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79년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을 통해 본 한국의 인권 문제 = Human Rights Problems in Korea through the Christian Academy Case in 1979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ristian Academy Case, which was announced to the media by the KCIA(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on April 16, 1979, was a fabrication that accused Christian Academy assistant administrators of pro-communist based on possession of North Korean books and listening to North Korean broadcasts. KCIA took seven suspects into illegal deten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ortured them severely to obtain false confessions. Shortly after the Christian Academy Case, religious groups, including the KNCC, condemned the Christian Academy Case as an act of suppressing labor and peasant movements and violating the freedom of Christian missionary work, and accused it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religious oppression” through the international religious network. World church organizations and religious leaders were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Korea’s trial of the Christian Academy Case and engaged in support and solidarity activities. They also sent messages of pressure to the presidential office of South Korea, the White House of the U.S. and the U.S. Congress to correct their unfair treatment of the case. One of the key targets of the Carter administration’s “human rights diplomacy” was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nd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s oppressions on religious and soci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Christian Academy case, has intensified pressure on the U.S. to take measures to protect “human rights” against South Korea. The Christian Academy Case, the operation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over the “human rights” issue,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U.S. foreign policy on human rights have contributed to the collapse of the Yushin regime.
      번역하기

      The Christian Academy Case, which was announced to the media by the KCIA(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on April 16, 1979, was a fabrication that accused Christian Academy assistant administrators of pro-communist based on possession of North Kor...

      The Christian Academy Case, which was announced to the media by the KCIA(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on April 16, 1979, was a fabrication that accused Christian Academy assistant administrators of pro-communist based on possession of North Korean books and listening to North Korean broadcasts. KCIA took seven suspects into illegal deten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ortured them severely to obtain false confessions. Shortly after the Christian Academy Case, religious groups, including the KNCC, condemned the Christian Academy Case as an act of suppressing labor and peasant movements and violating the freedom of Christian missionary work, and accused it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religious oppression” through the international religious network. World church organizations and religious leaders were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Korea’s trial of the Christian Academy Case and engaged in support and solidarity activities. They also sent messages of pressure to the presidential office of South Korea, the White House of the U.S. and the U.S. Congress to correct their unfair treatment of the case. One of the key targets of the Carter administration’s “human rights diplomacy” was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nd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s oppressions on religious and soci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Christian Academy case, has intensified pressure on the U.S. to take measures to protect “human rights” against South Korea. The Christian Academy Case, the operation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over the “human rights” issue,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U.S. foreign policy on human rights have contributed to the collapse of the Yushin reg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79년 4월 16일 중앙정보부가 언론에 발표한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은 크리스챤 아카데미 간사 등이 북한 서적 소지와 북한 방송 청취 사실을 근거로 용공 혐의를 뒤집어씌운 조작사건이었다. 중앙정보부는 7명의 피의자들을 장기간 불법구금하면서 이들에게 혹독한 고문을 가해 허위 자백을 받아냈다. 사건 발생 직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등 종교단체들은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을 노동운동과 농민운동을 탄압하고 기독교 선교활동의 자유를 침해한 행위라고 규탄하였고, 국제 종교 네트워크를 통해 이 사건을 ‘인권 및 종교 탄압’의 사례로 고발했다. 세계 교회 조직과 종교 지도자들은 한국의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 재판 전개과정에 관심을 갖고 지원과 연대활동을 전개했다. 또한 이들은 청와대와 백악관, 미 의회 등에 이 사건에 대한 부당한 처사를 시정하라는 압력을 넣었다. 카터행정부 ‘인권 외교’의 핵심 타겟 중 하나가 박정희정부였고,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을 포함한 박정희정부의 종교 및 사회단체에 대한 탄압은 미국의 한국에 대한 ‘인권’ 보호 조치에 대한 압력을 강화시켰다.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과 ‘인권’ 문제를 둘러싼 국제적 네트워크의 작동, 미국의 인권 외교 정책의 강화는 유신정권 붕괴의 간접적 원인으로 작용했다.
      번역하기

      1979년 4월 16일 중앙정보부가 언론에 발표한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은 크리스챤 아카데미 간사 등이 북한 서적 소지와 북한 방송 청취 사실을 근거로 용공 혐의를 뒤집어씌운 조작사건...

