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일본어의 청자 대우를 나타내는 문체에는 존댓말과 반말의 대응이 있다. 이런 공통점으로 인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일본어의 정녕체(丁寧体)와 보통체(普通体)의 문체도 한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와 일본어의 청자 대우를 나타내는 문체에는 존댓말과 반말의 대응이 있다. 이런 공통점으로 인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일본어의 정녕체(丁寧体)와 보통체(普通体)의 문체도 한국...
한국어와 일본어의 청자 대우를 나타내는 문체에는 존댓말과 반말의 대응이 있다. 이런 공통점으로 인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일본어의 정녕체(丁寧体)와 보통체(普通体)의 문체도 한국어의 존댓말과 반말하고 똑같은 운용을 한다고 생각한다(田所2015).
그러나, 한국 드라마의 한일 번역 자료에서 두 언어의 문체 사용을 비교한 결과, 다른 점도 있었다. 발화 5개 중 1개 이상이 두 언어의 문체가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곧 두 언어의 청자 대우 문체의 운용이 반드시 같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언어의 각 문체의 사용 빈도를 보면, 원본의 한국어에 비해서 번역본의 일본어에서는 정녕체가 적은 반면에 문체생략체(文体省略体)와 보통체가 많았다. 두 언어의 문체가 불일치 하는 타입은 6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많은 것은 한국어의 존댓말에 일본어 보통체가 대응하는 타입이었다.
먼저, 한국어의 반말에 일본어 정녕체가 대응하는 경우는, 한국어의 추량형과 명령형의 반말을 여성 화자가 사용할 때, 일본어로는 정녕체인「でしょう」「なさい」로 바뀌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한국어의 반말을 일본어에서는 문 말을 생략하는 문체생략체를 사용함으로써 공손함을 조절하는 양상이 보였다.
한편, 한국어의 존댓말이 일본어에서 보통체가 되는 것은 합쇼체보다 해요체에 많았다. 그리고, 한국어의 존댓말이 일본어에서 보통체가 되는 요인으로는 화자의 속성과 심리 상태, 그리고 번역 상의 문제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그 중 변동적인 화자의 심적 요인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하준, "한국어 행동요구표현의 일본어 번역례 연구 -반말과 존댓말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135-164, 2014
2 李翊燮他, "韓国語概説" 大修館書店 247-260, 2004
3 白峰子, "韓国語文法辞典" 三修社 211-212, 2004
4 韓美卿他, "韓国語の敬語入門" 大修館書店 14-156, 2009
5 尹盛煕, "日本語の翻訳字幕における省略・縮約の実現-韓国語と対照分析-" 社会言語科学会 18 (18): 19-35, 2016
6 金恩愛, "日本語の名詞志向構造と韓国語の動詞志向構造" 朝鮮学会 188 : 1-83, 2003
7 金珍娥, "日本語と韓国語の談話に現れる対聞き手敬語表現を照らす" 朝鮮学会 251 : 43-95, 2019
8 金珍娥, "日本語と韓国語の談話における述語文の様相-話されたことばの文末を解析する-" 朝鮮学会 249・250 : 85-138, 2019
9 金珍娥, "日本語と韓国語の談話における談話ストラテジーとしてのスピーチレベルシフト" 朝鮮学会 183 : 51-91, 2002
10 荻野綱男他, "日本語と韓国語の聞き手に対する敬語用法の比較対照" 朝鮮学会 136 : 1-51, 1990
1 정하준, "한국어 행동요구표현의 일본어 번역례 연구 -반말과 존댓말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135-164, 2014
2 李翊燮他, "韓国語概説" 大修館書店 247-260, 2004
3 白峰子, "韓国語文法辞典" 三修社 211-212, 2004
4 韓美卿他, "韓国語の敬語入門" 大修館書店 14-156, 2009
5 尹盛煕, "日本語の翻訳字幕における省略・縮約の実現-韓国語と対照分析-" 社会言語科学会 18 (18): 19-35, 2016
6 金恩愛, "日本語の名詞志向構造と韓国語の動詞志向構造" 朝鮮学会 188 : 1-83, 2003
7 金珍娥, "日本語と韓国語の談話に現れる対聞き手敬語表現を照らす" 朝鮮学会 251 : 43-95, 2019
8 金珍娥, "日本語と韓国語の談話における述語文の様相-話されたことばの文末を解析する-" 朝鮮学会 249・250 : 85-138, 2019
9 金珍娥, "日本語と韓国語の談話における談話ストラテジーとしてのスピーチレベルシフト" 朝鮮学会 183 : 51-91, 2002
10 荻野綱男他, "日本語と韓国語の聞き手に対する敬語用法の比較対照" 朝鮮学会 136 : 1-51, 1990
11 日本語教育学会, "新版日本語教育事典" 大修館書店 139-140, 2005
12 柳村裕他, "敬語は変わる" 大修館書院 141-153, 2017
13 三牧陽子, "対談におけるFTA補償ストラテジー-待遇レベルシフトを中心に-" 大阪大学 (創刊) : 59-78, 1997
14 荻野綱男, "対照社会言語学と日本語教育-日韓の敬語用法の対照研究を例にして-" 日本語教育学会 69 : 47-63, 1989
15 尾崎喜光, "女性語の寿命" 明治書院 18 (18): 60-71, 1999
16 鈴木睦, "女性語の世界" 明治書院 59-73, 1997
17 田所希佳子, "スピーチレベルの選択に伴う場面認識に関する考察-韓国人留学経験者へのインタビューから-" 社会言語科学会 18 (18): 50-59, 2015
18 熊谷智子, "シナリオのある会話-ドラマの日本語の特徴-" 明治書院 22 (22): 6-14, 2003
19 김신자, "「아홉 살 인생」의 번역 작품에서 본 조일 청자대우법의 비교 고찰"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09 (2009): 17-21, 2009
일본어과 중등교원 임용시험 문항분석- 2014-2022학년도 일본문학과 일본문화 문항을 중심으로 -
한일 관용표현에서 조사의 역할 비교 연구- 눈(目·眼)의 표현을 중심으로 -
認知特性を活かした漢字習得方法の一提案 -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へのインクルーシブ教育の観点から -
高齢者の尊厳をめぐる二重の視線-『スクラップ・アンド・ビルド』の叙述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