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중국어 교육의 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외국어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본 결과, 영어의 독점적 지위와 대비되어 중국어의 낮은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외국어 교과가 영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35477
2016
-
700
KCI등재
학술저널
161-183(23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중국어 교육의 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외국어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본 결과, 영어의 독점적 지위와 대비되어 중국어의 낮은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외국어 교과가 영어...
본고에서는 중국어 교육의 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외국어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본 결과, 영어의 독점적 지위와 대비되어 중국어의 낮은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외국어 교과가 영어와 제2외국어로 분리되어, 영어는 초등학교부터 필수로 편제되어 있으면서 중점적으로 운영되고, 중국어를 비롯한 제2외국어는 중학교, 고등학교 모두 선택과목으로 편제되어 있으며 수업 시수도 적다. 한국 사회에서 영어 교육의 열풍은 영어의 국제 공용어로서의 기능에 기인하였다기보다는 영어가 주요한 학력 평가 도구의 역할을 함에 따라 경쟁 사회에서 더 나은 기회를 얻기 위함인 것으로 보인다. 영어와 비교할 때 중국어의 위상은 보잘 것 없지만, 언어총생산이나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향후 세계 주요 언어일 뿐만 아니라 현행 제2외국어과에서도 가장 부상하고 있는 언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어교육학이 정립되지 못하여 중국어교육에 관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어교육학이 왜 필요하고 중국어교육학의 범위는 어떻게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중국어 교육의 위상이 중·고등학교에서 높아지기 위해서는 우선 중국어교육학이 정립되고 활성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2외국어를 외국어 교과에 다시 포함시키고 영어와 편성상의 차이를 두지 말고, 생활외국어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 또한 외국어 종류만 다양화하기보다는 주요언어를 실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외국어 교육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맹주억, "한국 중국어교육의 환경변화와 지향점" 한국중국언어학회 (25) : 385-414, 2007
2 소경희,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39-59, 2006
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 심상보, "중등교육과정의 현실적 쟁점과 개선방향"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18 (18): 2010
5 맹주억, "중국어교육학의 학문체계 정립에 대하여" 중국연구소 45 : 47-61, 2009
6 정유선, "중국어교사 수업능력향상을 위한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교과과정 개선방안" 한국중문학회 (39) : 283-308, 2009
7 이경진, "중ㆍ고등학교 중국어 교육 현황 조사 - 서울시 소재 중ㆍ고등학교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중국어문연구회 (74) : 151-176, 2016
8 교육부, "조간보도자료-중국어 원어민 보조교사 초청 활용 사업 본격 시작"
9 교육부, "조간보도 참고자료-사교육 경감 및 공교육 정상화 대책"
10 교육부,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1 맹주억, "한국 중국어교육의 환경변화와 지향점" 한국중국언어학회 (25) : 385-414, 2007
2 소경희,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39-59, 2006
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 심상보, "중등교육과정의 현실적 쟁점과 개선방향"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18 (18): 2010
5 맹주억, "중국어교육학의 학문체계 정립에 대하여" 중국연구소 45 : 47-61, 2009
6 정유선, "중국어교사 수업능력향상을 위한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교과과정 개선방안" 한국중문학회 (39) : 283-308, 2009
7 이경진, "중ㆍ고등학교 중국어 교육 현황 조사 - 서울시 소재 중ㆍ고등학교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중국어문연구회 (74) : 151-176, 2016
8 교육부, "조간보도자료-중국어 원어민 보조교사 초청 활용 사업 본격 시작"
9 교육부, "조간보도 참고자료-사교육 경감 및 공교육 정상화 대책"
10 교육부,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11 윤석임, "일본어 교육의 변천과 최근 동향 -과제와 방향성 탐색을 위한 연구 -" 동아시아일본학회 (43) : 417-438, 2012
12 "일반고에 경제, 로봇, 문예창작 과정 생긴다-다양한 교과로 이루어진 73개 교과중점학교 지정"
13 김희경, "유럽연합의 다언어주의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3 (3): 2009
14 이흥수, "영어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연구 범위" 한국영어학회 3 (3): 133-155, 2003
15 송석요, "영어교육과의 교과과정에 대한 새로운 방향제시"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48 (48): 151-171, 2006
16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
17 윤지관, "영어, 내 마음의 식민주의" 당대 2007
18 최승후, "수능 아랍어는 ‘찍기시험’"
19 강현석, "세계 주요 언어의 국제적 위상 변화 양상과 국내 외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함축" 언어과학회 (69) : 1-22, 2014
20 이현아, "국내 중국어교육 관련연구 동향분석:2005년부터 2014년까지" 교육연구소 16 (16): 181-208, 2015
21 유재원, "국내 교육대학원의 중국어교육 연구 논문에 관한 고찰: 2004년~2007년 상반기 졸업논문을 중심으로" 외국어교육연구소 21 (21): 85-108, 2007
22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23 이옥주, "교육수요자의 관점에서 본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교과과정 연구" 중국어문학연구회 (58) : 327-350, 2009
24 신승희, "교육대학원의 중국어교육 연구현황과 과제" 한국중국언어학회 (19) : 465-490, 2004
25 이옥주,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의 평가와 진단: 교과과정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재학생 인식의 계량적 연구를 통하여" 중국어문학회 (32) : 423-450, 2010
26 "교육관련 18개 법령, 제·개정"
27 허정무,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및 교과교육과정 체계 규명을 위한 기초연구" 한남대학교교육문제연구소 (1) : 1993
28 허경철, "교과교육학신론" 문음사 2001
29 김승호, "교과교육론 서설"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83-106, 2009
30 송만익, "고등학교 일본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 2009개정교육과정 적용의 전후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문화학회 (56) : 37-58, 2013
31 양종근, "‘영어교육’, 이대로 안 된다" 한국교양교육학회 2011
32 "2013년 학과(전공)분류자료집’의 ‘4년제 대학-인문계열(01)-언어·문학(01)-중국어·문학(04)"
33 "2013년 학과(전공)분류자료집’의 ‘4년제 대학-교육계열(03)-중등교육(05)-언어교육(01)"
The Poems of Li Shangyin`s Zizhou General`s Office Period
Fu Jian Bi Xing(賦兼比興): Constitute, Deformation and Significance
Joseph Edkins의 중국어 연구에 대한 기초적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6 | 0.26 | 0.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32 | 0.635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