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캐주얼 레스토랑 브랜드 자산이 모기업 브랜드 친숙성 및 확장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brand equity of casual restaurant on parent company brand familiarity and extension brand attitu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755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국내 외식기업의 브랜드 확장은 모기업을 중점으로 성공한 외식 브랜드와 상이한 수직적 관계의 브랜드 확장이 주를 이루고 있다. 외식기업의 성공한 브랜드는 소비자 경험과 연상의 범위를 모기업 브랜드 태도는 물론 모기업의 새로운 확장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내 외식기업 브랜드 중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캐주얼 레스토랑 브랜드 자산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모기업 브랜드 친숙성과 확장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외식기업의 브랜드 중 캐주얼 레스토랑과 한식 뷔페 레스토랑을 모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2017년 6월 12일부터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캐주얼 레스토랑 브랜드자산 중 인지도, 연상 이미지, 지각된 품질 순으로 모기업 브랜드 친숙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캐주얼 레스토랑 브랜드자산 중 인지도, 충성도, 연상 이미지 순으로 확장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모기업 브랜드 친숙성은 확장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외식기업의 브랜드 확장 전략은 캐주얼 레스토랑과 같이 인지도가 높고 꾸준한 인기가 있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태도가 모기업 브랜드로 영항을 미치는 동시에 확장 브랜드 태도에도 전이됨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국내 외식기업의 브랜드 확장은 모기업을 중점으로 성공한 외식 브랜드와 상이한 수직적 관계의 브랜드 확장이 주를 이루고 있다. 외식기업의 성공한 브랜드는 소비자 경험과 연상의 범위...

      국내 외식기업의 브랜드 확장은 모기업을 중점으로 성공한 외식 브랜드와 상이한 수직적 관계의 브랜드 확장이 주를 이루고 있다. 외식기업의 성공한 브랜드는 소비자 경험과 연상의 범위를 모기업 브랜드 태도는 물론 모기업의 새로운 확장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내 외식기업 브랜드 중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캐주얼 레스토랑 브랜드 자산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모기업 브랜드 친숙성과 확장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외식기업의 브랜드 중 캐주얼 레스토랑과 한식 뷔페 레스토랑을 모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2017년 6월 12일부터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캐주얼 레스토랑 브랜드자산 중 인지도, 연상 이미지, 지각된 품질 순으로 모기업 브랜드 친숙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캐주얼 레스토랑 브랜드자산 중 인지도, 충성도, 연상 이미지 순으로 확장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모기업 브랜드 친숙성은 확장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외식기업의 브랜드 확장 전략은 캐주얼 레스토랑과 같이 인지도가 높고 꾸준한 인기가 있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태도가 모기업 브랜드로 영항을 미치는 동시에 확장 브랜드 태도에도 전이됨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종식, "호텔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태도, 고객만족,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특급호텔 브랜드를 중심으로 -" 한국호텔관광학회 18 (18): 133-149, 2016

      2 배우암, "호텔외식업 母브랜드 지각된 품질이 확장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母브랜드 충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9 (29): 127-150, 2015

      3 전정아, "호텔 브랜드 자산과 확장브랜드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관광학회 35 (35): 57-77, 2011

      4 김호성, "호텔 브랜드 마케팅, 브랜드 자산 및 고객만족의 영향관계 연구: 서울지역 특급호텔을 이용하는 내국인 중심으로" 한국호텔관광학회 11 (11): 159-172, 2009

      5 김용만, "프로농구 구단-관중관계성과 구단이미지, 구단동일시, 모기업동일시, 모기업태도, 모기업충성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7 (17): 13-26, 2012

      6 전종우, "테마파크의 소비자 평가 모델과 모기업 브랜드 및 도시 브랜드와의 관계 : 에버랜드와 삼성, 용인시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3 (23): 277-293, 2012

      7 권상미, "축제의 고객기반 브랜드자산이 방문객의 지각된 가치와 개최지역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함평 나비축제와 보령 머드축제의 비교"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2 (22): 77-96, 2010

      8 심혜진, "외식업체 브랜드 자산과 확장 브랜드 HMR 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외식경영학회 19 (19): 139-161, 2016

      9 김은숙, "외식산업의 브랜드 자산, 선호, 재방문의 관계" 13 : 37-59, 2004

      10 이정탁, "외식기업의 모브랜드와 확장브랜드간의 상호작용 연구 - 브랜드 친숙도와 지각된 적합성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9 (39): 255-275, 2015

      1 유종식, "호텔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태도, 고객만족,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특급호텔 브랜드를 중심으로 -" 한국호텔관광학회 18 (18): 133-149, 2016

      2 배우암, "호텔외식업 母브랜드 지각된 품질이 확장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母브랜드 충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9 (29): 127-150, 2015

      3 전정아, "호텔 브랜드 자산과 확장브랜드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관광학회 35 (35): 57-77, 2011

      4 김호성, "호텔 브랜드 마케팅, 브랜드 자산 및 고객만족의 영향관계 연구: 서울지역 특급호텔을 이용하는 내국인 중심으로" 한국호텔관광학회 11 (11): 159-172, 2009

      5 김용만, "프로농구 구단-관중관계성과 구단이미지, 구단동일시, 모기업동일시, 모기업태도, 모기업충성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7 (17): 13-26, 2012

      6 전종우, "테마파크의 소비자 평가 모델과 모기업 브랜드 및 도시 브랜드와의 관계 : 에버랜드와 삼성, 용인시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3 (23): 277-293, 2012

