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서론 1. 계획 2. 비판에 직면한 이성 3. 전통적인 이성 비판의 유형 4. 오늘날의 이성 비판: 이성에 의해 규정된 현실의 불행 5. 반응 형식: 진단 혐오형, 대안형, 거부형 6. 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머리말 서론 1. 계획 2. 비판에 직면한 이성 3. 전통적인 이성 비판의 유형 4. 오늘날의 이성 비판: 이성에 의해 규정된 현실의 불행 5. 반응 형식: 진단 혐오형, 대안형, 거부형 6. 주...
머리말
서론
1. 계획
2. 비판에 직면한 이성
3. 전통적인 이성 비판의 유형
4. 오늘날의 이성 비판: 이성에 의해 규정된 현실의 불행
5. 반응 형식: 진단 혐오형, 대안형, 거부형
6. 주요 비난: 이성의 지배 동맹과 획일화 경향
7. 이성의 다원화를 통한 해결?
8. 다원화와 융합 과정에 있는 이성
9. 책의 개요
제1부 이성의 단일성에서 다원성으로―그 문제점
제1장 이성과 위기―전통적인 모범의 완성, 재발견 그리고 변화
1. 헤겔: 통일의 힘으로서의 이성
2. 후설: 심화된 이성을 통한 이성의 구제
3. 리터: 현재 이성의 형식으로서의 분열
제2장 지배의 계기?―『계몽의 변증법』, 그 주장과 아포리아
1. 낡은 이성: 맹목적 지배에 휘둘린 이성
2. 계몽주의 프로그램
3. 신화의 계몽적 성격
4. 계몽 이성의 특성
5. 계몽 이성과 억압
6. 피난처로서의 자연
7. 계몽의 전체주의적인 성격에 대항하여
8. 계몽의 자기의식
9. 지배 일반으로부터의 해방 혹은 단지 맹목적 지배로부터의 해방?
10. 계몽의 변증법의 풍자로서의 세이렌 신화―저자들이 생각하지 못했던 점
11. 총괄 테제의 극복
제3장 위르겐 하버마스―『계몽의 변증법』에서 이성의 의사소통 이론의 패러다임으로
I. 『계몽의 변증법』에 대한 하버마스의 비판
1. 비판을 가능하게 하는 이성 개념에 대한 탐색
2. 비판의 위치 문제
3. 『계몽의 변증법』에 숨겨져 있는 이상적인 비판―강제 없는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공동생활
4. 오해된 근대
5. 전체적인 이성 비판 혹은 신화로서의 계몽의 변증법
II. 하버마스 고유의 이성 개념
1. 의사소통적 이성 개념―개요와 쟁점
2. 『계몽의 변증법』의 이성 아포리아로부터의 탈출로서의 의사소통 이론적 전환
3. 의사소통적 이성의 두 개념
4. 근대에 대한 하버마스의 시각
5. 이성의 단일성―운동, 순환, 균형
6. 문제점 비판
7. 과소평가된 차이 범주
8. 회고와 전망
제4장 마르틴 하이데거―형이상학 비판으로서의 이성 비판과 다른 사유형식으로 나가는 길목
1. 하버마스와 하이데거: 서구 철학의 근본 주제 및 공리로서의 이성
2. 하이데거와 『계몽의 변증법』: 서구 이성의 지배 및 기술 공학적 성격
3. 철학의 너머―곧 이성의 너머?
4. 완전한 이성과 『존재와 시간』에서 도출된 이성 사이의 첫 번째 분열
5. 형이상학에서 기술 공학으로: 그 고대적 기원과 근대의 계산적 사고의 승리
6. 다른 사유 방식으로 가는 길
7. 이성의 너머?
8. 차이와 타자성―전망
제5장 미셸 푸코―이성의 미시 물리학
1. 이성과 그 타자―결말 없는 문제 상황
2. 이성의 구체적 속성: 권력, 지식, 훈육
3. 내적 비판의 가능성―칸트로의 소급
4. 이성의 다형성
제6장 앙드레 글뤽스만―대사상가에 대한 비판
1. 대사상가와 전체주의
2. 비판적 결론
제7장 잔니 바티모―폭력적이지 않은 이성으로서의 “약한 사고”
1. “약한 사고”
2. “하강의 존재론”―서구의 발전 과정
3. 약한 사고와 현상의 놀이
4. 차이의 사고
5. “약함”과 “경건함”
6. 약한 사고: 해석학적으로 뒷받침된 심미적-미메시스적 사유
7. 열린 문제
제8장 리처드 로티―인식론으로부터 형성 철학 혹은 우연성의 사고로
I. 자연의 거울
1. 구속력을 넘어선 해석학
2. 인식론으로부터 형성 철학으로
3. 원치 않는 공통 이해
4. “대화”―엔트로피에 대한 기여로서의 대화의 철학
5. 상호작용의 양식에 있는 해석학
II.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성
1. 비근본주의와 그 결과
2. 개념들의 반박―하나의 개념에서 다른 개념으로의 단순한 교체?
