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주요항만의 품목별 특화도와 물동량의 변동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87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항만은 배후 산업과 연계 된 산업항, 수출입을 지원하는 무역항 등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면서 물동량이 증가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만별/화물별 화물의 집중도, 특화도 그리고 물동량의 상대적 변동성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품목별 항만 물동량의 구조적 변동성을 집중도, 특화도, 변이할당분석을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기간은 2001∼2020년이며 항만은 전체 물동량 기준으로 상위 10개 항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화물의 유형은 4가지 액화, 건화물, 일반화물, 컨테이너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집중도, 특화도와 화물량의 변동성 분석을 위해 HHI, 입지계수(LQ), 변이할당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4 개 화물별 항만 집중도와 특화도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 20년간 변동폭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변이할당분석을 통한 화물의 증감량을 산정한 결과, 액상화물에서는 여수·광양항, 건화물에서는 평택·당진항에서 일반화물과 컨테이너 화물에서는 부산항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는 우리나라 항구의 화물 집중도 및 특화도는 향후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화물의 집중화와 특화가 진행되어 규모의 경제와 클러스터링 효과가 상당 수준 달성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우리나라 항만은 배후 산업과 연계 된 산업항, 수출입을 지원하는 무역항 등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면서 물동량이 증가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만별/화물별 화물의 집중도, 특화도...

      우리나라 항만은 배후 산업과 연계 된 산업항, 수출입을 지원하는 무역항 등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면서 물동량이 증가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만별/화물별 화물의 집중도, 특화도 그리고 물동량의 상대적 변동성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품목별 항만 물동량의 구조적 변동성을 집중도, 특화도, 변이할당분석을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기간은 2001∼2020년이며 항만은 전체 물동량 기준으로 상위 10개 항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화물의 유형은 4가지 액화, 건화물, 일반화물, 컨테이너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집중도, 특화도와 화물량의 변동성 분석을 위해 HHI, 입지계수(LQ), 변이할당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4 개 화물별 항만 집중도와 특화도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 20년간 변동폭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변이할당분석을 통한 화물의 증감량을 산정한 결과, 액상화물에서는 여수·광양항, 건화물에서는 평택·당진항에서 일반화물과 컨테이너 화물에서는 부산항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는 우리나라 항구의 화물 집중도 및 특화도는 향후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화물의 집중화와 특화가 진행되어 규모의 경제와 클러스터링 효과가 상당 수준 달성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rts in Korea have been increasing in terms of volume while they have performed functions and roles such as industrial ports in promoting industries of their hinterlands as well as commercial ports supporting imports and exports. Nevertheless, specialization degree is different from port to port by cargo type and the changes in cargo volum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nges and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specialization by cargo type and port between 2001 and 2020. Top 10 por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raffic volume by categorizing liquid, dry, general cargo and containers. HHI(Herfindahl-Hirschman Index), LQ(Location Coefficient), and shift-share analysis were employed in order to identify the degree of concentration, specialization and changes in cargo volume by port and cargo typ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egree of port concentration and specialization for each cargo of 4 categories have maintained a high level,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fluctuations over the past 20 year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flucation of cargo volume through the shift-share analysis, the growth rate of liquid cargo was high in Yeosu Gwangyang Port, Pyeongtaek Dangjin Port in dry cargo, and Busan Port in general cargo and container ports. The result implies that it is not expected that the structural changes including degree of cargo concentration, specialization and relative fluctuation of cargo volume is significant in Korean ports in the future since the effects of economies of scale and clustering were achieved to the great degree.
      번역하기

      Ports in Korea have been increasing in terms of volume while they have performed functions and roles such as industrial ports in promoting industries of their hinterlands as well as commercial ports supporting imports and exports. Nevertheless, specia...

