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번역 연구는 《경전석사》의 번역에 목표를 두고 있다. 《경전석사》는 왕인지의 전문 허사 연구서로서 1819년에 출판되었다. 고대/현대 중국어 연구에 있어 허사의 존재와 그 쓰임을 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0640
2018년
Korean
경전석사 ; Jingzhuanshici ; Wangyinzhi ; Old Chinese ; function word ; Chinese linguistics ; Philologie ; Mutual commenting ; Catching the meaning via sound ; Mashiwentong ; commentation of Chinese classics ; 왕인지 ; 고대중국어 ; 허사 ; 중국어학 ; 고증학 ; 호훈 ; 인성구의 ; 마씨문통 ; 경전 해석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번역 연구는 《경전석사》의 번역에 목표를 두고 있다. 《경전석사》는 왕인지의 전문 허사 연구서로서 1819년에 출판되었다. 고대/현대 중국어 연구에 있어 허사의 존재와 그 쓰임을 파...
본 번역 연구는 《경전석사》의 번역에 목표를 두고 있다. 《경전석사》는 왕인지의 전문 허사 연구서로서 1819년에 출판되었다. 고대/현대 중국어 연구에 있어 허사의 존재와 그 쓰임을 파악하는 것은 문장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인데, 이러한 부분에 대한 번역은 중국어 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파악된다. 아울러 그 속에서 다루고 있는 경전의 용례의 번역까지 비교 검토하여 허사 연구와 더불어 경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면모를 제공할 것이다.
기대효과로는 학문적, 사회적 기여로서, 학문적 기여는 자체의 연구 성과와 연계 학문에서 필요하는 내용 등 다양한 측면에서 언급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중국에서 통용되는 중국어 번역본이나 연구서에서도 《경전석사》의 활용과 응용은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번 번역을 통해서 중국어와 문학, 더 나아가 한문에서의 경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질적 제고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적 기여로는 인문학에 대한 관심을 이전까지의 경전과는 다른 관점을 보이면서 해당 번역서가 경전의 새로운 읽기의 출발점으로서 환기하는 작용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편향적인 시각을 탈피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