3. “내재적 자연”으로의 회귀에 대한 로티의 반대
4. 급진적인 우연성의 사상
5. 우연성과 이성
제9장 자크 데리다―로고스 너머의 이성
1. 이성 비판: 월경과 횡단
2. 데리다의 이성 비판
3. 음성 중심주의에서 문자 사고로의 이행
4. 차연 개념
5. 데리다와 라캉
6. 새로운 글쓰기
7. 전혀 다른 이성: 다원적이고 횡단적인 이성
제10장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다원성과 논쟁에 놓인 이성
문제 상황
I. 출발점
1. 혼란 속의 이성
2. 논쟁의 활성화 대 전체성의 공포
II. 이질성과 논쟁
1. 이성의 주제화 대신에 언어분석
2. 명제-규칙 체계와 담론 유형
3. 논쟁
4. 논쟁을 위한 관용어?
5. 연쇄
III. 이행―“군도”
1. 칸트로의 복귀
2. 군도의 전경
3. 리오타르 대 칸트
4. 군도―리오타르의 기본 입장과 문제점
5. 철학적 담론
6. 외면성과 말레이 군도
7. 기본적인 오류: 섬 모형
8. 대안: 결합 관계
IV. 언어와 이행
1. 내적 유대 대 외적 유대
2. 이행
3. 회고와 전망
제11장 질 들뢰즈―이질성과 연관
1. 『차이와 반복』―현대 존재론 개요
2. 리좀 개념
3. 실제성의 리좀적 현상들
4. 리좀 모형에 따른 이성
5. 전망: 횡단성
제12장 넬슨 굿맨―세계의 다자성
1. 세계의 다자성
2. 단일성의 문제
3. 논쟁하에 있는 세계
4. 굿맨과 최근의 철학
5. 세계의 다자성과 이성
제13장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언어 게임과 삶의 형식의 맥락에서의 이성
1. 다자성에 대한 언어철학적 관심
2. 철학 비판과 이성 비판
3. 언어 게임의 화용론적 성격과 다양성
4. 가족 유사성
5. 단일성과 다자성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생각
6. 비근본주의적 토대들
7. 기초 혹은 동적인 조직?―비트겐슈타인 개념의 한계
8. 구체적인 이성성
9. 비트겐슈타인과 리오타르
10. 파울 파이어아벤트
11. 이성의 열린 문제
옮기고 나서
찾아보기
2권 차례
(출처: 네이버 책정보,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419382)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시대의 이성 비판을 조명한 세계적 역작 우리 시대의 이성 비판『이성』제 1권. 모든 것의 중심이었고, 미래를 약속하던 이성은 전쟁을 위한 공학적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이성을 ...
우리 시대의 이성 비판을 조명한 세계적 역작
우리 시대의 이성 비판『이성』제 1권. 모든 것의 중심이었고, 미래를 약속하던 이성은 전쟁을 위한 공학적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이성을 통해 규정된 우리의 문명은 일상적인 종족 싸움을 낳고 말았다. 이 책은 이러한 비판에 직면한 이성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가라는 궁극적 물음을 던지는 동시에 새로운 이성 개념을 모색한다. 책의 전반부에서는 이성에 관한 이론과 이성 비판의 주요 입장들을 다루고 후반부에서 현대의 이성 비판론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오늘날 여전히 쓸모 있는 이성 개념’으로 ‘횡단이성’ 개념을 제안한다.
(출처: 네이버 책정보,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419382)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는 이성 비판에 관한 논의 전반을 잘 개괄하고 있는 볼프강 벨쉬의 이성과 미적 현대의 시대 문턱을 설명하는 야우스의 미적 현대...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는 이성 비판에 관한 논의 전반을 잘 개괄하고 있는 볼프강 벨쉬의 이성과 미적 현대의 시대 문턱을 설명하는 야우스의 미적 현대와 그 이후라는 저작을 심도 깊게 학습하기 위하여 위의 자료가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