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l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도검(刀劒)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무력(武力)을 상징하는 기물로 인식되어져 왔다. 살상무기(殺傷武器)라는 일차적인 성격을 지닌 개인용 단병기(短兵器)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l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도검(刀劒)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무력(武力)을 상징하는 기물로 인식되어져 왔다. 살상무기(殺傷武器)라는 일차적인 성격을 지닌 개인용 단병기(短兵器)인 ...
국문초록l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도검(刀劒)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무력(武力)을 상징하는 기물로 인식되어져 왔다. 살상무기(殺傷武器)라는 일차적인 성격을 지닌 개인용 단병기(短兵器)인 도검은, 그 무기를 소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에 대한 생사여탈권(生死與奪權)을 행사할 수 있는 무력의 권위(權威)를 지니게끔 한다. 이러한 도검을 선물로 주는 행위는, 선물을 받는 자에게 외적(外敵)과 악인(惡人)을 척살하는 무력의 권위를 부여함을 뜻하거나, 선물받는 자를 요괴(妖怪)나 악수(惡獸) 등의 온갖 사악한 외물(外物)로부터 무력으로 지켜주는 호신의 부적을 증여한다는 의미를 지니게 된다. 외적과 악인을 척살하는 권위를 지닌 도검은, 사대부의 의리정신을 반영하는 의검(義劒)의 형상으로서 문학 속에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소유자를 사악한 외물로부터 지켜주는 도검은, 벽사(辟邪)의 신물(神物)인 신검(神劒)의 면모를 작품 속에 드러낸다. 이러한 두 유형을 동시에 지니는 도검이 소유자에게 증여된 이후에는, 군자(君子)의 수신기물(修身器物)인 수양검(修養劒)의 의미를 지니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의검과 신검, 수양검의 의상(意象)은 조선시대의 도검문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근저가 되고, 그 중 도검선물의 유형을 분석하는데 있어서도 큰 도움이 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하여, 조선후기 도검증여의 다양한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내의 도검증여’에서는 친족간의 도검증여와 무관이 받은 도검선물에 관해 설명하였고, ‘국제적 도검교류’에서는 조선인과 외국인 간 친교의 징표로서의 도검선물과 조선과 중국간 외교의 예물로서의 도검증여에 대해 논하였다. 상기 사례들에 관한 이러한 연구는, 조선의 도검문화와 도검문학에 대한 이해도를 증대시켜주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ross the all ages and the nations of the world, a sword has been known as a recognition and symbol of authority. A sword is personal basic weapon for killing the enemy. By having sword, a person has the authority to choose the enemy’s life and dea...
Across the all ages and the nations of the world, a sword has been known as a recognition and symbol of authority. A sword is personal basic weapon for killing the enemy. By having sword, a person has the authority to choose the enemy’s life and death. Giving a sword as gift means one who receive it, that person can gain great authority to fight foreign enemies and evil ones. They also believed sword has similar effect as an amulet that can protect person from monsters and evil creatures. In the Korean Sword literature, A sword of the used for demolish foreign enemies and evil ones are known as an UiGeom(義劒:Sword of justice). And an amulet sword which protects owner from monsters and evil creatures are known as an ShinGeom(神劒: Amulet Sword to avert evils). A sword as a gift contains these two aspects and after they are given to the new owner, it becomes a SuyangGeom(修養劒:Swords to improve spiritual culture). These three images of Korean sword;UiGeom, ShinGeom, and SuyangGeom helps to understand Korean sword culture and to analyze gift swords by types. This paper analyzed a gift of swords in Korea by types. ‘Domestic sword gift’ shows a sword gift between relatives or a military officer. ‘Global sword gift’ indicates a friendship and an official presents between Korea and China. These helps to understand a Korean sword culture and a Korean Sword litera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칼, 실용과 상징"
2 후지츠카 치카시[藤塚鄰], "추사 김정희의 또다른 얼굴" 아카데미하우스 1994
3 조혁상, "조선후기 도검의 문학적 형상화 연구" 成均館大學校 2011
4 "우리나라의 傳統武器"
5 "겨레를살린두자루칼(충무공장검제작7주갑기념특별전) 圖錄"
6 "鼓山集 敦巖集 默軒先生文集 眉叟記言 白湖全書 汾厓遺稿"
7 安大會, "魏際瑞의 인물됨과 伯子論文의 가치" 29 : 353-399, 2013
8 "韓國傳統武器調査(刀劒火器類)"
9 "象村集 碩齋稿 星湖全集 硏經齋全集 元和郡縣志 耳溪集"
10 曺相烈, "白湖林悌文學硏究" 又石大學校 2006
1 "칼, 실용과 상징"
2 후지츠카 치카시[藤塚鄰], "추사 김정희의 또다른 얼굴" 아카데미하우스 1994
3 조혁상, "조선후기 도검의 문학적 형상화 연구" 成均館大學校 2011
4 "우리나라의 傳統武器"
5 "겨레를살린두자루칼(충무공장검제작7주갑기념특별전) 圖錄"
6 "鼓山集 敦巖集 默軒先生文集 眉叟記言 白湖全書 汾厓遺稿"
7 安大會, "魏際瑞의 인물됨과 伯子論文의 가치" 29 : 353-399, 2013
8 "韓國傳統武器調査(刀劒火器類)"
9 "象村集 碩齋稿 星湖全集 硏經齋全集 元和郡縣志 耳溪集"
10 曺相烈, "白湖林悌文學硏究" 又石大學校 2006
11 "潛谷遺稿 貞㽔閣集 海東繹史 瓛齋集 縞紵集"
12 김채식, "槿墨"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2009
13 안대회, "楚亭 朴齊家의 燕行과 일상속의 국제교류" 국학연구원 (145) : 37-64, 2009
14 申翼澈外譯, "松泉筆譚 1 2 3" 보고사 2009
15 "朝鮮의 刀劒, 忠을 벼루다"
16 조혁상, "朝鮮朝 寅劒의 象徵性 硏究"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62) : 131-160, 2007
17 "朝鮮時代의 刀劒"
18 조혁상, "朝鮮後期 士人의 日本刀 認識에 대한 考察" 우리한문학회 20 : 515-544, 2009
19 조혁상, "朝鮮後期 士人의 刀劒愛好傾向에 대한 考察" 동방한문학회 (52) : 351-388, 2012
20 趙赫相, "忠武公李舜臣의 劒에 대한 小考" 順天鄕大學校李舜臣硏究所 (10) : 144-171, 2009
21 민족문학사연구소 한문분과, "三溟詩話" 소명출판 2006
단릉(丹陵) 이윤영(李胤永)의 시문에 나타난 영남의 인상
국사(한국사) 교과서 속 <민족> 서술의 변화와 그 배경
소련 해체 이후, 한국 전통춤을 통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6-02-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Cultural Studie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6-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Cultural Research Institute -> Korea Culture Research Institute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 | 0.73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