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nuscript of the historical record “Hwarang Segi(花郞世紀)” records the matrimonial alliance between Daegaya and Silla Kingdom, the fall of Daegaya, the world of Daegaya royal families and trends of the Daegaya people after the collapse.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54739
정동락 (대가야박물관)
2016
Korean
필사본 『화랑세기』 ; 대가야 ; 신라 ; 백제 ; 결혼동맹 ; 이뇌왕 ; 양화공주 ; the Manuscript Hwarang Segi ; Daegaya ; Silla ; Baekje ; Matrimonial Alliance ; King Inoe ; Princess Yanghwa
KCI등재
학술저널
185-218(3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nuscript of the historical record “Hwarang Segi(花郞世紀)” records the matrimonial alliance between Daegaya and Silla Kingdom, the fall of Daegaya, the world of Daegaya royal families and trends of the Daegaya people after the collapse. ...
The manuscript of the historical record “Hwarang Segi(花郞世紀)” records the matrimonial alliance between Daegaya and Silla Kingdom, the fall of Daegaya, the world of Daegaya royal families and trends of the Daegaya people after the collapse. The record offers new viewpoints and historical facts on the history of Daegaya lacking historical data. Unless the book is a counterfeit, its content should be quoted as important data for research on Daegaya. On the contrary, even if the book was written by the historian Park Chang-hwa(朴昌和, 1895~1962), it suggests new historical facts about Daegaya, thus deemed meaningful in the history of research or historical studies. The authenticity of the manuscript “Hwarang Segi” is important, but apart from that, its existence means there is not without a new possibility to invigorate independent research on Daegaya. In that regard, this study compares and reviews existing historical books on the matrimonial alliance established in 522 AD between Daegaya and Silla Kingdom and aims to understand the image of Daegaya suggested in “Hwarang Segi.” The royal woman of Silla Kingdom that married King Inoe(異腦王) of Daegaya in 522 was Princess Yanghwa(兩花), who came from a family of Jingol(眞骨), the kingdom’s second highest-ranking aristocrats in charge of foreign diplomacy. Daegaya formed the matrimonial alliance with Silla in order to resolve a national crisis caused by Baekje Kingdom’s eastward march. But, Daegaya was understood as Silla’s subordinate state and eventually submitted to Silla, following the death of Princess Yanghwa. It can be said that the matrimonial alliance between Daegaya and Silla Kingdom offered the onset of Daegaya’s collapse under Silla Kingdom.
국문 초록 (Abstract)
필사본 『화랑세기』는 대가야와 신라의 결혼동맹, 대가야의 멸망, 대가야의 王室世系, 멸망 이후 대가야 사람들의 동향 등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는 사료가 부족한 대가야사와 ...
필사본 『화랑세기』는 대가야와 신라의 결혼동맹, 대가야의 멸망, 대가야의 王室世系, 멸망 이후 대가야 사람들의 동향 등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는 사료가 부족한 대가야사와 관련된 새로운 視覺과 史實을 제시해 준다. 만약, 이 책이 僞書가 아니라면 대가야사 연구의 중요한 사료로 인용되어야 마땅하다. 반대로 朴昌和에 의해 지어진 책이라고 하더라도 대가야사와 관련된 새로운 史實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연구사나 사학사적인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필사본 『화랑세기』는 진위 여부도 중요하지만, 그와는 별개로 대가야사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러한 시각에서 522년에 체결된 대가야와 신라의 결혼동맹에 대해 기존의 史書와 비교・검토하고, 그를 통해 필사본 『화랑세기』가 제시한 大加耶像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522년 대가야의 異腦王과 결혼한 新羅王女는 兩花공주였으며, 그녀의 집안은 외교문제를 담당하였던 진골귀족이었다. 대가야는 백제의 東進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신라와 결혼동맹을 체결하였다. 하지만, 신라로 하여금 대가야를 附庸國으로 인식토록 하고, 양화공주의 사망과 함께 신라에 복속되고 말았다. 대가야와 신라의 결혼동맹은 대가야가 신라에 의해 멸망당하는 단초를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욱, "화랑세기로 본 신라인 이야기" 김영사 2000
