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를 위한 정보의 가치 판단 기준과 판단 절차의 알고리즘화에 관한 연구 = Developing Algorithm for Evaluation of Information and Procedure of Critical Thinking in Media Literac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6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강조하는 비판적 사고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최근 소프트웨어 융합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컴퓨팅 사고를 미디어 리터러시의 문제해결 과정과 접목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미디어 리터러시 학습의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에 대한 판단 근거를 학습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가시화함으로써, 학습자의 성찰과 교사의 피드백 측면에서 비판적 사고의 과정을 명료화하는 데 있어 소프트웨어 교육의 방법을 접목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 과정에서 중요하게 제기되는 정보의 가치 판단 기준과 판단 절차를 알고리즘화하기 위한 목표 하에, 컴퓨팅 사고를 미디어 리터러시의 문제 해결 과정과 접목하여, 학습자가 따라야 할 비판적 사고 절차와 기준을 보다 명료하게 시각화 및 자동화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유튜브 동영상 미디어 추천 알고리즘 설계 과제의 수행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비판적 사고의 절차와 판단 기준을 순서도로 시각화하여 표현하고, 이를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를 활용해 코딩함으로써 학생들이 문제 해결을 위해 거쳐야 할 비판적 사고 과정을 컴퓨터의 언어로 시각화하여 구현하는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구글 폼 설문 도구를 이용하여, 유튜브 동영상 미디어들에 대한 평가 기준들의 각 가중치와 특정 미디어 소스에 대한 평가 점수를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개인의 생각과 집단의 생각을 비교하는 활동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된 사례는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플랫폼 환경에서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와 그것이 재현하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활성화하는 데 있어 소프트웨어 융합 교육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강조하는 비판적 사고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최근 소프트웨어 융합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컴퓨팅 사고를 미디어 리터러시...

      이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강조하는 비판적 사고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최근 소프트웨어 융합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컴퓨팅 사고를 미디어 리터러시의 문제해결 과정과 접목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미디어 리터러시 학습의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에 대한 판단 근거를 학습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가시화함으로써, 학습자의 성찰과 교사의 피드백 측면에서 비판적 사고의 과정을 명료화하는 데 있어 소프트웨어 교육의 방법을 접목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 과정에서 중요하게 제기되는 정보의 가치 판단 기준과 판단 절차를 알고리즘화하기 위한 목표 하에, 컴퓨팅 사고를 미디어 리터러시의 문제 해결 과정과 접목하여, 학습자가 따라야 할 비판적 사고 절차와 기준을 보다 명료하게 시각화 및 자동화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유튜브 동영상 미디어 추천 알고리즘 설계 과제의 수행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비판적 사고의 절차와 판단 기준을 순서도로 시각화하여 표현하고, 이를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를 활용해 코딩함으로써 학생들이 문제 해결을 위해 거쳐야 할 비판적 사고 과정을 컴퓨터의 언어로 시각화하여 구현하는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구글 폼 설문 도구를 이용하여, 유튜브 동영상 미디어들에 대한 평가 기준들의 각 가중치와 특정 미디어 소스에 대한 평가 점수를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개인의 생각과 집단의 생각을 비교하는 활동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된 사례는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플랫폼 환경에서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와 그것이 재현하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활성화하는 데 있어 소프트웨어 융합 교육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incorporating computational thinking emphasized in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with media literacy, in order to visualize the critical thinking process that has been affirmed in media literacy education. The incorporation of the methods of software education was intended to elucidate the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in terms of learners reflection and teachers feedback by visualizing the basis of evaluation on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ccordingly, the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and evaluation criteria that students should consider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 YouTube video recommendation algorithm was visualized and expressed in a flow chart, and they were coded using Scratch. This is an example of an educational software program that envisages and implements the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that could be operated in computer language. An alternative method uses the Google form survey tool to enable students to support their evaluation criteria for YouTube videos as scores for a specific media source, and then aggregate them in real time in order to compare individual student’s perception with that of their peers. The examples presented in this paper could help activate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in facilitating critical thinking with regard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digital media and the social realities constructed by the content provided by digital platforms that are engineered by personalized algorithm.
      번역하기

      This study is aimed at incorporating computational thinking emphasized in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with media literacy, in order to visualize the critical thinking process that has been affirmed in media literacy education. The incorporation of ...

      This study is aimed at incorporating computational thinking emphasized in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with media literacy, in order to visualize the critical thinking process that has been affirmed in media literacy education. The incorporation of the methods of software education was intended to elucidate the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in terms of learners reflection and teachers feedback by visualizing the basis of evaluation on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ccordingly, the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and evaluation criteria that students should consider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 YouTube video recommendation algorithm was visualized and expressed in a flow chart, and they were coded using Scratch. This is an example of an educational software program that envisages and implements the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that could be operated in computer language. An alternative method uses the Google form survey tool to enable students to support their evaluation criteria for YouTube videos as scores for a specific media source, and then aggregate them in real time in order to compare individual student’s perception with that of their peers. The examples presented in this paper could help activate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in facilitating critical thinking with regard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digital media and the social realities constructed by the content provided by digital platforms that are engineered by personalized algorith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미디어 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의 연계: 컴퓨터 언어를 통한 비판적 사고의 활성화 전략 Ⅲ. 유튜브의 정보 추천 알고리즘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위한 컴퓨팅 사고와 소프트웨어 활용의 구체화 Ⅳ. 결론
      • Ⅰ. 서론 Ⅱ. 미디어 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의 연계: 컴퓨터 언어를 통한 비판적 사고의 활성화 전략 Ⅲ. 유튜브의 정보 추천 알고리즘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위한 컴퓨팅 사고와 소프트웨어 활용의 구체화 Ⅳ.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세욱,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과 저널리즘"

      2 정현선, "비판적 사고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컴퓨팅 사고의 융합"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8 : 105-128, 2020

      3 Jacques, J, "“In the Shoes of an Algorithm”: A media education game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recommedation algorithms" 3 (3): 37-62, 2020

      4 Buckingham, D., "The media education manifesto" 학이시습 2019

      5 Hobbs, R.,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lan of Action" The Aspen Institute 2010

      1 오세욱,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과 저널리즘"

      2 정현선, "비판적 사고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컴퓨팅 사고의 융합"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8 : 105-128, 2020

      3 Jacques, J, "“In the Shoes of an Algorithm”: A media education game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recommedation algorithms" 3 (3): 37-62, 2020

      4 Buckingham, D., "The media education manifesto" 학이시습 2019

      5 Hobbs, R.,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lan of Action" The Aspen Institute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