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윤호, "팔 에르고메타 운동시 무산소성 역치와 근전도 피로 역치" 9 (9): 65-88, 2000
2 김여경, "트레드밀 운동부하 방법에 따른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및 운동자각도 비교분석" 15 (15): 348-353, 1997
3 대한운동사회, "운동생리학" 도서출판 한미의학 2007
4 김현수, "운동강도 지표로서 자각도-13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6 (6): 33-44, 1997
5 김성수, "사이클 에르고미터 운동시 근전도 피로역치와 무산소성 역치와의 상관 연구" 19 (19): 342-350, 2001
6 채원식, "드롭 착지 동작 시 탄성 섬유 바지 착용이 충격력과 근육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 19 (19): 603-610, 2009
7 한정수, "근피로도의 측정 및 정량화를 위한 근전도 고찰" 342-347, 1997
8 민기식, "근전도를 이용한 근피로도의 측정" 33 (33): 1184-1192, 1998
9 Skinner, J. S., "The transition from aerobic to anaerobic metabolism" 51 : 234-248, 1980
10 DeVries, H. A.,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power and neuromuscular fatigue as estimated from electromyographic data" 25 : 783-791, 1982
1 김윤호, "팔 에르고메타 운동시 무산소성 역치와 근전도 피로 역치" 9 (9): 65-88, 2000
2 김여경, "트레드밀 운동부하 방법에 따른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및 운동자각도 비교분석" 15 (15): 348-353, 1997
3 대한운동사회, "운동생리학" 도서출판 한미의학 2007
4 김현수, "운동강도 지표로서 자각도-13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6 (6): 33-44, 1997
5 김성수, "사이클 에르고미터 운동시 근전도 피로역치와 무산소성 역치와의 상관 연구" 19 (19): 342-350, 2001
6 채원식, "드롭 착지 동작 시 탄성 섬유 바지 착용이 충격력과 근육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 19 (19): 603-610, 2009
7 한정수, "근피로도의 측정 및 정량화를 위한 근전도 고찰" 342-347, 1997
8 민기식, "근전도를 이용한 근피로도의 측정" 33 (33): 1184-1192, 1998
9 Skinner, J. S., "The transition from aerobic to anaerobic metabolism" 51 : 234-248, 1980
10 DeVries, H. A.,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power and neuromuscular fatigue as estimated from electromyographic data" 25 : 783-791, 1982
11 Fuglsang-Frederiksen, A., "The motor unit firing rate and the power spectrum of EMG in human" 70 : 68-72, 1988
12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Selected topics in surface electromyography for use in the occupational setting: Expert perspectives.(DHHS Publication No. 91-100)"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91-100, 1993
13 Born,G., "Perceived exertion as an indicator of somatic stress" 2 : 92-98, 1970
14 Basmajian, J. V., "Muscle Alive" Williams and Wilkins 125-127, 1985
15 Buchtal, F., "Motor unit of mammalian muscle" 60 : 90-142, 1980
16 Cram, J. R.,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Aspen Publishers, Inc 1998
17 Nagata, S., "EMG power spectrum as a measure of muscular fatigue at different levels of contraction" 28 (28): 374-378, 1990
18 Rouffet, D. M., "EMG normalization to study muscle activation in cycling" 18 (18): 866-878, 2008
19 Nagata, A., "Anaerobic threshold determination by blood lactate and myoelectric signals" 31 : 585-597, 1981
20 Wasserman, K., "Anaerobic threshold and respiratory gas exchange during exercise" 35 : 236-243, 1973
21 Fernandez-Pena, E., "A maximal isokinetic pedalling exercise for EMG normalization in cycling" 19 (19): 162-17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