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방행정체제 개편방향에 관한 연구 - 시·군·구 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55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현황을 살펴보고, 시·군·구 통합결과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기초로 지방행정체제 개편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체적으로 지방행정체제의 개편�...

      본 연구에서는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현황을 살펴보고, 시·군·구 통합결과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기초로 지방행정체제 개편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체적으로 지방행정체제의 개편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통합(계층 통폐합, 행정구역 통합 등)에 있어서 효율성을 중심으로 찬성하는 입장과 민주성을 중심으로 반대하는 입장이 상반대고 있는 입장이다. 또한, 통합시의 효과성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도 효과성이 있다는 주장과 없다는 주장이 나타나고 있는데 통합이라는 측면을 고려할 때에는 이러한 가치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거시적인 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민주성, 효율성의 가치뿐만 아니라 형평성, 통합성, 지역성 등 다양한 가치들이 포함된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지방행정체제 개편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관계로서 지방분권에 대한 재정립이다. 지방분권에 대한 중앙정부의 거시적인 정책과 목표가 분명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이 선행되지 않으면 지방행정체제의 개편은 중앙정부의 의지가 중심이 되어 지방자치단체의 이익과는 관계없이 개편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개편은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은 아닐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분권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 이는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실질적인 지방분권이 수립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중앙정부가 지방정부로의 분권수준과 내용이 명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둘째, 지방행정체제 개편은 점진적이고 신중하여야 한다. 현재의 통합논의와 과정은 너무 성급하고 단기적이다. 이러한 과정은 지방자치단체의 역사성, 지역성, 정체성 등을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 통합을 강행하는 경우 주민갈등을 일으켜 더욱 큰 사회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이해하고 설득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방행정체제 개편을 전담할 전문적이며 지속적인 기구를 설치해야 한다. 현재의 지방행정체제 개편 추진위원회를 지방의 지역성 및 특수성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지방자치단체 위원 수를 늘여야 한다. 또한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분석을 위하여 현재에 한시적인 위원회제도를 상시적인 위원회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지방행정체제 개편은 지역주민의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방법에 의해 추진되어야 한다. 지방행정체제 개편은 과거와 같은 하향식의 통합은 지양되어야 한다. 따라서 주민들의 필요성에 의한 자발적인 통합이 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는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looked into discussions on local administrative system restructuring and presented the directions to restructure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through precedent studies. Generally speaking, the discussers recognized local administrative sys...

      This thesis looked into discussions on local administrative system restructuring and presented the directions to restructure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through precedent studies. Generally speaking, the discussers recognized local administrative system restructuring to be necessary. But they expressed their opinions contrary each other. Some of them agreed with consolidation (consolidation of strata, consolidation of administrative sections) to enhance administrative effectiveness, local competitiveness, and local decentralization. The others disagreed with it, asserting that it would bring about consolidation expenses and undermine local equality. Some asserted them to be effective, but the others not. Those who agreed with consolidation laid an emphasis on effectiveness, but those who disagreed with consolidation on democracy and equality. But, those who study consolidation have to approach this subject at a macroscopic aspect to implicate the values in a certain degree. They have to implicate various values such as equality, consolidation, and locality, not democracy and effectiveness. But, as a precedent subjectin restructuring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restructurers have to put in a triangular position repeatedly local decentralization, 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self-governing bodies. They have to prepare macroscopic policies and aims of the central government on local decentralization. Not preparing the policies and aims precedently, restructurers may possibly restructure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irrespective of the interests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for the wills of the central government may be reflected. The kind of restructuring cannot enhance inhabitants’ life quality. This thesis presents, considering on the points, suggests the directions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 restructuring as followings. First, restructurers have to put into a triangular the point of view on local decentralization. Second, restructurers have to restructure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gradually and prudently. Third, restructurers have to establish special and continuous organizations in charge of restructuring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Fourth, restructurers have to reflect inhabitants’ spontaneity and autonomy in restructuring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This thesis used the secondary materials a lot and cannot hold objectivity so much with limited analysis of the study results in a part, but presented the directions of restructuring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on the basis of the material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n why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have to be restructured and what is the best selection in a deep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논의
      • 1. 지방행정체제의 의의
      • 2.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논의
      • 요약
      • Ⅰ. 서론
      • Ⅱ.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논의
      • 1. 지방행정체제의 의의
      • 2.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논의
      • Ⅲ.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현황 및 분석
      • 1. 지방행정체제 개편 논의
      • 2. 선행연구 분석
      • Ⅳ. 시·군·구 지방행정체제 개편 시 고려사항
      • 1. 지방분권에 대한 재정립이다.
      • 2. 시·군·구 통합에 있어 다양한 가치를 포함시켜야 한다.
      • 3. 지역에 적합한 모형의 통합방식이 필요하다.
      • 4. 점진적이고 신중히 추진해야 한다.
      • 5. 전문적이며 지속적인 기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 6. 주민의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방식에 의해 추진되어야 한다.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창우, "환경부문 국고지원 지방사업의 재정지출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광역권 쓰레기 매립장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6 (6): 119-133, 2002

