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임진왜란기 內浦지역과 민의 동향 = People’s Trends and the Situation of Naepo(內浦) Area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to Korea Starting in 159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149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ung-nam province in Joseon Dynasty was basically divided into Naepo(內浦) cultural areas and Keumgang-river areas, with being situated in the middle of Keumbuck mountain line. Naepo areas were the places that showed dynamics and openness due to th...

      Chung-nam province in Joseon Dynasty was basically divided into Naepo(內浦) cultural areas and Keumgang-river areas, with being situated in the middle of Keumbuck mountain line. Naepo areas were the places that showed dynamics and openness due to their marine feature of the west sea of Korea, which was different from Keumgang-river areas. These areas were ordinary people-oriented due to the commercial development because of the reason that it was the intermediate place of ‘water traffic’, connecting three southern-local provinces and the capital area. Meanwhile, enfolding Asan bay, inside river areas were geographically center-placed since it has a common life zone of the capital,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se advantages that Naepo areas contained turned out to be a disaster during the Invasion of Japan, which was an unprecedented war between the two nations. It was because those areas became the largest evacuation places in the early period of the war, and were forced, due to its geographical advantages, to play a crucial role in supporting logistics of Joseon army. As a result, experiences that Naepo areas had to go through were more horrible than those of areas directly occupied by Japanese army, which resulted in ordinary people’s seriously suffering. In the middle of this situation, those places were considered as disserted by the Joseon government, with revolts taking places such as the revolt of ‘Song yoojin’ and ‘Lee monghak’. It had to take a long time to cure the pain and recover its own shape even after the tragedy of war since the wound was so deep.
      After the war, Naepo areas became the places of interests by the elite officials of the Seoul. It’s because those areas were known as places appropriate for escaping since there are mountains and stable walls of defense, and there are abundant natural products, which derives from Asan bay. Moreover, those places became known as good shelters because they are located nearby Gongju’s Yoogu, places regarded as sincerely safe in the period of natural and artificial disasters. In conclusion, it is likely that new cultural waves of elite officials were gradually formed right after elite officials flew into Naepo areas and settled down as of 17th centu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조선전기 內浦지역의 역사지리적 특성
      • Ⅲ. 임진왜란의 발발과 내포지역의 병참기지화
      • Ⅳ. 민중반란의 전개와 내포지역민의 동향
      • Ⅴ. 정유재란과 내포지역 동향
      • Ⅰ. 머리말
      • Ⅱ. 조선전기 內浦지역의 역사지리적 특성
      • Ⅲ. 임진왜란의 발발과 내포지역의 병참기지화
      • Ⅳ. 민중반란의 전개와 내포지역민의 동향
      • Ⅴ. 정유재란과 내포지역 동향
      • Ⅵ. 임진왜란이 남긴 상처와 내포지역
      • Ⅶ.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林下筆記"

      2 "亂中雜錄"

      3 김기승, "홍가신과 임진왜란 - 충청 지역 지방관이 경험한 임진왜란 전후의 조선사회" (사)한국인물사연구회 (8) : 221-247, 2007

      4 임선빈, "조선후기 내포지역의 역사지리적 성격" 29 : 2000

      5 이장희, "임진왜란 중 민간반란에 대하여" 32 : 1968

      6 김진봉, "임진란중 호서지방의 의병활동과 지방사민의 動態에 관한 연구" 34 : 1982

      7 박용숙, "이몽학난에 대한 고찰, In 조선후기사회사연구" 늘함께 1994

      8 최완기, "아산 공진창의 설치와 운영, In 아산의 역사와 문화" 아산군․공주대박물관 1993

      9 김추윤, "삽교천과 역사문화" 당진문화원 1995

      10 차기진, "공세리성지․성당자료집" 천주교 대전교구 2008

      1 "林下筆記"

      2 "亂中雜錄"

      3 김기승, "홍가신과 임진왜란 - 충청 지역 지방관이 경험한 임진왜란 전후의 조선사회" (사)한국인물사연구회 (8) : 221-247, 2007

      4 임선빈, "조선후기 내포지역의 역사지리적 성격" 29 : 2000

      5 이장희, "임진왜란 중 민간반란에 대하여" 32 : 1968

      6 김진봉, "임진란중 호서지방의 의병활동과 지방사민의 動態에 관한 연구" 34 : 1982

      7 박용숙, "이몽학난에 대한 고찰, In 조선후기사회사연구" 늘함께 1994

      8 최완기, "아산 공진창의 설치와 운영, In 아산의 역사와 문화" 아산군․공주대박물관 1993

      9 김추윤, "삽교천과 역사문화" 당진문화원 1995

      10 차기진, "공세리성지․성당자료집" 천주교 대전교구 2008

      11 윤용혁, "고려의 대몽항쟁과 아산-1236년과 1256년 아산지역 전투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28) : 251-274, 2011

      12 "鶴峯逸稿"

      13 "高麗史"

      14 "鎖尾錄"

      15 "硏經齋全集"

      16 "白沙集"

      17 金百善, "溫宮六百年" 한국예총 아산지부 2000

      18 "浦渚集"

      19 "朝鮮王朝實錄"

      20 최완기, "朝鮮時代牙山貢津倉의 설치와 운영" 서울시립대 7 : 2001

      21 이형석, "壬辰戰亂史" 신현실사 1976

      22 최근묵, "壬辰倭亂때의 湖西地方의 民間叛亂" 백제연구소 5 : 1974

      23 곽호제, "任辰倭亂期 湖西義兵 硏究" 忠南大學校 大學院 1999

      24 최영준, "19세기 내포지역의 천주교 확산" 34 (34):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
      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43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