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병인박해기의 순교자와 체포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516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866년에 시작된 병인박해는 1873년 흥선대원군이 정권에서 물러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수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체포되어 순교했는데, 달레(Dallet) 신부는 『한국천주교회사』에서 1870년까지 ‘8천 명’이 순교했다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를 근거로 병인박해기에는 8천 명 이상의 신자가 순교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8천 명 순교설’은 지금까지 학술적으로 검토된 적이 없다. 이에 필자는 ‘8천 명 순교설’의 타당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당시에 체포된 신자 수와 순교자 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몇 가지 특징들도 정리해 보았다.
      필자는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기존의 ‘8천 명 순교설’은 근거가 없음을 밝혔다. 이 설은 리델(Ridel) 신부가 1869년에 이미 들었던 풍문이며, 원래의 내용은 ‘1868년의 5개월 동안 8천 명이 순교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1868년의 5개월 동안 8천 명이 순교했다’는 이 설도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보다는 오히려 ‘1868년 9월 이전에 2천명 이상이 순교했다’는 칼레(Calais) 신부의 서한 내용이 좀더 신빙성이 있다.
      둘째, 1868년 9월 이전의 순교자를 기준으로 병인박해기의 체포자 수를 추정해 보았다. 즉 ‘2천명 이상이 순교했다’는 내용과 ‘76.3(50.0)%로 추정되는 당시의 순교율’을 연계해서 최대 4,471명의 체포자를 산출하였다.
      셋째, 관변 자료와 교회 자료에서 1,891명의 체포자를 찾아냈고, 이를 통해 병인박해기 체포자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① 시기적으로는 1868년>1866년>1867년>1871년 순으로 체포자가 많았고, 지역적으로는 충청>서울>경기 순으로 신자들이 많이 체포되었다.
      ② 남성 신자가 여성 신자 보다 3배 정도 많이 체포되었으며, 남성 신자는 1866년에, 여성 신자는 1868년에 가장 많이 체포되었다.
      ③ 체포된 숫자는 남성 신자가 많지만, 남성 신자에 비해 여성 신자의 순교율이 높고, 배교율이 낮았다.
      ④ 지역별로는 충청>서울>경기 순으로 순교자가 많았고, 지역과 시기를 연계했을 때에는 ‘1868년 충청도>1866년 충청도>1868년 서울>1866년 서울’ 순으로 순교자가 많이 배출되었다. 그리고 남자는 ‘1866년 충청도’, 여자는 ‘1868년 충청도’에서 가장 많은 순교자가 나왔다.
      번역하기

      1866년에 시작된 병인박해는 1873년 흥선대원군이 정권에서 물러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수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체포되어 순교했는데, 달레(Dallet) 신부는 『한국천주교회사』에...

