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후 위기와 그린 (뉴)딜, 그리고 러시아의 대응에 관한 시론적 연구 = A Pioneering Study on Climate Crisis, Green New Deal, and Russia’s Respon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236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 지구적 기후위기로 인한 인류에 대한 위협의 극복 방안으로 미국의 그린 뉴딜 혹은 유럽의 그린 딜이 대대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그린 뉴딜 혹은 그린 딜 정책에 강한 반발을 보이고 있는 러시아도 이러한 서구 주도의 담론에는 반발하면서도 기후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에 나름대로 대비를 하고 있다. 그런데 러시아는 이미 10 여 년 전부터 정부 주도로 지구 온난화, 재생에너지 개발, 탈탄소화 등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준비해 왔다는 사실은 거의 안 알려져 있다. 특히 에너지 전환과 관련된 부문이 향후 또 다른 서구와의 지정학적 경쟁과 갈등 구조가 될 수 있다는 판단 하에서 대비를 하면서도 서구가 주도하는 기후 레짐과 협력하지 않으면 러시아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 불가능하다는 기본 인식 하에서 많은 변화를 도모하고 있는 것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전 지구적 기후위기로 인한 인류에 대한 위협의 극복 방안으로 미국의 그린 뉴딜 혹은 유럽의 그린 딜이 대대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그린 뉴딜 혹...

      전 지구적 기후위기로 인한 인류에 대한 위협의 극복 방안으로 미국의 그린 뉴딜 혹은 유럽의 그린 딜이 대대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그린 뉴딜 혹은 그린 딜 정책에 강한 반발을 보이고 있는 러시아도 이러한 서구 주도의 담론에는 반발하면서도 기후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에 나름대로 대비를 하고 있다. 그런데 러시아는 이미 10 여 년 전부터 정부 주도로 지구 온난화, 재생에너지 개발, 탈탄소화 등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준비해 왔다는 사실은 거의 안 알려져 있다. 특히 에너지 전환과 관련된 부문이 향후 또 다른 서구와의 지정학적 경쟁과 갈등 구조가 될 수 있다는 판단 하에서 대비를 하면서도 서구가 주도하는 기후 레짐과 협력하지 않으면 러시아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 불가능하다는 기본 인식 하에서 많은 변화를 도모하고 있는 것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reen New Deal or European Green Deal has received attention of wide public as a way to overcome threat to mankind occurred by the climate crisis. On the surface, Russia has been in opposition to or critical of Green New Deal discussed by U.S or Green Deal led by EU. In Fact, however, Russia also has prepared and planned for all the possible challenges happened by climate change. It is not known that actually Russia has prepared for the alternatives concretely in global warming,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and de-cabornization since long before. Although Russia made a judgement that the aspects related to energy transition could be a reason of geopolitical competence and conflict with the West(U.S. and E.U), Russia try to make sweeping changes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cooperation with climate regime led by the West.
      번역하기

      Green New Deal or European Green Deal has received attention of wide public as a way to overcome threat to mankind occurred by the climate crisis. On the surface, Russia has been in opposition to or critical of Green New Deal discussed by U.S or Green...

      Green New Deal or European Green Deal has received attention of wide public as a way to overcome threat to mankind occurred by the climate crisis. On the surface, Russia has been in opposition to or critical of Green New Deal discussed by U.S or Green Deal led by EU. In Fact, however, Russia also has prepared and planned for all the possible challenges happened by climate change. It is not known that actually Russia has prepared for the alternatives concretely in global warming,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and de-cabornization since long before. Although Russia made a judgement that the aspects related to energy transition could be a reason of geopolitical competence and conflict with the West(U.S. and E.U), Russia try to make sweeping changes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cooperation with climate regime led by the We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2. 그린 뉴딜(Green New Deal)과 그린 딜(Green Deal) 3. 기후 변화와 에너지 전환에 대한 러시아식 대응 4. 미국과 유럽 주도 그린 (뉴)딜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 5. 맺는말
      • 1. 들어가는 말 2. 그린 뉴딜(Green New Deal)과 그린 딜(Green Deal) 3. 기후 변화와 에너지 전환에 대한 러시아식 대응 4. 미국과 유럽 주도 그린 (뉴)딜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 5. 맺는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영욱, "유럽 그린 딜이 한국 유럽 그린 뉴딜에 주는 시사점" 20 (20): 2020

