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게 됨에 따라 사회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가 커지게 되었다. 하지만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현재 다문화교육에 대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09092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5-77(13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게 됨에 따라 사회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가 커지게 되었다. 하지만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현재 다문화교육에 대한 ...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게 됨에 따라 사회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가 커지게 되었다. 하지만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현재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는 총론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의 현실적인 필요성에 근거하여 다문화교육의 실제적 접근법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사회과 다문화 수업모형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사회과 다문화 수업모형은 다문화 기여접근 모형(MCA), 다문화 부가접근 모형(MAA), 다문화 변환접근 모형(MTA)으로 CAT 모형으로 통칭한다. MCA 수업모형은 다문화 준거 개념이 들어 있지 않은 단원인 다문화 간접관련 단원의 수업에 적용하는 모형이다. MAA 수업모형은 다문화 중간관련 단원의 수업에 적용하는 모형이다. MTA 수업모형은 다문화 직접관련 단원의 수업에 적용하는 모형으로 MTA 수업모형은 크게 편견해소모형과 형편교수모형으로 나누어 단원 및 주제, 대상의 성격에 따라 서로 다른 모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coming traditional nation-state to multicultural society beyond nationality, korean school needs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multicultural instruction. Social studies intrinsically has viewed as a powerful subject-matter creating citizens that is f...
Becoming traditional nation-state to multicultural society beyond nationality, korean school needs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multicultural instruction. Social studies intrinsically has viewed as a powerful subject-matter creating citizens that is fitted to democratic society. In this reason, comtemporary social studies should reflect global multicultural phenomena and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for authentic multicultural classroom.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ories and practic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es in term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mplementation, focusing on viability to instruction. It proposes CAT model: Multicultural Contributive approach Model(MCA), Multicultural Addictive approach Model(MAA), and Multicultural Transformative approach Model(MTA) that consists of Prejudice Reduction model(MTA Ⅰ-PR) and Equity Pedagogy model(MTA Ⅱ-EP). MCA is apt for multiculture indirect units, MAA for multiculture mid-direct units, and MTA for multiculture direct units. These models will be useful to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instruction when they are adapted to its goals and themes in different levels flexib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육정책연구소, "한국 사회에 적합한 다문화교육의 실행 전략 및 교수법 개발"
2 이민경, "프랑스에서의 다문화교육" 아시아 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07
3 장진혜, "커뮤니티기반 다문화수업 모형 개발연구" 경희대학교 2008
4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5 남호엽,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논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27-40, 2008
6 김용신,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다문화 개념 분석 - 2007개정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적용 관점에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5-22, 2008
7 배미애, "세계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연계 및 지리교과에서의 의의" 8 (8): 105-122, 2004
8 교육인적자원부, "사회과 교육과정"
9 박민정, "사회과 교실의 다문화교육 수업모형개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07
10 구견서,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체계"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7 (27): 29-53, 2003
1 한국교육정책연구소, "한국 사회에 적합한 다문화교육의 실행 전략 및 교수법 개발"
2 이민경, "프랑스에서의 다문화교육" 아시아 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07
3 장진혜, "커뮤니티기반 다문화수업 모형 개발연구" 경희대학교 2008
4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5 남호엽,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논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27-40, 2008
6 김용신,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다문화 개념 분석 - 2007개정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적용 관점에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5-22, 2008
7 배미애, "세계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연계 및 지리교과에서의 의의" 8 (8): 105-122, 2004
8 교육인적자원부, "사회과 교육과정"
9 박민정, "사회과 교실의 다문화교육 수업모형개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07
10 구견서,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체계"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7 (27): 29-53, 2003
11 Banks, James A,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12 최관경, "다문화 시대의 교육적 과제" 22 : 245-272, 2007
13 Ladson-Billings,Gloria, "The multicultural mission: unity and diversity" 56 (56): 1992
14 Sleeter, C.E, "Race, class, gender, and disability in the classroom in Multicultural Education" John Wiley & Sons 2007
15 Banks,James A, "Educating Citizens in a Multicultural Society" Teachers College Press 2007
16 Maxim,George W, "Dynamic Social Studies for Constructivist Classroom" Merrill Prentice Hall 2006
17 Massialas, Byron G, "Critical Issues in Teaching Social Studies K-12" Wadsworth Publishing Co. 1996
18 Bennett, Christine I, "Comprehensive Multiculu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Allyn and Bacon 2007
19 Banks, James A, "Approach to multicultural curriculum reform. in Multicultural Education." John Wiley & Sons 3-29, 2007
미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실수업의 프로젝트 수행과정과 교육적 함의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 왜곡과 검정 및 채택 제도의 변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21 | 1.269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