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CIE

      상완골 골수염의 기왕력이 있는 혈액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동측의 중심정맥 협착증 = A Case of Central Vein Stenosis in a Hemodialysis Patient with History of Humerus Osteomyelitis Ipsilateral to Arteriovenous Fistu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79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혈액투석 환자에서 발생하는 중심정맥 협착증은 흔하지 않으나 동정맥루 기능 이상을 초래하고 또한 흉강 내에 위치하고 있어 외과적 교정술이 매우 까다로운 질환으로 주로 방사선학적 중재술로 교정하고 있다. 주요 원인은 동정맥루 수술 전에 일시적으로 혈액투석을 시행하기 위한 혈액투석용 중심정맥 도관 삽입 혹은 수액투여나 혈관확보를 위한 중심정맥 도관 삽입으로 전체 중심정맥 협착증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1). 저자들도 31예의 중심정맥 협착증 환자에서 협착증 원인을 조사한 결과 28예에서 도관 삽입과 관련이 있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2). 나머지 10% 미만에서는 중심정맥 도관 삽입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에서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현재까지 밝혀져 있지 않다3). 가능한 원인으로는 동정맥루 수술 후 장기간 동정맥루를 통한 과다한 혈류량의 중심정맥 유입이나 중심정맥에 위치한 정맥 밸브에서 발생하는 와류, 그리고 외부 인자에 의한 중심정맥 압박 등으로 추측되고 있다4). 연부조직 혹은 장기의 심한 염증은 주변에 인접한 혈관으로 전파되어 이 부위의 혈관내 혈전증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러한 측면에서 중심정맥으로 유입하는 견관절 혹은 상완의 연부조직의 감염이나 골수염이 중심정맥 협착증을 야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와 관련된 증례는 현재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최근 동정맥루 동측의 상완골 골수염을 앓았던 환자에서 중심정맥 도관 삽입의 기왕력 없이 발생한 동측의 중심정맥 완전 폐쇄를 진단하고 경피적 혈관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한 경험이 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혈액투석 환자에서 발생하는 중심정맥 협착증은 흔하지 않으나 동정맥루 기능 이상을 초래하고 또한 흉강 내에 위치하고 있어 외과적 교정술이 매우 까다로운 질환으로 주로 방사선학적 중...

      혈액투석 환자에서 발생하는 중심정맥 협착증은 흔하지 않으나 동정맥루 기능 이상을 초래하고 또한 흉강 내에 위치하고 있어 외과적 교정술이 매우 까다로운 질환으로 주로 방사선학적 중재술로 교정하고 있다. 주요 원인은 동정맥루 수술 전에 일시적으로 혈액투석을 시행하기 위한 혈액투석용 중심정맥 도관 삽입 혹은 수액투여나 혈관확보를 위한 중심정맥 도관 삽입으로 전체 중심정맥 협착증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1). 저자들도 31예의 중심정맥 협착증 환자에서 협착증 원인을 조사한 결과 28예에서 도관 삽입과 관련이 있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2). 나머지 10% 미만에서는 중심정맥 도관 삽입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에서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현재까지 밝혀져 있지 않다3). 가능한 원인으로는 동정맥루 수술 후 장기간 동정맥루를 통한 과다한 혈류량의 중심정맥 유입이나 중심정맥에 위치한 정맥 밸브에서 발생하는 와류, 그리고 외부 인자에 의한 중심정맥 압박 등으로 추측되고 있다4). 연부조직 혹은 장기의 심한 염증은 주변에 인접한 혈관으로 전파되어 이 부위의 혈관내 혈전증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러한 측면에서 중심정맥으로 유입하는 견관절 혹은 상완의 연부조직의 감염이나 골수염이 중심정맥 협착증을 야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와 관련된 증례는 현재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최근 동정맥루 동측의 상완골 골수염을 앓았던 환자에서 중심정맥 도관 삽입의 기왕력 없이 발생한 동측의 중심정맥 완전 폐쇄를 진단하고 경피적 혈관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한 경험이 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entral vein stenosis (CVS) is a serious complica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mostly related to central vein catheterization. Although rare, CVS may also develop without any previous history of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Here we report a case of central vein stenosis in a hemodialysis patient with the history of humerus osteomyelitis ipsilateral to arteriovenous fistula. The patient did not have any previous history of central vein catheterization. She received radial artery-cephalic vein fistula operation for maintenance hemodialysis. Venography was performed because of inadequate vein maturation 2 months after the operation. Venography shows complete occlusion of left innominate vein, multiple collateral veins and backflow of left internal jugular vein.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with stent insertion, the innominate vein was fully dilated and the collateral vessels completely disappeared.
      번역하기

