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고회사 기획과 제작부서 종사자들의 지능적 성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다중지능이론을 중심으로 = Intelligence of Advertising Agency Employees and the Relationship with Job-related Satisfactions of Account Executives and Creatives: A Multiple Intelligence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12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크리에이티브 집단인 광고회사는 전통적인 지능검사 또는 학업 성취도나 적성평가를 통해 인력을 확보하고 관리해오고 있기 때문에 직무에 맞는 개인의 장점이나 역량을 파악하는데 있어 ...

      크리에이티브 집단인 광고회사는 전통적인 지능검사 또는 학업 성취도나 적성평가를 통해 인력을 확보하고 관리해오고 있기 때문에 직무에 맞는 개인의 장점이나 역량을 파악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 기획자들과 제작자들의 다중지능 성향이 어떠한가를 확인하고 직능에 따라 다중지능 요인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무적합도와 직무성과, 업무만족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지능 요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광고 기획자들은 언어지능, 대인지능, 자기이해지능이 높고, 자연지능과 신체운동지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 제작자들은 시공간지능, 언어지능, 대인지능, 자기이해지능이 높고 자연지능과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 지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기획자들과 제작자들은 시공간지능, 대인지능, 자연지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직무적인 특성과 관련한 성향들로 해석되었다. 대인지능은 기획자들이, 시공간지능과 자연지능은 제작자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성적합도와 직무성과인식 그리고 업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다중지능성향 요인들이 직능별로 다른 부분들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광고회사의 기획 및 제작업무 종사자들의 다중지능 성향과 직능별 차이, 그리고 직무적합도, 직무성과인식, 업무만족도 등 종사자들의 근무만족도와 이직율과 중요한 관련이 있는 경영관리 요소들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광고회사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상식적으로 판단하거나 평가하던 직능간 차이에 대한 인식을 다중지능이론의 관점에서 확인하였고 실증적 증거를 제시한 탐색적 연구로서 기본적인 연구의의를 가진다. 연구의 한계점을 향후 연구과제로서 지속적으로 검증해본다면 다른 학문 분야들에서 거둔 다중지능이론의 학술적 성과를 광고커뮤니케이션 산업에 대한 연구에서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기대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dvertising industry is perceived to be an industrial organization that aims to produce a creative communication planning and advertisements. Thus, advertising agencies ought to hire creative employees and to cultivate and train them in order for the ...

      Advertising industry is perceived to be an industrial organization that aims to produce a creative communication planning and advertisements. Thus, advertising agencies ought to hire creative employees and to cultivate and train them in order for the company competency to meet the clients needs for successful brand communications. In doing so, ad agencies have to comprehend the individual employees’ competencies and traits as they manage the personnel to be deployed individually to the appropriate jobs. This paper purposed to find out how workers in different functions differ in term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to delve into how they relate to job fitness perception, perceived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differences in two functions, account executive and creative, are also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for the account executives, Logic-Mathematical, Interpersonal, Intrapersonal Intelligences are relatively higher than Naturalistic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s. As for the creative team workers, Visual-Spatial, Linguistic, Intrapersonal, Interpersonal Intelligences are relatively higher than Naturalistic, Bodily-Kinesthetic and Logic-Mathematical Intelligences.
      Secondl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job functions showed significant contrasts in terms of three intelligences of Visual-Spatial, Intrapersonal and Naturalistic Intelligences. Third, Interpersonal, Linguistic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s have positive relation to job-competence fitness, while Naturalistic Intelligence bears negative relation to it. Linguistic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s are positively related to job fitness. Naturalistic Intelligence relates to job fitness negatively. As for the creative workers, Intrapersonal and Visual-Spatial Intelligences are positively related to job-competence while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s relate positively to job-fitness perceptions. Fourth,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perception and the multiple intelligences, we found out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 with Linguistic,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Logic-Mathematical Intelligences for account executives. While, creative workers relate it to Interpersonal Intelligence.
      Finally, as for the job satisfaction,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s show positive relation to it while Visual-Spatial Intelligence has a negative relation. As for the creative workers Interpersonal Intelligence is found to be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study may be criticized for seemingly a little obvious and confusing as the study of its kind has never been dealt in the advertising literature. However, since the early 90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has long been applied to the other major disciplines such as education and psychology, and it produced very useful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education and psychology fields. Advertising is a salient field of communications study. Cultiv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nel management are so pivotal in advertising communication industry that application of multiple intelligence may further our understanding the particular communication industry and the people at wor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석돈, "직업 재활전문 인력의 직무만족에 관한 조사연구" 8 (8): 209-227, 2001

      2 유기현, "조직행동론" 무역경영사 2002

      3 백종남, "발달장애학생용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국내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307-334, 2010

      4 윤소정, "대학생의 다중지능과 Holland 직업적 성격, 그리고 비판적 사고 성향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65-291, 2007

      5 Gardner, Howard,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8

      6 문용린, "다중지능과 진로의식 발달 연구 :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도덕심리연구실 2003

      7 Gardner, Howard, "다중지능: 인간지능의 새로운 이해" 김영사 2001

      8 김현진, "다중지능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9 문용린, "다중지능 이론의 기업 조직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1 (11): 143-164, 2008

      10 여용재, "내부마케팅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공공연구기관에 대한 탐색적 접근" 한국상업교육학회 21 : 365-392, 2008

      1 박석돈, "직업 재활전문 인력의 직무만족에 관한 조사연구" 8 (8): 209-227, 2001

      2 유기현, "조직행동론" 무역경영사 2002

      3 백종남, "발달장애학생용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국내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307-334, 2010

