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청소년정책 대응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46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 19 사태 등 국가재난 상황이 청소년과 청소년이 처한 환경을 급격하게 변화시켰으며 청소년정책 및 서비스체계의 기존운영, 정책 방향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변화, 적...

      본 연구는 코로나 19 사태 등 국가재난 상황이 청소년과 청소년이 처한 환경을 급격하게 변화시켰으며 청소년정책 및 서비스체계의 기존운영, 정책 방향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변화, 적응시켜야 할 당위성과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진취적, 선제적,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청소년정책 패러다임 변화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고, 국가재난 상황과 변화하는 미래에 능동적으로 적응 변화하는 증거기반적 청소년 정책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포스트코로나와 청소년정책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정책분석방법론 콜로키움 개최, 외국사례 및 국제기구 사례 검토, 비정형, 정형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책 의제 도출, 청소년 설문조사, 청소년 현장 및 학계 전문가 심층면접 등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향식(Top-down) 청소년정책 위주에서 상향식(Bottom up) 청소년정책 확대로의 변화, 미래의 중요한 키워드로써 상호간의 ‘협력’ 강조, 위기로 체득된 경험의 체계화, 제도화, 청소년정책 추진과 관련하여 국가, 지자체, 현장, 지역사회가 해야 할 일에 대한 숙고를 통한 명확한 역할 분담, 쇼크 독트린(shock doctrine)의 포스트코로나 시대로의 지속 지양, 미래를 기술 중심으로 바라보는 시각의 한계 지각: 지향점이 아닌 수단으로써 과학기술, 데이터 기반 행정으로의 전환 등을 제안하였고 정책적, 실천적 측면의 세부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ed a direction and vision of the youth policy paradigm that proactively, preemptively, and actively responds to the age of post-COVID-19 and an evidence-based plan for youth policies that are adaptively changing in the face of nation...

      This study presented a direction and vision of the youth policy paradigm that proactively, preemptively, and actively responds to the age of post-COVID-19 and an evidence-based plan for youth policies that are adaptively changing in the face of national disaster and the future.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national disasters, including the COVID-19 pandemic, have rapidly changed the youth and their lives. The study presents that it should be necessary and imperative for the existing direction of youth policies and the service system to be proactively transformed and adapted.
      The research methods employ theoretical reviews on post-COVID-19 and youth policies, holding a policy analysis methodology colloquium, reviewing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drawing policy agendas using unstructured and structured big data, surveys on the youth,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and academic experts.
      Based on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it suggested various to-do lists and detailed policy tasks in the practical aspect: the change from top-down youth policy to bottom-up youth policy, emphasis on mutual “cooperation” as important keywords in the future, systemat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experiences learned through crisis, clear role sharing of state, local governments, field, and community by seriously considering their missions in terms of youth policy promotion, preventing shock doctrine from continuing in the post-COVID-19 era, recognizing the limits of viewing the future as technology-oriented, technology as an instrument rather than a goal, and transition to a data-based administ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지]
      • [보고서를 펴내며]
      • [연구요약]
      • 1. 연구목적
      • 2. 연구방법
      • [표지]
      • [보고서를 펴내며]
      • [연구요약]
      • 1. 연구목적
      • 2. 연구방법
      • 3. 주요결과
      • 4. 정책제언
      • [차례]
      • 표목차
      • 그림목차
      • [제1장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추진 과정
      • 3. 연구내용 및 방법
      • [제2장 이론적 배경]
      • 1. 포스트 코로나 등 국가 재난 상황 개념
      • 2. 포스트 코로나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 3. 한국의 코로나19로 인한 경험과 대응 및 환경 분석
      • [제3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뉴노멀 시대) 외국 및 국제기구의 청소년정책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1. 포스트 코로나 시대(뉴노멀 시대) 외국의 청소년정책 동향
      • 2. 포스트 코로나 시대(뉴노멀 시대) 국제기구의 청소년정책 동향
      • 3. 시사점
      • [제4장 청소년 설문조사]
      • 1. 조사 영역 및 내용의 구성
      • 2. 표집
      • 3. 조사결과
      • [제5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청소년정책 대응 현안 모색 심층면접]
      • 1. 심층면접 개요
      • 2. 심층면접 분석 결과
      • 3. 소결
      • [제6장 정책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국문초록]
      • [ABSTRACT]
      • [2021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간행물 안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