      Central vein stenosis (CVS) is a serious complica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mostly related to central vein catheterization. Although rare, CVS may also develop without any previous history of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Here we report a case of...

      Central vein stenosis (CVS) is a serious complica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mostly related to central vein catheterization. Although rare, CVS may also develop without any previous history of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Here we report a case of central vein stenosis in a hemodialysis patient with the history of humerus osteomyelitis ipsilateral to arteriovenous fistula. The patient did not have any previous history of central vein catheterization. She received radial artery-cephalic vein fistula operation for maintenance hemodialysis. Venography was performed because of inadequate vein maturation 2 months after the operation. Venography shows complete occlusion of left innominate vein, multiple collateral veins and backflow of left internal jugular vein.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with stent insertion, the innominate vein was fully dilated and the collateral vessels completely disappea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혈액투석 환자에서 혈관확장술 및 스텐트 삽입의 치료효과" 23 : 763-768, 2004

      2 "Venous endothelial damage produced by massive sticking and emigration of leukocytes" 74 : 507-532, 1974

      3 "Upper extremity central venous obstruction in hemodialysis patients:treatment with Wallstents" 204 : 343-348, 1997

      4 "Update on vascular access for hemodialysis" 30 : 223-232, 1996

      5 "Total central vein obstruction:resolution with angioplasty and fibrinolysis" 39 : 761-764, 1991

      6 "Prevention of restenosis of central venous stricture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and endovascular stenting by brachytherapy" 55 : 742-743, 1999

      7 "Post catheterisation vein stenosis in haemodialysis:comparative angiographic study of 50 subclavian and 50 internal jugular accesses" 6 : 722-724, 1991

      8 "Percutaneous treatment of symptomatic central venous stenosis angioplasty" 39 : 578-582, 2004

      9 "NKF-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vascular access. National Kidney Foundation-Dialysis Outcomes Quality Initiative." 30 : 150-191, 1997

      10 "Klebsiella pneumoniae에 의한 요근 농양 환자에서 합병된 정맥 혈전증" 61 : 664-668, 2001

      1 "혈액투석 환자에서 혈관확장술 및 스텐트 삽입의 치료효과" 23 : 763-768, 2004

      2 "Venous endothelial damage produced by massive sticking and emigration of leukocytes" 74 : 507-532, 1974

      3 "Upper extremity central venous obstruction in hemodialysis patients:treatment with Wallstents" 204 : 343-348, 1997

      4 "Update on vascular access for hemodialysis" 30 : 223-232, 1996

      5 "Total central vein obstruction:resolution with angioplasty and fibrinolysis" 39 : 761-764, 1991

      6 "Prevention of restenosis of central venous stricture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and endovascular stenting by brachytherapy" 55 : 742-743, 1999

      7 "Post catheterisation vein stenosis in haemodialysis:comparative angiographic study of 50 subclavian and 50 internal jugular accesses" 6 : 722-724, 1991

      8 "Percutaneous treatment of symptomatic central venous stenosis angioplasty" 39 : 578-582, 2004

      9 "NKF-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vascular access. National Kidney Foundation-Dialysis Outcomes Quality Initiative." 30 : 150-191, 1997

      10 "Klebsiella pneumoniae에 의한 요근 농양 환자에서 합병된 정맥 혈전증" 61 : 664-668, 2001

      11 "Incidence of central vein stenosis and occlusion following upper extremity PICC and port placement" 26 : 123-127, 2003

      12 "Central venous stenosis in haemodialysis patients without a previous history of catheter placement" 55 : 237-242,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 0.42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