      4 윤소정, "대학생의 다중지능과 Holland 직업적 성격, 그리고 비판적 사고 성향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65-291, 2007

      5 Gardner, Howard,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8

      6 문용린, "다중지능과 진로의식 발달 연구 :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도덕심리연구실 2003

      7 Gardner, Howard, "다중지능: 인간지능의 새로운 이해" 김영사 2001

      8 김현진, "다중지능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9 문용린, "다중지능 이론의 기업 조직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1 (11): 143-164, 2008

      10 여용재, "내부마케팅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공공연구기관에 대한 탐색적 접근" 한국상업교육학회 21 : 365-392, 2008

      11 문용린, "기업인 정문술의 지적 능력계발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교육학과 도덕심리연구실 2003

      12 김동일, "국내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 연구 동향 : 유아동 다중지능 평가체제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395-416, 2013

      13 이광수, "교원성과급이 직무동기를 매개로 직무수행노력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325-346, 2013

      14 박선미, "광고회사의 조직문화 인식이 창의성과 개인 직무성과에 미치는 인과구조적 영향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5

      15 박선미, "광고회사 종사자의 조직문화 인식과 팀 창의성 및 팀 직무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PR실학회 8 (8): 15-38, 2015

      16 최헌, "광고회사 전략기획업무 종사자에 대한다중지능적 성향과 직무태도 및 업무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6

      17 이철영, "광고전략 기획자의 심리적 속성이 창의성과 지각된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83) : 219-253, 2009

      18 최원수, "광고 크리에이터의 감성적 지능, 창의적 성향과 업무성과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21 (21): 69-84, 2010

      19 윤경미,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다중지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9 (9): 517-536, 2008

      20 문용린, "개인의 역량 측정을 위한 다중지능 하위요소의 재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283-309, 2007

      21 Drexler, J. A., "Training/Job Fit and Worker Satisfaction" 34 (34): 907-915, 1981

      22 Sasser, W. Earl, "The service profit chain" Free Press 1997

      23 Blumberg, M., "The missing opportunity in organizational research : Some implications for a theory of work performance" 7 (7): 560-569, 1982

      24 Fulford, M. D., "The impact of empowerment on service employees" 7 (7): 161-175, 1995

      25 Cable, D. M.,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subjective fit perceptions" 87 (87): 875-884, 2002

      26 Eul-Kyoo Bae, "The Relationship of Goal Orientation, Readiness for Learning Organiz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Staffs in Education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he Korean Society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11 (11): 277-298, 2009

      27 Shearer, C, B., "The MIDAS: A Professional Manual" Kent Ohio MI Research and Consulting, Inc 1996

      28 Wheeler Anthony R., "The Elusive Criterion of Fit Revisited : Toward an Integrative Theory of Multidimensional Fit" 24 (24): 265-304, 2005

      29 Cable, Daniel M., "Pay Preferences and Job Search Decisions : A person-organization fit perspective" 47 (47): 317-348, 1994

      30 Wanous, J. P., "Overall job satisfaction : How good are single-item measures" 82 (82): 247-252, 1997

      31 Miller D., "Organizational configurations : Cohesion, change, and prediction" 43 (43): 771-789, 1990

      32 Caldwell, David F., "Measuring person-job fit with a profile-comparison process" 75 (75): 648-657, 1990

      33 Janz, B. D., "Knowledge worker team effectiveness : The role of autonomy, interdependence, team development, and contextual support variables" 50 (50): 877-904, 1997

      34 Chatman, Jennifer A, "Improving interactional organizational research : A model of person-organization fit" 14 (14): 333-349, 1989

      35 Locke, Edwin 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 Manally 1297-1349, 1976

      36 Lofquist, Lloyd H., "Essentials of person-environmentcorrespondences counseling" Univ. of Minnesota Press 1991

      37 Oldham, G. R., "Employee creativity :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39 : 607-634, 1996

      38 Steve, M. J., "Efficacy beliefs as a moderator of the impact of work-related stressors : a multiple study" 84 (84): 349-361, 1999

      39 Hackman. J. R., "Develpo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60 (60): 159-170, 1980

      40 Hackman, J. R.,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60 (60): 159-170, 1975

      41 Williams, Katherine T., "Demography and diversity in organizations : A review of 40 years of research" 20 : 77.6-140.6, 1998

      42 Locke, E. A.,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for areas and methods of rating job satisfaction" 48 (48): 313-319, 1964

      43 Kristo-Brown, Amy L., "Consequences of individuals fit at work : a meta-analysis of person-job, person-organization, persongroup, and person supervisor fit" 58 (58): 281-342, 2005

      44 Morrison, M. A., "Account Planners’ views on how their work is and should be evaluated" 32 (32): 7-16, 2003

      45 Lytle, Richards S., "A managerial measure of organizational service-orientation" 74 (74): 455-489, 1998

      46 Edwards, J. R., "A cybernetic theory of stress, coping, and well-being in organizations" 17 (17): 238-274, 1992

      47 Kyoung Sik Cho,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Work Stress and Job Dissatisfaction on the Perceived Creativity of Individual and Team Performance in Advertising Agency" Korea Communication Association 27 (27): 149-175, 2019

      48 Chull Young Le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Multiple Intelligence Tendency on Major Satisfaction and Fitness between College Students in Design and Engineering Majors" KSBDA (Korea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21 (21): 459-469,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4 1.477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