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朝鮮時代의 海運經濟에 대한 두 가지의 相反된 견해, 즉 韓國海運經濟發展段階論의 觀點에서 遣使航運時代에는 第2型의 海運經濟인 自國과 外國間 貿易 위주의 海運으로서 航海...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091429
林鍾吉 (동명정보대학교 유통경영학과)
2002
Korean
漕運 ; 海難事故 ; 海運經濟 ; 造船術 ; 船海術 ; tribute shipping system ; sea casualty by ship ; shipping economy
326.36
학술저널
5-45(4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朝鮮時代의 海運經濟에 대한 두 가지의 相反된 견해, 즉 韓國海運經濟發展段階論의 觀點에서 遣使航運時代에는 第2型의 海運經濟인 自國과 外國間 貿易 위주의 海運으로서 航海...
본 연구는 朝鮮時代의 海運經濟에 대한 두 가지의 相反된 견해, 즉 韓國海運經濟發展段階論의 觀點에서 遣使航運時代에는 第2型의 海運經濟인 自國과 外國間 貿易 위주의 海運으로서 航海術과 造船術이 發展하였으나, 朝鮮時代의 海運經濟는 時代逆行的인 것으로 第1型의 沿岸運送 위주의 海運으로 航海術과 造船術이 發展하지 못하였다는 하나의 見解와, 朝鮮時代의 海運經濟는 비록 沿岸運送 위주의 第1型 海運이었지만, 航海術과 造船術의 발달에 힘입어 海運經濟가 나름대로 상당히 발달하였다는 다른 하나의 見解가운데 어느 假設이 타당한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전자의 假設은 朝鮮時代의 海運經濟가 어디까지나 官船漕運 위주의 沿岸租穀 運送體制로써, 이 시대의 海運을 극히 미미한 수준으로 보는 것이어서 船運業 또는 賃運業의 발달을 사실상 否定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후자의 假設은 朝鮮 後期에 船運業 또는 賃運業이 발전하여 私船(京江船과 地土船)의 稅穀運送過程에서 商業資本이 상당히 蓄積될 수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
本稿는 朝鮮時代의 海運經濟에 관한 硏究의 一環으로 漕運에 있어서의 海難事故를 考察의 基本觀點으로 設定하였다. 본 硏究가 갖는 意義는 漕運에 있어서의 海難事故가 海運서비스를 生★하는 過程에서 발생하는 하나의 중요한 經濟的 現象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관한 體系的인 硏究가 尙今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그리하여 본 硏究는 朝鮮時代 漕運에 있어서의 海難事故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이 時代의 海運經濟가 갖는 基本的 性格을 究明하는 하나의 試圖인 것이며, 朝鮮時代의 海運經濟에 있어서의 生★關係와 生★力, 즉 生★樣式을 究明하는데 一助하고, 나아가 朝鮮時代의 海運經濟가 韓國海運經濟發展段階에서 갖는 性格을 糾明하는데 寄與하고자 하였다.
고찰 결과 海難事故의 觀點에서 보아 朝鮮時代의 海運經濟(漕運)는 微微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海難事故를 방지하고자 하는 多角的인 노력이 이루어졌지만, 造船術ㆍ航海術의 不足, 官吏의 腐敗 등으로 海難事故의 頻發은 舊韓末까지 변함이 없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조선시대의 해운경제가 시대역행적이라는 전자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따라서 私船의 稅穀運送을 통한 商業資本의 蓄積을 근본적으로 否認하기는 어려울지 모르지만, 海運經濟, 특히 稅穀運送을 통한 資本蓄積에는 상당한 限界가 있었다는 것도 否認하기 어려울 것이다. 다시 말해, 本 硏究의 결과는 朝鮮時代의 海運經濟가 낮은 수준에 머물렀음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私船에 의한 稅穀運送이 發展하였음을 전적으로 否認하는 것은 아니며, 海難事故라는 觀點에서 보아 그 發展에는 상당한 制約이 있었으며, 稅穀運送을 통한 資本蓄積 또한 限界가 있었음을 示唆하는 것이다.
朝鮮時代의 海運經濟에 관한 연구가 未洽한 現實을 勘案하면, 본고는 그러한 硏究가운데 하나에 지니지 않으며, 이 時代의 稅穀運送은 물론 海運經濟 全貌를 파악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aim to fin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shipping economy through analyzing sea casualty in the process of carrying grain paid as a tax in the Yi dynasty. I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a casualty, and the operating sys...
In this paper, I aim to fin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shipping economy through analyzing sea casualty in the process of carrying grain paid as a tax in the Yi dynasty. I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a casualty, and the operating systems, bodies, regulations, and practical process of the carrying.
I identifie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shipping economy, the tribute shipping system in the Yi times. Specifically, the system:
● was fundamentally operated by the government-owned ships, although civilian-owned ships are used.
● was operated by the fleet unit, and employed crew not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later Yi times, but them was not contributed to prevention of the sea casualty.
● was gradually supported by the operating bodies and regulations, but the sea casualty was increased by the difficulty of procuring the ship and crew, and a corruption of the official and crew are concerned.
● was operated by the lower ship construction and navigation skills, which caused the high sea casualty.
● restricted capital accumulation by civilian-owned ships.
Concludingly, the shipping economy, i.e. the tribute collecting system by a ship in terms of the sea casualty was remained very lower level, and under-development tin the Yi dynasty. The high sea casualty was remained even in the later Yi dynasty although the efforts of diminishing the casualty. The main causes of the casualty were the deficiency of shipbuilding and navigation techniques, decay of officials, etc.
목차 (Table of Contents)
해운 물류비 절감을 위한 컨테이너선 대형화의 전망 및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