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自體) 개념에 기초하여 「자체질서분석모델」을 정립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계획한 이 논문은 우선 질서(序)개념과 공(公)개념에 관한 퇴계적 문맥을 정당하게 복원하는 데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153477
200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3-78(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체」(自體) 개념에 기초하여 「자체질서분석모델」을 정립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계획한 이 논문은 우선 질서(序)개념과 공(公)개념에 관한 퇴계적 문맥을 정당하게 복원하는 데에 ...
「자체」(自體) 개념에 기초하여 「자체질서분석모델」을 정립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계획한 이 논문은 우선 질서(序)개념과 공(公)개념에 관한 퇴계적 문맥을 정당하게 복원하는 데에 그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다. 퇴계 의 질서(序)개념은 「자체 내적인 변화과정, 즉 자체 성립과정 또는 괴반과정의 상태」를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자체 내적인 변화과정의 상태, 즉 자체 내적인 기(氣)가 소통 또는 경색하여 감으로 말미암아 자체 내적으로 일체 또는 해체하여 가는 상태」를 의미한다.
천지만물 일반은 「하나」이면서도 「여럿」이다. 하지만 자체 내적으로나 자체와 타체(他體) 사이에-자체의 자각과 노력 없이-저절로 「하나」되는 것이 아니라 ‘자체가 자각하고 자체의 삶 속과 밖으로까지 관통하는 이(理)’, 즉 공(公)개념을 통해서 「하나」될 수 있다. 퇴계에 있어서 이(理)개념은 자체의 자각 없이도 만물 일반 가운데 엄재(嚴在)하지만. 공(公)개념은 자체와 구체적으로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자체 가운데 실재(寶在)하여 간다.
퇴계의 질서개념에 있어서 공개념은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퇴계의 공개념은 무엇보다도 먼저 「자체내적인 변화과정을 주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공개념을 여하히 확보하느냐에 따라서 자체의 질서는 결정적으로 좌우된다. 요컨대 공개념을 여하히 확보하느냐에 따라서 자체의 질서는 「불연질서」(不然秩序)와 「미연질서」(未然秩序)와 「자연질서」(自然秩序)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