      1866년에 시작된 병인박해는 1873년 흥선대원군이 정권에서 물러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수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체포되어 순교했는데, 달레(Dallet) 신부는 『한국천주교회사』에서 1870년까지 ‘8천 명’이 순교했다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를 근거로 병인박해기에는 8천 명 이상의 신자가 순교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8천 명 순교설’은 지금까지 학술적으로 검토된 적이 없다. 이에 필자는 ‘8천 명 순교설’의 타당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당시에 체포된 신자 수와 순교자 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몇 가지 특징들도 정리해 보았다.
      필자는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기존의 ‘8천 명 순교설’은 근거가 없음을 밝혔다. 이 설은 리델(Ridel) 신부가 1869년에 이미 들었던 풍문이며, 원래의 내용은 ‘1868년의 5개월 동안 8천 명이 순교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1868년의 5개월 동안 8천 명이 순교했다’는 이 설도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보다는 오히려 ‘1868년 9월 이전에 2천명 이상이 순교했다’는 칼레(Calais) 신부의 서한 내용이 좀더 신빙성이 있다.
      둘째, 1868년 9월 이전의 순교자를 기준으로 병인박해기의 체포자 수를 추정해 보았다. 즉 ‘2천명 이상이 순교했다’는 내용과 ‘76.3(50.0)%로 추정되는 당시의 순교율’을 연계해서 최대 4,471명의 체포자를 산출하였다.
      셋째, 관변 자료와 교회 자료에서 1,891명의 체포자를 찾아냈고, 이를 통해 병인박해기 체포자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① 시기적으로는 1868년>1866년>1867년>1871년 순으로 체포자가 많았고, 지역적으로는 충청>서울>경기 순으로 신자들이 많이 체포되었다.
      ② 남성 신자가 여성 신자 보다 3배 정도 많이 체포되었으며, 남성 신자는 1866년에, 여성 신자는 1868년에 가장 많이 체포되었다.
      ③ 체포된 숫자는 남성 신자가 많지만, 남성 신자에 비해 여성 신자의 순교율이 높고, 배교율이 낮았다.
      ④ 지역별로는 충청>서울>경기 순으로 순교자가 많았고, 지역과 시기를 연계했을 때에는 ‘1868년 충청도>1866년 충청도>1868년 서울>1866년 서울’ 순으로 순교자가 많이 배출되었다. 그리고 남자는 ‘1866년 충청도’, 여자는 ‘1868년 충청도’에서 가장 많은 순교자가 나왔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순교자와 체포자
      • Ⅲ. 체포 신자의 특징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순교자와 체포자
      • Ⅲ. 체포 신자의 특징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한글초록
      • 日文抄錄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252) : 1870

      2 石井壽夫, "李太王朝の天主敎とその迫害-特に捕盜廳謄錄お素材にして" 52 (52): 1941

      3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 하" 한국교회사연구소 1980

      4 유홍렬, "증보 한국천주교회사 하" 가톨릭 출판사 1994

      5 경성구 천주교 청년회 연합회, "조선천주공교회약사" 1931

      6 김진소, "전주교구사Ⅰ" 천주교 전주교구 1998

      7 황현, "완역 매천야록" 교문사 1994

      8 조광, "서울문화 14·15합본" 서울문화사학회 2011

      9 "서울교구연보(Ⅰ)" 명동천주교회 1984

      10 "병인순교자 시복 재판 기록 2권"

      1 (252) : 1870

      2 石井壽夫, "李太王朝の天主敎とその迫害-特に捕盜廳謄錄お素材にして" 52 (52): 1941

      3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 하" 한국교회사연구소 1980

      4 유홍렬, "증보 한국천주교회사 하" 가톨릭 출판사 1994

      5 경성구 천주교 청년회 연합회, "조선천주공교회약사" 1931

      6 김진소, "전주교구사Ⅰ" 천주교 전주교구 1998

      7 황현, "완역 매천야록" 교문사 1994

      8 조광, "서울문화 14·15합본" 서울문화사학회 2011

      9 "서울교구연보(Ⅰ)" 명동천주교회 1984

      10 "병인순교자 시복 재판 기록 2권"

      11 차기진, "병인박해와 충청남도 순교자에 대한 연구" 현암사 1997

      12 서종태, "병인박해와 절두산 순교자들" 한국교회사연구소 20 : 2003

      13 서종태, "병인박해기 신자들의 사회적 배경과 신앙-양반 신자들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사연구소 2000

      14 박은식, "백암 박은식 전집 제1권" 동방미디어 2002

      15 정교, "대한계년사1" 소명출판 2004

      16 오페르트, "금단의 나라 조선" 집문당 2004

      17 "경향잡지 803호" 경향잡지사 1935

      18 유홍렬, "高宗治下西學受難의 硏究" 을유문화사 1984

      19 高興植, "丙寅敎難期 信徒들의 信仰-捕盜廳謄錄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사연구소 6 : 1988

      20 "A-MEP Vol. 580(Ⅰ) Corée 1875-1886 필사문서 판독자료집"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문화위원회 2010

      21 "A-MEP Vol. 579(B) Corée 1797-1874 필사문서 판독자료집"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문화위원회 2010

      22 방상근, "19세기 중반 한국천주교사 연구" 한국교회사연구소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4-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For Korean Church History -> The Society of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4 0.94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