2 金台植, "화랑세기, 또 하나의 신라" 김영사 2002
3 신재홍, "화랑세기 역주" 태학사 2009
4 이영식, "한국고대사입문 2" 신서원 2006
5 연민수, "한국고대사 속의 가야" 혜안 2001
6 권덕영, "필사본 『화랑세기』의 진위논쟁 10년" 一志社 99 : 2000
7 이재범, "필사본 『花郞世紀』의 敍事構造와 引用故事에 관한 一考察" 한국고대사탐구학회 (6) : 63-92, 2010
8 정동락, "필사본 『花郞世紀』를 통해 본 대가야의 멸망과 王室 世系" 한국고대사탐구학회 (9) : 5-42, 2011
9 이재범, "필사본 ≪화랑세기≫ 예원공조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회 (20) : 153-178, 2010
10 이근우, "특집 : 백제의 대외교류 ; 웅진시대(熊津時代) 백제(百濟)와 가야(加耶)" 백제문화연구소 (37) : 37-53, 2007
1 이종욱, "화랑세기로 본 신라인 이야기" 김영사 2000
2 金台植, "화랑세기, 또 하나의 신라" 김영사 2002
3 신재홍, "화랑세기 역주" 태학사 2009
4 이영식, "한국고대사입문 2" 신서원 2006
5 연민수, "한국고대사 속의 가야" 혜안 2001
6 권덕영, "필사본 『화랑세기』의 진위논쟁 10년" 一志社 99 : 2000
7 이재범, "필사본 『花郞世紀』의 敍事構造와 引用故事에 관한 一考察" 한국고대사탐구학회 (6) : 63-92, 2010
8 정동락, "필사본 『花郞世紀』를 통해 본 대가야의 멸망과 王室 世系" 한국고대사탐구학회 (9) : 5-42, 2011
9 이재범, "필사본 ≪화랑세기≫ 예원공조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회 (20) : 153-178, 2010
10 이근우, "특집 : 백제의 대외교류 ; 웅진시대(熊津時代) 백제(百濟)와 가야(加耶)" 백제문화연구소 (37) : 37-53, 2007
11 이희진, "최근 제기된『花郞世紀』필사본 조작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고대사탐구학회 (5) : 259-297, 2010
12 조범환, "조문국의 성쇠와 지배세력의 동향" 경북 의성군・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1
13 대가야박물관, "일본 속의 대가야문화-일본에서 찾은 대가야 유물-"
14 박남수, "신발견 朴昌和의 『花郞世紀』 殘本과 鄕歌一首" 43 : 2007
15 남재우, "식민사관에 의한 가야사연구와 그 극복" 한국고대사학회 (61) : 156-191, 2011
16 김태식, "사금갑(射琴匣) 설화의 역사적 이해 - 『화랑세기』관련 기록과의 대비 검토 -" 국립민속박물관 (12) : 103-138, 2003
17 金泰植,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1권" 푸른역사 2002
18 金台植, "두 갈문왕(기보・습보), 같은 여인(조생), 그리고 한 아들(지증) : 또 하나의 『화랑세기』, 『상장돈장』 검증을 위한 시론" 16 : 2006
19 주보돈, "동・서 가야문화벨트의 역사적 의미와 그 활용방안 모색" 고령군・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2008
20 이종욱, "대역 화랑세기-신라인 그들의 이야기-" 소나무 2005
21 고령군 대가야박물관, "대가야사야 연구의 현황과 과제" 나래디자인 2012
22 권주현, "개정판 가야인의 삶과 문화" 혜안 2009
23 백승충, "가라・신라 ‘결혼동맹’의 결렬과 그 추이" 20 : 1996
24 연민수, "輔國將軍・本國王과 金官國" 한일관계사학회 (38) : 3-28, 2011
25 이종학, "花郞世紀를 다시 본다-7세기 신라 화랑들의 생생한 삶의 이야기-" 주류성 2003
26 고령군 경북대, "日本列島속의 大加耶文化" 2009
27 김복순, "新羅華嚴宗硏究" 民族社 1990
28 이영식, "新羅末高麗初의 政治・社會變動" 신서원 1994
29 이형기, "大加耶의 形成과 發展硏究" 景仁文化社 2009
30 金泰植, "大加耶의 世系와 道設智" 81 : 1996
31 임범식, "伽耶史연구와 『화랑세기』" 15 : 2002
32 정동락, "于勒의 생애와 활동 - 정치적 측면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소 (42) : 265-301, 2009
33 박문옥, "『화랑세기』로 본 金庾信의 世系, 姻統과 婚姻-신라 골품제하에서의 지위-" 한국상고사학회 43 (43): 73-102, 2004
34 이종욱, "『花郞世紀』를 보는 눈" 한국고대사탐구학회 (6) : 5-27, 2010
35 金基興, "『花郞世紀』 두 사본의 성격" 역사학회 178 : 1-27, 2003
36 권주현, "『三國史記』에 보이는 4~5세기의 加耶와 三國과의 관계" 신라문화연구소 38 : 53-84, 2011
37 이재범, "≪화랑세기≫ ‘이종욱본’의 저자와 사료적 가치에 대하여" 신라사학회 (17) : 219-262, 2009
38 김태식, "‘世紀의 발견’, 『花郞世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6) : 29-61, 2010
39 노중국, "6세기 전반 대가야의 왕위 교체와 정책의 변화" 한국고대사학회 (66) : 253-285, 201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7 | 2.484 |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