      2 이혜경, "유럽 그린 딜(European Green Deal) 논의 동향과 시사점" 25 : 2020

      3 문진영, "유럽 그린 딜 관련 국제사회의 주요 이슈 및 시사점" 20 (20): 2020

      4 이유진, "미국의 그린 뉴딜(Green New Deal) 정책과 한국에 주는시사점" 6 : 2019

      5 민병길, "미국 오카시오-코르테스 신드롬과 그린 뉴딜의 정책적시사점" 36 : 1-27, 2019

      6 박시원,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기후변화 에너지 정책" 한국환경법학회 37 (37): 207-248, 2015

      7 김병권, "린 뉴딜과 경제전환: 그린 뉴딜 프로젝트에서의 지역경제와 사회적경제의 역할" 38 : 2020

      8 이주리, "러시아 장기 에너지 전략안(ES-2035)에 따른 에너지기술혁신 전략" 16 (16): 2016

      9 이주리,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와 시사점" 15 (15): 2015

      10 이성규, 이주리,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15 (15): 2015

      1 장영욱, "유럽 그린 딜이 한국 유럽 그린 뉴딜에 주는 시사점" 20 (20): 2020

      2 이혜경, "유럽 그린 딜(European Green Deal) 논의 동향과 시사점" 25 : 2020

      3 문진영, "유럽 그린 딜 관련 국제사회의 주요 이슈 및 시사점" 20 (20): 2020

      4 이유진, "미국의 그린 뉴딜(Green New Deal) 정책과 한국에 주는시사점" 6 : 2019

      5 민병길, "미국 오카시오-코르테스 신드롬과 그린 뉴딜의 정책적시사점" 36 : 1-27, 2019

      6 박시원,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기후변화 에너지 정책" 한국환경법학회 37 (37): 207-248, 2015

      7 김병권, "린 뉴딜과 경제전환: 그린 뉴딜 프로젝트에서의 지역경제와 사회적경제의 역할" 38 : 2020

      8 이주리, "러시아 장기 에너지 전략안(ES-2035)에 따른 에너지기술혁신 전략" 16 (16): 2016

      9 이주리,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와 시사점" 15 (15): 2015

      10 이성규, 이주리,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15 (15): 2015

      11 김계환, "러시아 석유가스산업의 전환과 러시아 국가자본주의" 민주사회정책연구원 (14) : 43-73, 2008

      12 정지원, "녹색경제와 지속가능발전: 논의동향과 ODA 정책 시사점" 12 (12): 2012

      13 김병권, "기후 위기와 불평등에 맞선 그린 뉴딜" 책숲 2020

      14 제러미 리프킨, "글로벌 그린 뉴딜" 민음사 2020

      15 조재성, "그린 뉴딜과 2020 미국 대선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 461 : 43-45, 2020

      16 이유진, "그린 뉴딜, 기후 위기 시대 생존 전략을 짜자" 26 : 36-41, 2020

      17 이유진, "그린 뉴딜 시사점과 한국사회 적용: 기후 위기와 불평등, 일자리대안으로서 그린 뉴딜" 19 (19): 2019

      18 문진영, "그린 뉴딜 관련 국제사회 대응과 시사점" 20 (20): 2020

      19 Гурьева М. А, "волюция понятий «экологизация» и «зеленаяэкономика» // Перспективы науки" 10 (10): 99-105, 2014

      20 Панов Д, "Экология 2.0 – амбициозные цели во имя становления «зелёной» экономики к 2030 году"

      21 Вотавина, Р, "Экологические аспекты «Зеленой Экономики» в системе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оста России. АНО Российская АкадемияПредпринимательства" 7 (7): 142-147, 2016

      22 Тихонов С, "Россия взяла курс на развитие “зеленой”"

      23 Green Peace, "Зеленный Курс России"

      24 Обзор прессы, "Европейский зеленый курс может создать проблемы для российских эхп"

      25 Cole, J, "Why the Russian Petro-State Is Actually Terrified of a Bernie Sanders Presidency: The Green New Deal"

      26 European Commission, "Turning Challenge into Opportunity on the Course to Becoming the First Climate-Neutral Continent"

      27 UNEP, "Towards a Green Economy: Pathways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overty Eradication"

      28 Greenevolution, "The largest solar power plant in Russia began supplying Electricity"

      29 IPCC, "The Special Report on Global Warming of 1.5 °C (SR15)"

      30 Lanshina, T. A, "The Slow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in Russia:Competitiveness and Regulation Issues" 120 : 600-609, 2018

      31 Hockett, R. C, "The Green New Deal: Mobilizing for a Just, Prosperous, and Sustainable Economy" Cornell Law School 2019

