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Removal Effects of Formaldehyde and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Spathiphyllum wallisii by Water S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967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파티필름의 수분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실내 공간 내 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식물이 없는 공간을 대조구, 정상적인 스파티필름과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을 각각의 처리구로 하였다. 스파티필름의 수분 스트레스 유무에 따른 chamber 내 온도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식물의 생육 적정 범위인 23±1℃를 유지하였으며, 처리 간의 0.7℃의 차이를 보였다. 습도의 경우 대조구와 처리구는 유의차 있게 나타났으며, 처리 간의 유의 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 스트레스에 따른 실내 오염 물질을 조사한 결과,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경우 대조구는 0.30mg・m-3, 정상적인 스파티필름은 0.05mg・m-3 ,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은 0.09mg・m-3으로 대조구와 처리구는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였으며, 식물 내 수분 스트레스에 따른 처리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조사 결과, 정상적인 스파티필름의 TVOC는 5시간 후 0.00mg・m-3 으로 모두 제거 된 반면,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은 0.34mg・m-3으로 다소 남아 있었으며, 대조구는 1.25mg・m-3으로 세 처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차 있게 나타났다. 또한 이산화탄소 변화량 조사결과, 대조구는 459ppm, 정상 스파티필름은 446ppm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으며,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 필름이 대조구보다 이산화탄소 함량이 다소 높았다. 기공변화율 조사 결과, 정상 스파티필름의 변화율은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은 변화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스파티필름이 배치되어있지 않은 공간보다 배치된 공간이 공기정화에 효과적이며,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은 실내오염물질 제거에 있어서 기공 변화율 및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저하되므로 스파티필름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실내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스파티필름의 수분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실내 공간 내 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식물이 없는 공간을 대조구, 정상적인 스파티필름과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

      본 연구는 스파티필름의 수분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실내 공간 내 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식물이 없는 공간을 대조구, 정상적인 스파티필름과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을 각각의 처리구로 하였다. 스파티필름의 수분 스트레스 유무에 따른 chamber 내 온도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식물의 생육 적정 범위인 23±1℃를 유지하였으며, 처리 간의 0.7℃의 차이를 보였다. 습도의 경우 대조구와 처리구는 유의차 있게 나타났으며, 처리 간의 유의 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 스트레스에 따른 실내 오염 물질을 조사한 결과,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경우 대조구는 0.30mg・m-3, 정상적인 스파티필름은 0.05mg・m-3 ,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은 0.09mg・m-3으로 대조구와 처리구는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였으며, 식물 내 수분 스트레스에 따른 처리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조사 결과, 정상적인 스파티필름의 TVOC는 5시간 후 0.00mg・m-3 으로 모두 제거 된 반면,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은 0.34mg・m-3으로 다소 남아 있었으며, 대조구는 1.25mg・m-3으로 세 처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차 있게 나타났다. 또한 이산화탄소 변화량 조사결과, 대조구는 459ppm, 정상 스파티필름은 446ppm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으며,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 필름이 대조구보다 이산화탄소 함량이 다소 높았다. 기공변화율 조사 결과, 정상 스파티필름의 변화율은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은 변화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스파티필름이 배치되어있지 않은 공간보다 배치된 공간이 공기정화에 효과적이며,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은 실내오염물질 제거에 있어서 기공 변화율 및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저하되므로 스파티필름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실내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Spathiphyllum wallisii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water stress. The control group was a without plants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s included well-watered S. wallisii and water-stressed S. wallisii.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stress of S. wallisii was maintained at 23℃ ± 1℃, an indoor comfortable temperature, for both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Humidity also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In terms of indoor pollutants owing to water stress, the formaldehyde concentration was 0.30 mg・m-3 in the control group, 0.05 mg・m-3 in the well-watered S. wallisii group, and 0.09 mg・m-3 in the water-stressed S. wallisii group.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the water stress in the plants. All of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of well-watering S. wallisii were removed after 5 hours, whereas 0.34 mg・m-3 of TVOC of water-stressed S. wallisii were m aintained. T VOC of t he c ontrol g roup w as 1 .25 mg・m-3. Thus, the thre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459 ppm i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well-watered S. wallisii group. Howeve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slightly higher in the water-stressed S. wallisii group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porosity change rate of the well-watered S. wallisii group was high and that of the water-stressed S. wallisii group was low. Thus, the space containing S. wallisii showed greater indoor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regardless of the water stress than the space without plants. Therefore, the indoor space arranged rather than the space in which the S. wallisii not disposed is effective for the air purification, and the S. wallsii which is subjected to water-stressed drop the change of stomatal size and the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pollutants removal, also moisture managemen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remove indoor pollutant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Spathiphyllum wallisii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water stress. The control group was a without plants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s included well-watered S. wal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Spathiphyllum wallisii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water stress. The control group was a without plants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s included well-watered S. wallisii and water-stressed S. wallisii.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stress of S. wallisii was maintained at 23℃ ± 1℃, an indoor comfortable temperature, for both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Humidity also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In terms of indoor pollutants owing to water stress, the formaldehyde concentration was 0.30 mg・m-3 in the control group, 0.05 mg・m-3 in the well-watered S. wallisii group, and 0.09 mg・m-3 in the water-stressed S. wallisii group.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the water stress in the plants. All of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of well-watering S. wallisii were removed after 5 hours, whereas 0.34 mg・m-3 of TVOC of water-stressed S. wallisii were m aintained. T VOC of t he c ontrol g roup w as 1 .25 mg・m-3. Thus, the thre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459 ppm i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well-watered S. wallisii group. Howeve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slightly higher in the water-stressed S. wallisii group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porosity change rate of the well-watered S. wallisii group was high and that of the water-stressed S. wallisii group was low. Thus, the space containing S. wallisii showed greater indoor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regardless of the water stress than the space without plants. Therefore, the indoor space arranged rather than the space in which the S. wallisii not disposed is effective for the air purification, and the S. wallsii which is subjected to water-stressed drop the change of stomatal size and the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pollutants removal, also moisture managemen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remove indoor polluta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공시재료
      • 오염물질 처리 및 조사항목
      • Abstract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공시재료
      • 오염물질 처리 및 조사항목
      • 통계처리
      • 결과 및 고찰
      • 초 록
      • Referen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