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과학 탐구 수업 전문성에 대한 발달수준과 학습수준의 관계 및 교사 교육의 요구를 분석하여 탐구 수업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사 교육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37581
2014
-
300
학술저널
136-136(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과학 탐구 수업 전문성에 대한 발달수준과 학습수준의 관계 및 교사 교육의 요구를 분석하여 탐구 수업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사 교육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과학 탐구 수업 전문성에 대한 발달수준과 학습수준의 관계 및 교사 교육의 요구를 분석하여 탐구 수업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사 교육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 소재 교사 103명을 임의표집 하였다. 우필희(2010)가 개발한 조사 도구 중 탐구요소를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각 관점별 전문성 발달수준, 학습수준, 교육 요구 수준으로 구성된 도구를 개발했다. 이를 바탕으로 발달수준과 학습수준의 관점별 비교, 발달 수준과 학습수준의 관계, 발달수준과 학습수준에 따른 교사 교육에 대한 요구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 수업 전문성에 대한 발달수준은 1.91이다. 이 점은 교사들이 주로 전통주의에서 구성주의로 가치관이 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탐구 수업 전문성에 대한 학습수준은 3.09이다. 이는 탐구 수업이 교사의 전문성을 발달시키기 위해 필요하지만 여건이 안 되서 수업에 적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관점별로 발달수준은 `탐구수행(2.51)`, `결과 논의 및 결론 내리기(2.35)`순이었으며 학습수준은 `결과 논의 및 결론 내리기(3.21)`, `탐구수행(3.19)`순으로 높았다. 셋째, 발달수준과 학습수준은 모든 관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탐구수행` p<.05) 넷째, 교사 교육에 대한 요구는 4수준인 수업에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교육이 64.2%로 가장 높았다. 관점별로 `탐구과정 설계` 65.0%, `탐구문제`, `탐구결과 기록 및 데이터 처리`, `탐구결과 논의 및 결론 내리기` 각각 64.1%, `탐구자료 선정` 62.1%, `탐구수행` 54.4%순이었다. 다섯째, 교사 교육 요구와 발달수준은 `탐구과정 설계`(p<0.1)를 제외하고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교사 교육 요구와 학습수준도 `탐구자료`(p<0.1)를 제외하고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첨단과학, 그리고 과학기술자와의 아름다운 만남-초등과학교육을 위하여...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