      1979년 4월 16일 중앙정보부가 언론에 발표한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은 크리스챤 아카데미 간사 등이 북한 서적 소지와 북한 방송 청취 사실을 근거로 용공 혐의를 뒤집어씌운 조작사건이었다. 중앙정보부는 7명의 피의자들을 장기간 불법구금하면서 이들에게 혹독한 고문을 가해 허위 자백을 받아냈다. 사건 발생 직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등 종교단체들은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을 노동운동과 농민운동을 탄압하고 기독교 선교활동의 자유를 침해한 행위라고 규탄하였고, 국제 종교 네트워크를 통해 이 사건을 ‘인권 및 종교 탄압’의 사례로 고발했다. 세계 교회 조직과 종교 지도자들은 한국의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 재판 전개과정에 관심을 갖고 지원과 연대활동을 전개했다. 또한 이들은 청와대와 백악관, 미 의회 등에 이 사건에 대한 부당한 처사를 시정하라는 압력을 넣었다. 카터행정부 ‘인권 외교’의 핵심 타겟 중 하나가 박정희정부였고,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을 포함한 박정희정부의 종교 및 사회단체에 대한 탄압은 미국의 한국에 대한 ‘인권’ 보호 조치에 대한 압력을 강화시켰다.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과 ‘인권’ 문제를 둘러싼 국제적 네트워크의 작동, 미국의 인권 외교 정책의 강화는 유신정권 붕괴의 간접적 원인으로 작용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그문트 바우만, "현대성과 홀로코스트" 새물결 2013

      2 이문영, "한국아카데미총서 12. 민주사회를 위한 대화운동" 문예출판사 1985

      3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화운동사 2" 2009

      4 박원곤, "카터 행정부의 도덕주의 외교와 한국정책: 1979년 카터 대통령 방한의 재해석" 미국학연구소 30 : 23-52, 2007

      5 박원곤, "카터 행정부의 대한정책 : 10·26을 전후한 도덕외교의 적용" 한국정치학회 43 (43): 215-234, 2009

      6 홍석률, "카터 행정부기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과 3자회담" 극동문제연구소 32 (32): 33-71, 2016

      7 김봉중, "카터 인권외교에 대한 재조명" 10 : 1999

      8 윌리엄 글라이스틴, "전 주한미국대사 글라이스틴 회고록―알려지지 않은 역사"

      9 홍성우, "인권변론자료집 6. 1970년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12

      10 손승호, "유신체제와 한국기독교 인권운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1 지그문트 바우만, "현대성과 홀로코스트" 새물결 2013

      2 이문영, "한국아카데미총서 12. 민주사회를 위한 대화운동" 문예출판사 1985

      3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화운동사 2" 2009

      4 박원곤, "카터 행정부의 도덕주의 외교와 한국정책: 1979년 카터 대통령 방한의 재해석" 미국학연구소 30 : 23-52, 2007

      5 박원곤, "카터 행정부의 대한정책 : 10·26을 전후한 도덕외교의 적용" 한국정치학회 43 (43): 215-234, 2009

      6 홍석률, "카터 행정부기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과 3자회담" 극동문제연구소 32 (32): 33-71, 2016

      7 김봉중, "카터 인권외교에 대한 재조명" 10 : 1999

      8 윌리엄 글라이스틴, "전 주한미국대사 글라이스틴 회고록―알려지지 않은 역사"

      9 홍성우, "인권변론자료집 6. 1970년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12

      10 손승호, "유신체제와 한국기독교 인권운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11 김원, "여공 1970, 그녀들의 반(反)역사" 이매진 2005

      12 짐 스텐츨, "시대를 지킨 양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13 장숙경, "산업선교, 그리고 70년대 노동운동" 선인 2013

      14 강원용, "빈들에서―나의 삶, 한국현대사의 소용돌이 3" 도서출판 열린문화 1993

      15 마상윤, "데탕트기의 한미갈등 - 닉슨, 카터와 박정희" 역사문제연구소 (86) : 113-139, 2009

      16 이우재, "내가 겪은 사건 2. 1979년 크리스찬 아카데미 사건" (봄) : 1991

      17 강원용, "나의 현대사 3, 4" 2003

      18 고지수, "김재준과 개신교 민주화운동의 기원" 선인 2016

      19 국가정보원, "과거와 대화, 미래의 성찰 5. 언론·노동 편" 2007

      20 이임하, "1970년대 민중운동 연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5

      21 김상현, "1960~1970년대 초 한국 에큐메니칼 운동과 ‘근대화’와 ‘발전’의 정치" 한국학연구소 (53) : 275-310, 2019

      22 이상록, "1960~1970년대 조지 오글 목사의 도시산업선교 활동과 산업 민주주의 구상"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9) : 91-125,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1.637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