is required. UN Agreement and others recommend the establishment of funds securing finances with confiscated illegal property to prevent narcotic drug crimes, and organizational crimes, and also to support crackdown. In consideration of such a recommendation, Korea can consider the adoption of a confiscated assets fund system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crime control for deprivation of benefits from crimes, and policy enforcement from the preventive dimension including the promotion of law enforcement agency``s active work performance and treatment of addi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선, "형사재판에서 전문심리위원제도의 활용 - 치료사법적 측면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123 : 2012

      2 김선복, "현행 마약류법에 대한 고찰" 2 (2): 2000

      3 이효순, "한국의 약물중독의 문제점과 사회복지 개입방향; 영국의 사회복지적 개입과 비교"

      4 조성남, "우리나라 약물중독의 치료 실태와 대책" 대한의료법학회 14 (14): 11-36, 2013

      5 이인영, "약물중독자에 대한 형사책임과 처우에 관한 고찰 - 뇌과학에 의한 약물중독의 인식 변화와 관련하여 -" 한국형사정책학회 26 (26): 59-106, 2014

      6 이은모, "성시택교수화갑기념논문집" 1993

      7 이한규,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정부제출) 검토보고서" 2009

      8 조균석, "범죄수익몰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2011년 형법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대한변호사협회 (420) : 112-127, 2011

      9 도중진, "범뵈수익 몰수자산의 효율적 활용화 방안 - 각국의 입법동향과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 대검찰청 (27) : 24-63, 2010

      10 박소연, "미국의 알코올 및 약물 남용자에 대한 처벌과 치료에 관한 고찰" 한국교정학회 34 : 109-131, 2007

      1 김진선, "형사재판에서 전문심리위원제도의 활용 - 치료사법적 측면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123 : 2012

      2 김선복, "현행 마약류법에 대한 고찰" 2 (2): 2000

      3 이효순, "한국의 약물중독의 문제점과 사회복지 개입방향; 영국의 사회복지적 개입과 비교"

      4 조성남, "우리나라 약물중독의 치료 실태와 대책" 대한의료법학회 14 (14): 11-36, 2013

      5 이인영, "약물중독자에 대한 형사책임과 처우에 관한 고찰 - 뇌과학에 의한 약물중독의 인식 변화와 관련하여 -" 한국형사정책학회 26 (26): 59-106, 2014

      6 이은모, "성시택교수화갑기념논문집" 1993

      7 이한규,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정부제출) 검토보고서" 2009

      8 조균석, "범죄수익몰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2011년 형법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대한변호사협회 (420) : 112-127, 2011

      9 도중진, "범뵈수익 몰수자산의 효율적 활용화 방안 - 각국의 입법동향과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 대검찰청 (27) : 24-63, 2010

      10 박소연, "미국의 알코올 및 약물 남용자에 대한 처벌과 치료에 관한 고찰" 한국교정학회 34 : 109-131, 2007

      11 이보영, "마약범죄 처벌의 정당성" 한국법학회 (47) : 217-238, 2012

      12 신의기, "마약류사범처리실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13 박용철, "마약류범죄의 처벌에 대한 소고 - 연성 마약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5 (15): 63-94, 2013

      14 송병호, "마약류범죄의 암수실태" 한국범죄심리학회 5 (5): 55-80, 2009

      15 대검찰청, "마약류범죄백서" 2013

      16 대검찰청, "마약류범죄백서" 2012

      17 조성남, "마약류 중독의 치료 및 재활정책" 3 : 4-, 2009

      18 최응렬, "마약류 중독 수형자의 관리와 처우" 한국교정학회 31 : 35-60, 2006

      19 이경열, "국제조직범죄에 대한 통제배달기법의 활용 - 특히 국제마약사범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5 (15): 245-276, 2004

      20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Report, "Drugs, Brains, and Behavior : The Science of Addiction" 2010

      21 Alan I. Leshner, "Addiction Is a Brain Disease, and It Matters" 278 : 45-,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1 0.74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