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차원 시공간 데이터를 위한 OpenGIS 모델의 확장 = Extension of OpenGIS Model for Four Dimensional Spatiotemporal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331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data objects in the real world have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simultaneously. One of the objectives of spatiotemporal databases is to provide a very expressive framework for spatiotemporal database applications. The object oriented spatiotemporal model can manage spatiotemporal data efficiently because the model is able to store the complete history of any objects. Therefore, in order to handle the spatiotemporal data in object oriented fashion, we proposed a low dimensional spatiotemporal model in the object oriented fashion that extended dimensionally two dimensional spatial model of OpenGIS to fit into the real world information and to include temporal information. In order to proof the proposed model, we design a data provider component which consists of the data source, the session, the command, and the rowset component, and implement it. The proposed four dimensional spatiotemporal data model and provider in the object oriented fashion can be used to store, retrieve and manage the object oriented spatiotemporal data.
      번역하기

      Most of data objects in the real world have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simultaneously. One of the objectives of spatiotemporal databases is to provide a very expressive framework for spatiotemporal database applications. The object oriented spat...

      Most of data objects in the real world have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simultaneously. One of the objectives of spatiotemporal databases is to provide a very expressive framework for spatiotemporal database applications. The object oriented spatiotemporal model can manage spatiotemporal data efficiently because the model is able to store the complete history of any objects. Therefore, in order to handle the spatiotemporal data in object oriented fashion, we proposed a low dimensional spatiotemporal model in the object oriented fashion that extended dimensionally two dimensional spatial model of OpenGIS to fit into the real world information and to include temporal information. In order to proof the proposed model, we design a data provider component which consists of the data source, the session, the command, and the rowset component, and implement it. The proposed four dimensional spatiotemporal data model and provider in the object oriented fashion can be used to store, retrieve and manage the object oriented spatiotemporal dat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실세계의 많은 객체들은 시간적 정보와 공간적 정보를 함께 가지고 있고, 이러한 정보를 다루기 위한 시공간 데이터 모델링의 목적 중에 하나는 시공간 객체를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객체지향 시공간 모델은 객체단위로 시공간 데이터를 관리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시공간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시공간 데이터 관리를 객체지향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방형 지리정보 시스템에서 제안한 2차원 공간모델을 실세계 정보에 맞게 차원적으로 확장하고, 시간 정보를 포함하도록 확장한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모델을 위한 시공간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인 data source 컴포넌트, session 컴포넌트, command 컴포넌트와 rowset 컴포넌트를 구현하고 수행 예를 보인다. 제안된 시공간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 제공자는 서로 다르게 저장된 시공간 데이터를 객체지향 모델링을 사용하여 저장, 검색 및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번역하기

      실세계의 많은 객체들은 시간적 정보와 공간적 정보를 함께 가지고 있고, 이러한 정보를 다루기 위한 시공간 데이터 모델링의 목적 중에 하나는 시공간 객체를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

      실세계의 많은 객체들은 시간적 정보와 공간적 정보를 함께 가지고 있고, 이러한 정보를 다루기 위한 시공간 데이터 모델링의 목적 중에 하나는 시공간 객체를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객체지향 시공간 모델은 객체단위로 시공간 데이터를 관리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시공간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시공간 데이터 관리를 객체지향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방형 지리정보 시스템에서 제안한 2차원 공간모델을 실세계 정보에 맞게 차원적으로 확장하고, 시간 정보를 포함하도록 확장한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모델을 위한 시공간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인 data source 컴포넌트, session 컴포넌트, command 컴포넌트와 rowset 컴포넌트를 구현하고 수행 예를 보인다. 제안된 시공간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 제공자는 서로 다르게 저장된 시공간 데이터를 객체지향 모델링을 사용하여 저장, 검색 및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hat about People in Regional Science" 24 : 7-21, 1970.

      2 "Topological Structures for 4-dimens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16 (16): 227-237, 1992.

      3 "Time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1992.

      4 "Tempor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echnology and Requirements : Where we are Today" The Ohio State University

      5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OLE/COM Revision 1.1" Open GIS Consortium, Inc 99-050, 1999.

      6 "Relational spatial topologies for historical geographical infor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8 (8): 163-173, 1994.

      7 "Object-oriented approaches to geo-referenced information" 8 no.4 : 385-399, 1994.

      8 "Object- Oriented Modelling for Spatial Database" 4 : -4, 1990.

      9 "NGIS 1996년 최종보고서" 1996.

      10 "Managing Time in Gis: An Event-Oriented Approach" Springer-Verlag 23-42, 1995.

      1 "What about People in Regional Science" 24 : 7-21, 1970.

      2 "Topological Structures for 4-dimens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16 (16): 227-237, 1992.

      3 "Time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1992.

      4 "Tempor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echnology and Requirements : Where we are Today" The Ohio State University

      5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OLE/COM Revision 1.1" Open GIS Consortium, Inc 99-050, 1999.

      6 "Relational spatial topologies for historical geographical infor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8 (8): 163-173, 1994.

      7 "Object-oriented approaches to geo-referenced information" 8 no.4 : 385-399, 1994.

      8 "Object- Oriented Modelling for Spatial Database" 4 : -4, 1990.

      9 "NGIS 1996년 최종보고서" 1996.

      10 "Managing Time in Gis: An Event-Oriented Approach" Springer-Verlag 23-42, 1995.

      11 "An Approach to Modeling and Querying Moving Objects in Databases" 1997.

      12 "A spaiotemporal data model for incorporating time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University of South Florida usa.1999.

      13 "A Unified Model for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37 : 26-34, 1994.

      14 "A Generic Model for Spatio-Bitemporal Geographic Inform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5 "A Framework for Tempor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25 : -3,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2-10-01 평가 학술지 통합(등재유지)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