      32 Collina, T. Z, "The Green New Deal: Energizing the U.S. Economy"

      33 Leonard, M, "The Geopolitics of European Green Deal" 371 : 2021

      34 Proskuryakova, L, "The Future of Russia’s Renewable Energy Sector: Trends, Scenarios, and Policies" 143 : 1670-1686, 2019

      35 Makarov, I, "The External Dimension of the European Green Deal: Russia’s Perspective Multinational Development Policy" Dialogue-Konrad Adenauer Stiftung 2021

      36 Zachmann, G, "The European Union-Russia-China Energy Triangle" 16-, 2019

      37 European Commission, "The European Green Deal Sets Out How to Make Europe the First Climate-Neutral Continent by 2050, Boosting the Economy, Improving People’s Health and Quality of Life, Caring for Nature, and Leaving No One Behind"

      38 MERF, "The Energy Strategy of the Russian Federation in the Period until 2035"

      39 European Commission, "The EU’s Track Record on Climate Action-The European Green Deal"

      40 Lee-Makiyama, H, "The EU Green Deal and the Industri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1 : 2021

      41 Gromov, A, "The Concept of the Energy Strategy of the Russian Federation to the Year 2050" 2 : 37-43, 2014

      42 Davydova A, "Russia’s Green Economy"

      43 Mitrova, T, "Russia’s Energy Strategy-2035: Struggling to Remain Relavant" French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2019

      44 이태화, "Rio+20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본 녹색경제의 이해" 한국환경사회학회 16 (16): 129-162, 2012

      45 강상인, "Rio+20 녹색경제 의제에 관한 국가비전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46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IRENA), "Remap 2030: Renewable Energy Prospects for Russian Federation" IRENA 2017

      47 Karasevich, V, "Prospects for Green Gas Production in the Russian Federation and its Potential Export to the European Union" 2014

      48 "Presidential Decree of the Russian Federation from 30 September 2013 (Oct. 4. 2013) No. 752"

      49 "On the Interagency Working Group under the Administration of the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on Issue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50 Matraeva, L, "Improvement of Russian Energy Efficiency Strategy within the framework of ‘Green Economy’ Concept" 125 : 478-486, 2019

      51 Asselt H. v, "How von der Leyen Could Make A Carbon Border Tax Work"

      52 Alexandria Ocasio-Cortez, "Green New Deal: Fact Sheet ana FAQ From REP"

      53 Albekov, U. A, "Green Logistics in Russia: The Phenomenon of Progress, Economic and Environmental Security" 20 (20): 13-21, 2017

      54 Bobylev, S. N, "Green Economy: Regional Priorities" 2 : 268-279, 2015

      55 Poltarykhin A. L, "Green Economy: Prospects for Development" 2 (2): 183-186, 2013

      56 Kiryushin, P, "Green Economy: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for Russian Companies" 79 : 2014

      57 Tarkhanova, E, "Green Economy in Russia:Leadership and Financial Aspects, Advances in Social" Atlantis Press 2019

      58 Belov, D, "Global Green Transformation: How Will the World Change? Valdai Discussion Club Report"

      59 UNEP, "Global Green New Deal: Policy Brief"

      60 Volobueva, J. A, "Economics and management of innovation technologies" 5-, 2012

      61 Banks M, "EU ‘Putting its Money Where its Mouth is’ with Green Deal Financing"

      62 European Commission, "EU Over-achieved First Kyoto Emissions Target, on Track to Feet 2020 Objective"

      63 Ministry of Energy of Russian Federation, "Draft of the Energy Strategy of the Russian Federation for the period up to 2035"

      64 European Commission,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European Parliament, the Council, the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 and the Committee of the Regions: A Policy Framework for Climate and Energy in the Period from 2020 to 2030"

      65 Barbier, E. B, "A New Blueprint for a Green Economy" Routledge 2013

      66 Green New Deal Group, "A Green New Deal: Joined-up Policies to Solve the Triple Crunch of the Credit Crisis, Climate Change and High Oil Prices" New Economics Foundation 2008

      67 Carlock, G, "A Green New Deal: A Progressive Vision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Economic Stability"

      68 Labour Party Manifesto, "A Green Industrial Revolution"

      69 European Commission, "A European Green Deal"

      70 Alekseev, N. A, "A Critical Review of Russia’s Energy Strategy in the Period until 2035" 9 (9): 95-102, 2019

      71 EUR-Lex, "2020 Climate and Energy Packag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