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현, "현대한국문학의 이론/사회와 윤리-김현문학전집 2" 문학과지성사 1992
2 조강석, "현대시" 한국문연 2020
3 김현, "한국문학의 위상" 문학과지성사 1996
4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5 최성희, "정동 이론 : 몸과 문화·윤리·정치의 마주침에서 생겨나는 것들에 대한 연구" 갈무리 2015
6 문병호, "아도르노의 사회이론과 예술이론" 문학과지성사 1993
7 김현, "분석과 해석/보이는 심연과 안 보이는 역사 전망-김현문학전집 7" 문학과지성사 1992
8 이광호, "문학은 무엇이 될 수 있는가?-오늘의 문화 상황과 문학의 논리" 문학과지성사 51 : 2000
9 황현산, "문학비평가 김현-4․19, 프랑스문학, 김현" 프랑스학회 2013
10 김현, "문학과 유토피아-김현문학전집 4" 문학과지성사 1992
1 김현, "현대한국문학의 이론/사회와 윤리-김현문학전집 2" 문학과지성사 1992
2 조강석, "현대시" 한국문연 2020
3 김현, "한국문학의 위상" 문학과지성사 1996
4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5 최성희, "정동 이론 : 몸과 문화·윤리·정치의 마주침에서 생겨나는 것들에 대한 연구" 갈무리 2015
6 문병호, "아도르노의 사회이론과 예술이론" 문학과지성사 1993
7 김현, "분석과 해석/보이는 심연과 안 보이는 역사 전망-김현문학전집 7" 문학과지성사 1992
8 이광호, "문학은 무엇이 될 수 있는가?-오늘의 문화 상황과 문학의 논리" 문학과지성사 51 : 2000
9 황현산, "문학비평가 김현-4․19, 프랑스문학, 김현" 프랑스학회 2013
10 김현, "문학과 유토피아-김현문학전집 4" 문학과지성사 1992
11 정과리, "문신공방" 역락 2005
12 조정옥, "동감의 본질과 형태들" 아카넷 2006
13 한래희, "김현의 마르쿠제 수용과 기억의 문제" 한국학연구소 (37) : 307-343, 2015
14 김병익, "김현과 ‘문지’-정리를 위한 사적인 회고" 문학과지성사 12 : 1990
15 정과리, "김현 비평의 현재성" 문학과지성사 50 : 2005
16 한래희, "김현 비평에서의 미와 숭고의 변증법" 우리문학회 (28) : 369-401, 2009
17 조연정, "김현 비평에서 ‘이론적 실천’의 의미와 비평의 역할 - ‘시의 사회학’은 어떻게 가능한가?(1)" 한국문학연구학회 (59) : 323-364, 2016
18 한래희, "김현 비평에서 ‘공감의 비평’론과 ‘현실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론의 상관성 연구 -아도르노 미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53) : 349-393, 2014
19 정명교, "김현 비평에 있어서의 고향의 문화사적 의미" 한국비평문학회 (42) : 377-405, 2011
20 김근호, "김현 비평에 나타난 감정 소통과 문학 향유의 정치성" 한중인문학회 (53) : 1-27, 2016
21 곽광수, "가스통 바슐라르" 민음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