      7 권상미, "축제의 고객기반 브랜드자산이 방문객의 지각된 가치와 개최지역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함평 나비축제와 보령 머드축제의 비교"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2 (22): 77-96, 2010

      8 심혜진, "외식업체 브랜드 자산과 확장 브랜드 HMR 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외식경영학회 19 (19): 139-161, 2016

      9 김은숙, "외식산업의 브랜드 자산, 선호, 재방문의 관계" 13 : 37-59, 2004

      10 이정탁, "외식기업의 모브랜드와 확장브랜드간의 상호작용 연구 - 브랜드 친숙도와 지각된 적합성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9 (39): 255-275, 2015

      11 유세란, "외식 브랜드 확장 시 모브랜드이미지와 지각된 적합성이 확장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지식의 조절역할 -" 한국외식경영학회 17 (17): 277-298, 2014

      12 머니투데이, "신세계, 외식 프랜차이즈 시장 본격 진출"

      13 성경식, "사회적 외식기업에 대한 브랜드 연상이 관계품질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윤리적 소비성향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외식경영학회 18 (18): 103-130, 2015

      14 손영화, "모브랜드-확장제품의 유사성, 확장제품가격 및 지각된 위험이 확장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0 (10): 683-700, 2009

      15 김기석, "모브랜드 제품-확장브랜드 제품간 유사성이 확장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78-389, 2011

      16 송상연, "모기업 연상이 브랜드 포트폴리오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5 (15): 465-477, 2015

      17 박영제, "모기업 브랜드 이미지가 호텔 브랜드 연상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33 (33): 47-65, 2018

      18 채단비, "모 브랜드 자산이 확장 브랜드 태도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 1 (1): 37-62, 2014

      19 EBN, "대기업 외식사업은 속빈 강정"

      20 뉴스1, "달라진 외식시장, 패밀리 레스토랑 지고 캐주얼 레스토랑 뜬다"

      21 비즈한국, "‘빕스 대 애슐리’ CJ 푸드빌 구창근 vs 이랜드파크 김현수"

      22 Reddy, S. K., "To extend or not to extend : success determinants of line extension" 31 (31): 243-262, 1994

      23 Bhat, S., "The impact of parent brand attribute associations and affect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 53 (53): 111-122, 2001

      24 Pina, J. M., "The effect of service brand-extensions on corporate image: an empirical model" 40 (40): 174-197, 2006

      25 Maynes, E. S.,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product quality" 40 (40): 529-559, 2002

      26 Keller, K. L.,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Prentice-Hall 2003

      27 Dwivedi, A., "Retail brand extentions : unpacking the link between brand extension attitude and change in parent brand equity" 21 (21): 75-84, 2013

      28 Balachander, S., "Reciprocal spillover effects : a strategic benefit of brand extensions" 67 (67): 4-13, 2003

      29 Zeithaml, V. A., "Problems and strategies in service marketing" 49 (49): 33-46, 1985

      30 Newman, J. W., "New insight, new progress, for marketing" 35 : 95-102, 1957

      31 Kim, W. G., "Multidimensional customer-based brand equity and its consequences in mid-priced hotels" 32 (32): 235-254, 2008

      32 Cronin, J. J., "Measuring service quality :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56 (56): 55-68, 1992

      33 Lassar, W., "Measur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12 (12): 11-19, 1995

      34 Aaker, D. A.,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38 (38): 102-120, 1996

      35 Aaker, D. A.,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The Free Press 1991

      36 Völckner, F., "Drivers of brand extension success" 70 (70): 18-34, 2006

      37 Koopmans, J., "Does familiarity breed acceptance : the influence of policy on physicians'attitude toward newborn screening program" 117 (117): 1477-1485, 2006

      38 Loken, B., "Diluting brand beliefs: when do brand extensions have a negative impact?" 57 (57): 71-84, 1993

      39 Williams, P., "Customer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 a firm level analysis" 25 (25): 20-32, 2011

      40 Keller, K. L.,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 based brand equity" 57 (57): 1-22, 1993

      41 Jacoby, J., "Brand loyalty vs repeat purchasing behavior" 57 (57): 1-22, 1973

      42 Sullivan, M. W., "Brand extension : when to use them" 38 (38): 793-806, 1992

      43 Kim, K., "Brand equity in hospital marketing" 61 (61): 75-82, 2008

      44 Erdem, T., "Brand equity as a signaling phenomenon" 7 (7): 131-157, 1998

      45 Majid, M. A. A., "Assess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ratings in family restaurant" 37 : 183-189, 2016

      46 Erdem, T.,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spillover effects of advertising and sales Promotions in Umbrella Branding" 39 (39): 408-420, 2002

      47 Loken, B., "Alternative approaches to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typicality" 17 (17): 111-126, 1990

      48 Nan, X., "Affective cues and brand-extension evaluation : exploring the influence of attitude toward the parent brand and attitude toward the extension ad" 23 (23): 597-616, 2006

      49 Collins, A., M., "A spreading-activation theory of semantic processing" 82 (82): 407-428, 1975

      50 Gronroos. A., "A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marketing implications" 18 (18): 36-44, 1984

      51 Oliver, R. L.,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 17 (17): 460-469,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2-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텔.관광학회 -> 한국호텔관광학회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 Hospitality & Tourism -> The Academy of Korea Hospitality & Tourism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9-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호텔관광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Hopitality & Touris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4 1.24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27 1.22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