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자정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신뢰, 효능감, 유용성 및 활용의지에 대한 관계를 하나의 통합적 모형으로 설정하여 실제 시민 또는 소비자들의 설문을 바탕으로 다양한 가설을 테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2348
200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자정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신뢰, 효능감, 유용성 및 활용의지에 대한 관계를 하나의 통합적 모형으로 설정하여 실제 시민 또는 소비자들의 설문을 바탕으로 다양한 가설을 테스...
본 연구는 전자정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신뢰, 효능감, 유용성 및 활용의지에 대한 관계를 하나의 통합적 모형으로 설정하여 실제 시민 또는 소비자들의 설문을 바탕으로 다양한 가설을 테스트해 본다는 점이 기존의 서술 위주의 연구와는 차별화된다.
본 연구는 일반시민(소비자)을 대상으로 전자정부 서비스의 수용 및 확산에 관한 주요 선행요인의 분석에 주된 목표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IT기술수용분야에서 핵심 변수로 흔히 사용되는 인지된 유용성과 신뢰, 활용의도 간의 관계를 기본모형으로 설정하고, 효능감 개념을 추가하여 모형을 구축하자 한다. 이와 함께 전자정부에 대한 신뢰는 일종의 잠재변수(latent construct)로 설정하고, 제도기반 신뢰, 프로세스기반 신뢰 및 웹사이트 신뢰의 3개 변수가 신뢰라는 잠재변수의 특성을 반영하는 연구단위(sub construct)로 고려하여 이들 간의 관계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확인되면 전자정부 서비스 유형별 차이분석을 실시한다. 즉 전자정부 서비스를 크게 각종 민원서류의 획득과 관련된 거래형(transaction 타입) 서비스, 정보검색형 서비스, 민원접수 및 처리 등 주요 유형별로 각종 선행요인의 영향 정도를 세밀하게 분석한다.
연구방법을 간략히 요약하면 우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연구모형에 대한 1차적 검증을 수행한다. 공분산 구조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확인되면 전자정부 서비스 유형별 차이분석을 실시한다. 즉 전자정부 서비스를 크게 각종 민원서류의 획득과 관련된 거래형 서비스, 정보검색형 서비스, 민원접수 및 처리 등 주요 유형별로 각종 선행요인의 영향 정도를 세밀하게 분석하여 전자정부 서비스 개발시 유의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 개발의 근거로 삼는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통하여 전자정부 서비스 개발시 참고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아직까지 전자정부 개발과 활용의 이력이 짧고 이를 학문적으로 뒷받침할 만한 이론들이 충분히 정립되지 않아 전자정부 서비스의 어떤 요소들이 시민들의 사용을 촉진시키며, 시민들의 긍정적 태도형성에 어떤 장애물들이 있는지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국내외적으로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전자정부 서비스를 사용하는 시민들을 주된 사용 서비스별로 구분하고 집단 간 주요 요인의 차이와 전체적인 모형의 차이를 분석하여 전자정부에 관한 수용 및 확산이론 구축에 기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