      Ports in Korea have been increasing in terms of volume while they have performed functions and roles such as industrial ports in promoting industries of their hinterlands as well as commercial ports supporting imports and exports. Nevertheless, specialization degree is different from port to port by cargo type and the changes in cargo volum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nges and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specialization by cargo type and port between 2001 and 2020. Top 10 por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raffic volume by categorizing liquid, dry, general cargo and containers. HHI(Herfindahl-Hirschman Index), LQ(Location Coefficient), and shift-share analysis were employed in order to identify the degree of concentration, specialization and changes in cargo volume by port and cargo typ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egree of port concentration and specialization for each cargo of 4 categories have maintained a high level,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fluctuations over the past 20 year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flucation of cargo volume through the shift-share analysis, the growth rate of liquid cargo was high in Yeosu Gwangyang Port, Pyeongtaek Dangjin Port in dry cargo, and Busan Port in general cargo and container ports. The result implies that it is not expected that the structural changes including degree of cargo concentration, specialization and relative fluctuation of cargo volume is significant in Korean ports in the future since the effects of economies of scale and clustering were achieved to the great degre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우리나라 항만물동량의 특화도와 변동성 분석
      • Ⅳ. 우리나라 항만물 동량 변동성의 포트폴리오 분석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우리나라 항만물동량의 특화도와 변동성 분석
      • Ⅳ. 우리나라 항만물 동량 변동성의 포트폴리오 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노경, "지니계수와 로렌츠곡선을 이용한 국내항만의 화물집중도 분석" 한국무역학회 27 (27): 285-304, 2002

      2 장준청, "중국 컨테이너 항만의 집중화와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31 (31): 169-187, 2015

      3 김율성, "인천국제공항 환적화물의 유통경로 및 포트폴리오 분석" 한국무역통상학회 12 (12): 129-146, 2012

      4 박노경, "우리나라 항만의 집중도에 관한 실증분석Rimmer, Hoyle, Hirshmann-Herfindahl 모델적용" 49-79, 2001

      5 김은수,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와 변이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32 (32): 135-149, 2016

      6 공정민, "서해안권 벌크화물의 집중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인천, 평택·당진, 군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해운물류학회 33 (33): 749-768, 2018

      7 추연길,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통합에 관한 연구 - 항만집중도분석과 통합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 25 (25): 207-228, 2009

      8 Yanfeng Liu, "Volatility and Attraction Strategies for Transshipment Cargo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Korea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22 (22): 75-98, 2020

      9 Gwin, C. R., "The firm and managerial misdirection of worker effort" 39 (39): 17-29, 2001

      10 Krugman, P., "The Oxford handbook of economic ge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 박노경, "지니계수와 로렌츠곡선을 이용한 국내항만의 화물집중도 분석" 한국무역학회 27 (27): 285-304, 2002

      2 장준청, "중국 컨테이너 항만의 집중화와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31 (31): 169-187, 2015

      3 김율성, "인천국제공항 환적화물의 유통경로 및 포트폴리오 분석" 한국무역통상학회 12 (12): 129-146, 2012

      4 박노경, "우리나라 항만의 집중도에 관한 실증분석Rimmer, Hoyle, Hirshmann-Herfindahl 모델적용" 49-79, 2001

      5 김은수,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와 변이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32 (32): 135-149, 2016

      6 공정민, "서해안권 벌크화물의 집중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인천, 평택·당진, 군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해운물류학회 33 (33): 749-768, 2018

      7 추연길,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통합에 관한 연구 - 항만집중도분석과 통합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 25 (25): 207-228, 2009

      8 Yanfeng Liu, "Volatility and Attraction Strategies for Transshipment Cargo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Korea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22 (22): 75-98, 2020

      9 Gwin, C. R., "The firm and managerial misdirection of worker effort" 39 (39): 17-29, 2001

      10 Krugman, P., "The Oxford handbook of economic ge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1 Rodrigue, J. P., "The Geography of Transport Systems" Routledge 2013

      12 Marti, B. E., "The Evolution of Pacific Basin Load Centres" 15 (15): 57-66, 1988

      13 Marti, B. E., "The Competitive Environment of Southeast Florida’s Ports" 25 : 1991

      14 Kuby, M.,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US general cargo port system : 1970–88" 68 (68): 272-289, 1992

