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전공의 분화 및 발전이나 사회적 요구 등으로 인한 전공의 세분화 경향, 그리고 학부제의 활성화에 따라 자칫 심화될 수 있는 전공의 세분화 경향에 대한 보완장치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06052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전공의 분화 및 발전이나 사회적 요구 등으로 인한 전공의 세분화 경향, 그리고 학부제의 활성화에 따라 자칫 심화될 수 있는 전공의 세분화 경향에 대한 보완장치로...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전공의 분화 및 발전이나 사회적 요구 등으로 인한 전공의 세분화 경향, 그리고 학부제의 활성화에 따라 자칫 심화될 수 있는 전공의 세분화 경향에 대한 보완장치로서의 연계전공제도를 검토하여 기존 연계전공과정의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밝혀내는 동시에 이와 같은 연계전공과정의 활성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였다.
그리고 향후 연계전공과정을 지속적으로 개발 및 보완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검토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전공의 설치에 따른 부담감을 해소하는 동시에 기존의 유사전공간 화학적 결합 및 통합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문 초록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방법 Ⅱ. 연계전공제도의 운영 현황 1. 대학의 연계전공제 1) 개설현황 2) 운영체제 2. 목포대학교...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방법
Ⅱ. 연계전공제도의 운영 현황
1. 대학의 연계전공제
1) 개설현황
2) 운영체제
2. 목포대학교의 연계전공제도
1) 운영현황
2) 운영체제
3. 연계전공제도 운영상의 특징
Ⅲ. 연계전공제도의 문제점
1. 연계전공제도에 대한 인식
1) 연계전공제도의 인지
2) 연계전공제도 취지에 대한 인식
3) 연계전공제도 운영상 문제점의 인지
2. 연계전공제도의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적정성
2) 교육과정의 개편
3. 연계전공제도의 운영
1) 운영상의 장애요인
2) 운영상의 개선사항
4. 연계전공제도의 관리기구
5. 연계전공 운영경험상의 문제점
Ⅳ. 연계전공제도의 개선방안
1. 연계전공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확충
1) 연계전공제도를 위한 규정의 마련
2) 기존 전공(학과) 수준의 책임주체를 설정
3) 시간표편성시 타 교과목과 동등한 지위를 부여
4) 교육과정의 구성 및 교과목내용의 개선
2. 연계전공제도 관리기구의 설치
1) 연계전공제도의 전담관리기구
2) 연계전공제도를 위한 상설기구
3) 연계전공제도를 위한 전문기구
Ⅴ. 연구결과의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