      2 유훈, "행정학원론" 법문사 1991

      3 박기관, "행정구역개편에 따른 도?농 통합의 성과와 결정요인 분석: DEA의 효율성 측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21): 65-93, 2007

      4 박종관,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5 배준구, "프랑스․영국․독일의 지방행정체제 개편사례" 10 : 22-23, 2008

      6 우명동, "폴라니(K. Polanyi)의 논의 틀이 지방분권에서 갖는 함의: 행정구역개편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15 (15): 90-137, 2010

      7 김대원, "통합시의 생산성 증대효과 분석: 공공산출물의 측정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33 (33): 327-344, 1999

      8 김석태,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이론적 검토"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1-28, 2010

      9 김영재,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연구-도와 시․군 개편기준과 대안 평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10 조성호,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비용-효과의 분석: 시․군 통합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1 (21): 27-53, 2009

      1 남창우, "환경부문 국고지원 지방사업의 재정지출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광역권 쓰레기 매립장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6 (6): 119-133, 2002

      2 유훈, "행정학원론" 법문사 1991

      3 박기관, "행정구역개편에 따른 도?농 통합의 성과와 결정요인 분석: DEA의 효율성 측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21): 65-93, 2007

      4 박종관,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5 배준구, "프랑스․영국․독일의 지방행정체제 개편사례" 10 : 22-23, 2008

      6 우명동, "폴라니(K. Polanyi)의 논의 틀이 지방분권에서 갖는 함의: 행정구역개편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15 (15): 90-137, 2010

      7 김대원, "통합시의 생산성 증대효과 분석: 공공산출물의 측정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33 (33): 327-344, 1999

      8 김석태,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이론적 검토"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1-28, 2010

      9 김영재,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연구-도와 시․군 개편기준과 대안 평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10 조성호,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비용-효과의 분석: 시․군 통합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1 (21): 27-53, 2009

      11 조성호, "지방행정체제 개편관련 단층제(안)의 진단과 분석, in 경기개발연구원보고서" 2008

      12 하능식, "지방행정체제 개편, 재정이 중요하다" (15) : 2009

      13 박기춘, "지방행정체제 개편 논의 현황 및 추진방향" 한국지방자치학회 22 (22): 99-121, 2010

      14 하혜수, "지방행정구역과 자치계층구조 개혁의 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18 (18): 2006

      15 곽상욱, "지방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주민인식 조사 연구: 경기남부지역 기초자치단체 주민 의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16 심익섭, "지방행정계층제의 재구축 방안" 3 (3): 9-25, 2001