      15 Kuby, M.,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U. S. Central Cargo Port Systems : 1970-1988" 3 (3): 272-289, 1995

      16 Charlier, J. J., "Structural change in the Belgian port system, 1980–1986" 15 (15): 315-326, 1988

      17 Peker, Z., "Specialization, Diversity" 1-25, 2012

      18 Hanson G. H., "Scale economies and the geographic concentration of industry" 1 : 255-276, 2001

      19 Rimmer, P. J., "Recent Changes in the Status of Seaports in the New Zealand Coastal Trade" 43 (43): 231-243, 1967

      20 Hayuth, Y., "Rationalization and deconcentration of the US container port system" 40 (40): 279-288, 1988

      21 Akgüngör, S., "National Industry Clusters and Regional Specializations in Turkey" 11 (11): 647-669, 2003

      22 Speir. C., "Measuring Differential Changes in Commercial Fishing Ports: A Shift- Share Analysis of North-Central California"

      23 Crawley, A., "Making Location Quotients More Relevant as a Policy Aid in Regional Spatial Analysis" 50 (50): 1854-1869, 2013

      24 Le. Y., "Evolution dynamics of container port systems with a geo-economic concentration index : A comparison of Japan, China and Korea" 1 (1): 46-61, 2010

      25 Notteboom, T. E., "Economic analysis of the European seaport system" University of Antwerp 2009

      26 Zeng, Q., "Dry Port Development in China: Motivation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52 (52): 234-240, 2013

      27 Day, G. S., "Diagnosing the Product Portfolio" 29-38, 1977

      28 Hayuth, Y., "Containerization and the Load Center Concept" 57 (57): 160-176, 1981

      29 Hayuth, Y., "Concepts of strategic commercial location : the case of container ports" 21 (21): 187-193, 1994

      30 Rafael, R., "Concentration of Goods Traffic in Spanish Ports During the Period 2000-2009" 13 (13): 59-72, 2013

      31 Notteboom, T. E., "Concentration and the formation of multi-port gateway regions in the European container port system : an update" 18 (18): 567-583, 2010

      32 Varan, S., "Concentration and competition of container ports in Turkey: A statistical analysis" 6 (6): 91-110, 2014

      33 Notteboom, T. E., "Concentration and Load Centre Development in the European Container Port System" 5 (5): 99-115, 1997

      34 Seon-Min Lee, "Co-Opetition Strategy and Competition Structure Analysis on Ports in Western Coast" The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29 (29): 2435-, 2016

      35 Taehwee LEE, "Changing Concentration Ratios and Geographical Patterns of Bulk Ports: The Case of the Korean West Coast" 한국해운물류학회 30 (30): 155-174, 2014

      36 Liu, N., "An Analysis of the Competition of Ports in the Shanghai International Shipping Hub, Department of Management Science and Engineering School of Management"

      37 Zhuang, W., "A game theory analysis of port specialization implications to the Chinese port industry" 41 (41): 268-287, 2014

      38 Viet Linh Dang, "A concentration pattern analysis of port systems in South East Asia" Korea Maritime Institute 31 (31): 131-166, 2016

      39 Choong-Bae Lee, "A Trend Analysis on Export Container Volume Between Korea and East Asian Ports" The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34 (34): 97-113, 2018

      40 Choong-bae Lee, "A Study on the Volatility of Container Transhipment Cargoes of Origin-Destination in Korea"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Commerce 34 (34): 63-82, 2019

      41 Yan-Feng Liu,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nges of Import & Export Container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Ports" Korea Logistics Research Association 29 (29): 1-12, 2019

      42 Taewon Chung, "A Study on a Structure Shift Analysis of Container Cargoes among Incheon Container port and Container ports in North China" The Korean Association of Shipping and Logistics, Inc. 29 (29): 783-801,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3 1.08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