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민연금의 수급개시연령의 증가가 남성 고령자(58-60세)의 노동시장참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creases in the Pension Eligibility Age on the Labor Supply of Older Men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53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8년 국민연금법의 개정으로 인하여, 국민연금의 완전노령연금의 수급개시연령은 기존의 60세에서 1953년생부터 출생연도 기준으로 4년마다 1세씩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65세까지 증가하게 ...

      1998년 국민연금법의 개정으로 인하여, 국민연금의 완전노령연금의 수급개시연령은 기존의 60세에서 1953년생부터 출생연도 기준으로 4년마다 1세씩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65세까지 증가하게 된다. 연금수급개시연령의 증가는 연금급여의 순삭감을 가져오며, 따라서 순수한 소득효과를 발생시켜 고령자의 노동시장참여율을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급여 인센티브가 국민들의 노동시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급여의 설계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정보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연금수급개시연령의 증가가 남성 고령자의 노동시장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대표성이 있으며 충분한 관찰 수를 제공하는 월별 경제활동인구조사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금수급개시연령이 60세인 1945-52년생 코호트들과 연금수급개시연령이 61세인 1953-55년생 코호트들의 `주당 20시간 이상 근로여부`, `주당 30시간 이상 근로여부`, `주당 40시간 이상 근로여부`로 정의한 노동시장참여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인특성변수와 노동시장변수를 통제한 다음, 코호트에 따른 노동시장참여율의 추세에 연금수급개시연령의 차이에 따른 단절이 발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분석결과, 연금수급개시연령의 60세로부터 61세로의 증가가 남성 고령자의 노동시장참여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관된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reform in 1998 of the National Pension in South Korea, the pension eligibility age would increase, beginning in 2013, by one year every 5 years from the previous 60 until reaching 65. The increase in the pension eligibility age will l...

      According to the reform in 1998 of the National Pension in South Korea, the pension eligibility age would increase, beginning in 2013, by one year every 5 years from the previous 60 until reaching 65. The increase in the pension eligibility age will lead to a net reduction in pension benefits, which is expected to result in a net income effect and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the labor market. The impact of pay incentives on people`s labor market behavior is information that is integral to the design of benefi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increase in the pension eligibility age in South Korea o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using a monthly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which is representative and provides sufficient number of observations. Specifically, we analyz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rate between the birth cohort 1945-52 with the pension eligibility age of 60 and the birth cohort of 1953-55 with the pension eligibility age of 61. Labor market participation was defined as `whether they worked more than 20 hours per week`, `more than 30 hours per week`, and `working more than 40 hours per week`. For this, we analyzed whether the trend of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rate according to the cohort resulted in the discontinuity due to the difference in pension eligibility age after controlling fo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labor market variables. However, there was no consistent evidence that the increase in the pensionable age from 60 to 61 had an impact o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rate of the elder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설명자료 (경제활동인구조사)"

      2 "국민연금통계"

      3 국가법령정보센터, "국민연금법"

      4 이용하, "국민연금 지급개시연령 상향조정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12

      5 정홍원, "국민연금 제도개혁과 사회적 대화" 정부학연구소 14 (14): 135-160, 2008

      6 정홍원, "국민연금 개정법안(1988. 12)에 대한 분석・평가" 5 (5): 189-219, 1998

      7 Blau, D. M., "What explains trends in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older men in the united states?" IZA 2007

      8 Hanel, B., "The timing of retirement—New evidence from Swiss female workers" 19 (19): 718-728, 2012

      9 Atalay, K., "The impact of age pension eligibility age on retirement and program dependence : evidence from an Australian experiment" 97 (97): 71-87, 2015

      10 Pingle, J. F., "Social Security's delayed retirement credit and the labor supply of older men" FEDS 2006

      1 "통계설명자료 (경제활동인구조사)"

      2 "국민연금통계"

      3 국가법령정보센터, "국민연금법"

      4 이용하, "국민연금 지급개시연령 상향조정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12

      5 정홍원, "국민연금 제도개혁과 사회적 대화" 정부학연구소 14 (14): 135-160, 2008

      6 정홍원, "국민연금 개정법안(1988. 12)에 대한 분석・평가" 5 (5): 189-219, 1998

      7 Blau, D. M., "What explains trends in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older men in the united states?" IZA 2007

      8 Hanel, B., "The timing of retirement—New evidence from Swiss female workers" 19 (19): 718-728, 2012

      9 Atalay, K., "The impact of age pension eligibility age on retirement and program dependence : evidence from an Australian experiment" 97 (97): 71-87, 2015

      10 Pingle, J. F., "Social Security's delayed retirement credit and the labor supply of older men" FEDS 2006

      11 Hernæs, E., "Pension reform and labor supply" 142 : 39-55, 2016

      12 Mastrobuoni, G., "Labor supply effects of the recent social security benefit cuts : Empirical estimates using cohort discontinuities" 93 (93): 1224-1233, 2009

      13 통계청, "2016년 8월 경제활동인구월보" 통계청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