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빈곤가구의 심리적 디스트레스(Distress)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psychological distress of poor househol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03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to deeply understand various psychological distresses which poor households experienced. With the recorded material of 29 households in the low-income bracket among the respondents participating in the Korea Welfare Panel Qualitative Research, topic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poor households showed various distresses such as everyday life stress, anger, anxiety about the future, depression, and suicidal impulse, damage on self-esteem, isolation, family conflict. and guilty feeing for family. Financial difficulty worked as a crucial triggering factor. However, they cannot cope with it actively, and only take their heart with comfort from people around and religion. Through this study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at it is needed to support the poor households for thei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s well, and for this, case management is crucial.
      번역하기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to deeply understand various psychological distresses which poor households experienced. With the recorded material of 29 households in the low-income bracket among the respondents participating in the Korea Welfare Pane...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to deeply understand various psychological distresses which poor households experienced. With the recorded material of 29 households in the low-income bracket among the respondents participating in the Korea Welfare Panel Qualitative Research, topic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poor households showed various distresses such as everyday life stress, anger, anxiety about the future, depression, and suicidal impulse, damage on self-esteem, isolation, family conflict. and guilty feeing for family. Financial difficulty worked as a crucial triggering factor. However, they cannot cope with it actively, and only take their heart with comfort from people around and religion. Through this study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at it is needed to support the poor households for thei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s well, and for this, case management is cruci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빈곤가구가 경험하는 다양한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질적 연구이다. 한국복지패널 질적연구에 참여한 응답자 중 저소득층 29가구의 녹취자료를 대상으로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빈곤가구에서는 일상적 스트레스, 분노,미래 불안감, 우울, 자살충동, 자존감 저하, 고립, 가족갈등, 가족에 대한 죄책감 등 다양한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하지만 디스트레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였으며 주변으로부터 위안을 구하거나 스스로 마음을 다잡으며 견디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빈곤가구에 대한 물질적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하며, 이를 위해 사례관리가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빈곤가구가 경험하는 다양한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질적 연구이다. 한국복지패널 질적연구에 참여한 응답자 중 저소득층 29가구의 녹취자료를 대상으로 ...

      본 연구는 빈곤가구가 경험하는 다양한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질적 연구이다. 한국복지패널 질적연구에 참여한 응답자 중 저소득층 29가구의 녹취자료를 대상으로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빈곤가구에서는 일상적 스트레스, 분노,미래 불안감, 우울, 자살충동, 자존감 저하, 고립, 가족갈등, 가족에 대한 죄책감 등 다양한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하지만 디스트레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였으며 주변으로부터 위안을 구하거나 스스로 마음을 다잡으며 견디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빈곤가구에 대한 물질적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하며, 이를 위해 사례관리가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은민, "한부모가족의 적응-가족탄력성의 완충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07-126, 2007

      2 구인회, "한국의 빈곤, 왜 감소하지 않는가?-1990년대 이후 빈곤 추이의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57-78, 2004

      3 장세훈, "한국사회의 신빈곤" 한울아카데미 2006

      4 이영문, "한 도시지역 저소득층 주민의 정신건강수준" 38 (38): 1234-1244,

      5 홍선미, "자활사업에서의 사례관리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311-326, 2004

      6 한노을, "외상 후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아동기 성폭력을 경험한 여성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8

      7 김선미, "수급가구의 생활실태" 182-187, 2008

      8 성준모, "소득수준별 가구 경제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09-132, 2010

      9 박상규, "빈곤층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813-824, 2004

      10 이상록, "빈곤지위의 변화에 정신건강이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277-311, 2010

      1 현은민, "한부모가족의 적응-가족탄력성의 완충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07-126, 2007

      2 구인회, "한국의 빈곤, 왜 감소하지 않는가?-1990년대 이후 빈곤 추이의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57-78, 2004

      3 장세훈, "한국사회의 신빈곤" 한울아카데미 2006

      4 이영문, "한 도시지역 저소득층 주민의 정신건강수준" 38 (38): 1234-1244,

      5 홍선미, "자활사업에서의 사례관리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311-326, 2004

      6 한노을, "외상 후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아동기 성폭력을 경험한 여성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8

      7 김선미, "수급가구의 생활실태" 182-187, 2008

      8 성준모, "소득수준별 가구 경제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09-132, 2010

      9 박상규, "빈곤층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813-824, 2004

      10 이상록, "빈곤지위의 변화에 정신건강이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277-311, 2010

      11 김광혁, "빈곤이 아동학대 및 방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분석" 226-232, 2008

      12 김수영, "빈곤여성의 역경극복 과정 : 강점관점 사례관리 참여자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13 김유심, "빈곤여성가장의 생활사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가족응집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거주 18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을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11 (11): 161-179, 2010

      14 김지혜, "빈곤여성가장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디스트레스간의 관계: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2 (22): 65-93, 2010

      15 박현선, "빈곤과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 간의 관계: 성인역 부담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303-330, 2006

      16 구인회, "빈곤과 아동발달의 관계에 대한 종단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57-79, 2009

      17 이상문, "빈곤계층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3년간의 패널연구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119-152, 2008

      18 김현경,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9 (39): 29-56, 2008

      19 윤명숙,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정신건강실태와 재활" 408-424, 2001

      20 노혜련,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특성에 관한 연구: 빈곤여성가구주의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15 (15): 75-104, 2007

      21 Patel, V., "Woman, poverty and common mental disorders in four restructuring societies" 49 : 1461-1471, 1999

      22 Seidman, E., "The impact of school transitions on the self-system and perceived social context of poor urban youth" 65 (65): 507-522, 1994

      23 Turner, R. J., "The epidemiology of social stress" 60 : 104-125, 1995

      24 Haveman, R., "The determinants of children's attainments: A review of methods and findings" 33 (33): 1829-1878, 1995

      25 Eaton, W. W., "Socioeconomic stratification and mental disorder, In A Handbook for the Study of Mental Heal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9-283, 1999

      26 Wender, P. H., "Social class and psychopathology in adoptees" 28 : 318-325, 1973

      27 Hollingshead, A. B., "Social class and mental illness: A community study" Wiley 1958

      28 Muntaner, C., "Social Inequalities in mental health: A review of concepts and underlying assumptions" 4 (4): 89-113, 2000

      29 O’Leary, B. E., "Resilience and thriving in response to challenge: An opportunity for paradigm shift in women’s health" 1 : 121-142, 1995

      30 Danziger, S., "Human capital,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of welfare recipients: Co-ocurrence and correlates" 56 (56): 635-654, 1998

      31 McLanahan, S., "Growing up with a single par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4

      32 Kalil, A., "Correlates of employment among welfare recipients: D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matter?" 29 (29): 701-723, 2001

      33 Duncan, G. J., "Consequences of growing up poor" Fussell Sage Foundation 1997

      34 Johnson, J. G.,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social causation and social selection process involved i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psychiatric disorders" 108 : 490-499, 1999

      35 이태진, "2011년도 기초생활보장정책의 변화와 전망" 42-49,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3 1.33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