      17 정덕주, "지방행정계층의 개편에 관한 고찰" 8 : 221-246, 2007

      18 안성호, "지방자치체제의 개편과 자치단위의 규모" 2009

      19 강용기, "지방자치단체 단일계층화론에 대한 평가와 대안" 2000

      20 육동일, "지방자치계층구조 및 구역개편의 방향과 과제" 17 : 42-72, 2005

      21 김병국, "지방자치(행정)체제의 개편방안" 한국행정연구원 1998

      22 하혜수, "지방분권형 지방행정체제 개편대안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21 (21): 33-52, 2009

      23 현성욱, "제주특별자치도 행정계층구조개편 성과만족에 대한 평가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85-108, 2010

      24 이기우, "정치권의 지방행정체제개편론에 대한 대안적 제안" 한국지방정책연구소 2008

      25 하혜수, "자치계층구조개혁의 성공적 추진요인: 영국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1 (41): 47-68, 2007

      26 임승빈, "일본의 구역개편 사례" 10 : 24-25, 2008

      27 최영출, "외국의 단층자치단체 비교분석: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6 (16): 251-276, 2005

      28 김필두, "외국(영국․일본)의 지방행정구역 개편" 241 : 48-51, 2008

      29 홍준현, "시・군통합이 지역내 및 지역간 균형성장에 미친 효과" 서울행정학회 16 (16): 299-324, 2005

      30 유재원, "시군통합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분석: 단절적 시계열모형(ARIMA)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3 (43): 285-306, 2009

      31 유재원, "시군통합의 추진동력과 정책대안" 한국행정학회 44 (44): 179-202, 2010

      32 홍준현, "시군통합에 의한 행정구역개편의 효과 분석" 8 (8): 1997

      33 박종관, "시군통합에 의한 행정구역 개편 정책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12 (12): 57-77, 2001

      34 박지형, "시군 통합의 지역경제성장 효과" 한국정책학회 16 (16): 167-196, 2007

      35 이시원, "시군 통합의 재정적 효과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10 (10): 45-62, 2006

      36 배인명, "시․군통합의 성과평가:재정적 영향을 중심으로" 9 (9): 139-162, 2000

      37 조석주, "시․군통합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행정비용절감효과를 중심으로" 15 (15): 113-142, 2000

      38 이시익, "시․군통합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의 효율성 분석: DEA분석 기법을 적용한 통합전후의 비교를 중심으로" 12 (12): 79-101, 2001

      39 최준호, "수면위에 떠오른 광역시·도 통합문제-도청이전 백지화하고 통합방안 공론 화해야" 지방자치 2001

      40 자네비 메킹, "독일의 지방행정구역 개혁" 168 : 21-31, 2009

      41 김동훈, "도농통합형 행정구역 개편의 효과분석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7 : 235-277, 1996

      42 최흥석, "도농통합의 재정적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 (19): 145-172, 2005

      43 김재홍, "도농통합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정부의 효율성 변화에 미친 영향 연구" 9 (9): 47-66, 2000

      44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도농복합형태 시: 제도분석과 발전방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0

      45 심익섭, "글로벌화 시대의 지방자치행정체제 개편방향" 국회행정자치연구회 2005

      46 최영출, "국가경쟁력과 지방분권과의 인과관계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203-226, 2008

      47 박종관, "광역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연구" 10 (10): 107-134, 2009

      48 경기개발연구원, "경기도 도․농복합시의 행정수요 분석과 기능 재조정 방안에 관한 연구: 평택시를 중심으로" 경기개발연구원 1997

      49 金海龍, "地方行政體制의 改編 方向에 관한 고찰" 한국공법학회 31 (31): 177-193, 2002

      50 Fox, W., "Will Consolidation Improve Sub-National Governments" 2006

      51 Vojnovic, I., "The Transitional Impact of Municipal Consolidations" 22 (22): 385-417, 2000

      52 Feiock, R., "A Reassessment of City/Country Consolidation: Economic Development Impacts" 29 (29): 166-171,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12-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경북지방자치학회 -> 대한지방자치학회
      영문명 : Taegu-Kyongbuk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Local Government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8 0.80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