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악성댓글 작성과 중재 의도에 대한 요인 연구 = A study of factors on intention of intervention and posting malicious com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02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온라인 악성댓글에 대한 폐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많은 선행 연구들은 악성댓글에 대한 중화가 핵심적인 선행 요인임을 확인해왔다. 중화는 이론적으로 일곱개의 다차원 개념으로...

      온라인 악성댓글에 대한 폐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많은 선행 연구들은 악성댓글에 대한 중화가 핵심적인 선행 요인임을 확인해왔다. 중화는 이론적으로 일곱개의 다차원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탈행위의 종류에 따라 중화 요인의 유의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일탈행위 연구에서 다차원의 중화 기술 요인들을 실증한 것과는 다르게 악성댓글 연구에서는 중화기술을 단일 차원으로 살펴보았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한편, 일탈행위에 대한 중재자의 역할은 일탈행위 억제에 기여할 수 있지만 악성댓글 연구에서의 중재 의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상호보완적인 두 개의 연구로 구성된 본 연구는 악성댓글 작성의도와 중재 의도에 대한 관련 요인들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악성댓글 작성자가 비난자에 대한 비난과 책임의 부정 중화기술을 활용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대방과의 정서적 공감이 악성댓글 중재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armful effects of online malicious comment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Many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at neutralization of malicious comments is a key predictor. Neutralization is theoretically composed of seven multidimensional concept...

      The harmful effects of online malicious comment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Many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at neutralization of malicious comments is a key predictor. Neutralization is theoretically composed of seven multidimensional concepts, and the significance of neutralization factors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deviant behavior.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malicious comment researches have considered the neutralization techniques in a single dimension as opposed to demonstrating the multidimensional neutralization techniques in the deviant behavior research. On the other hand, the role of arbitrator in deviant behavior can contribute to restraining deviant behavior, but the research of intervention intention is relatively lacking in malicious comments research. This study, composed of two complementary studies, tried to find out the related factors of malicious comments and intervention intention. As a result of study, This study revealed that malicious commentator uses the neutralization techniques of condemn the condemners and denial of responsibility. In addition, we found that affective empath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vention intention in malicious comm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신영, "치위생(학)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이 공감력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중소기업융합학회 7 (7): 25-30, 2017

      2 이성식, "청소년 인터넷 악성댓글에 있어 중화의 작용 : 세 이론의 검증" 한국형사정책학회 21 (21): 245-266, 2009

      3 우진주,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 연구 :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9 (9): 61-67, 2018

      4 문원희,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한국융합학회 7 (7): 81-88, 2016

      5 Paul Cromwell, "the devil made me do it: use of neutralizations by shoplifters" Informa UK Limited 24 (24): 535-550, 2003

      6 Heith Copes, "streetlife and the rewards of auto theft" Informa UK Limited 24 (24): 309-332, 2003

      7 Paul Benjamin Lowry, "Why Do Adults Engage in Cyberbullying on Social Media? An Integration of Online Disinhibition and Deindividuation Effects with the Social Structure and Social Learning Model" Institute for Operations Research and the Management Sciences (INFORMS) 27 (27): 962-986, 2016

      8 Simona C. S. Caravita, "Unique and Interactive Effects of Empathy and Social Status on Involvement in Bullying" Wiley 18 (18): 140-163, 2009

      9 Supreme prosecutor’s office, "The official blog of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10 Daegon Cho, "The impacts of identity verification and disclosure of social cues on flaming in online user comments" Elsevier BV 51 : 363-372, 2015

      1 박신영, "치위생(학)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이 공감력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중소기업융합학회 7 (7): 25-30, 2017

      2 이성식, "청소년 인터넷 악성댓글에 있어 중화의 작용 : 세 이론의 검증" 한국형사정책학회 21 (21): 245-266, 2009

      3 우진주,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 연구 :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9 (9): 61-67, 2018

      4 문원희,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한국융합학회 7 (7): 81-88, 2016

      5 Paul Cromwell, "the devil made me do it: use of neutralizations by shoplifters" Informa UK Limited 24 (24): 535-550, 2003

      6 Heith Copes, "streetlife and the rewards of auto theft" Informa UK Limited 24 (24): 309-332, 2003

      7 Paul Benjamin Lowry, "Why Do Adults Engage in Cyberbullying on Social Media? An Integration of Online Disinhibition and Deindividuation Effects with the Social Structure and Social Learning Model" Institute for Operations Research and the Management Sciences (INFORMS) 27 (27): 962-986, 2016

      8 Simona C. S. Caravita, "Unique and Interactive Effects of Empathy and Social Status on Involvement in Bullying" Wiley 18 (18): 140-163, 2009

      9 Supreme prosecutor’s office, "The official blog of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10 Daegon Cho, "The impacts of identity verification and disclosure of social cues on flaming in online user comments" Elsevier BV 51 : 363-372, 2015

      11 Gresham M. Sykes, "Techniques of Neutralization: A Theory of Delinquency" SAGE Publications 22 (22): 664-, 1957

      12 Claes Fornell,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JSTOR 18 (18): 382-, 1981

      13 Ashley N. Doane, "Predictors of cyberbullying perpetration among college students: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Elsevier BV 36 : 154-162, 2014

      14 Michele L. Ybarra, "Online aggressor/targets, aggressors, and targets: a comparison of associated youth characteristics" Wiley 45 (45): 1308-1316, 2004

      15 Mikko Siponen, "New insights into the problem of software piracy: The effects of neutralization, shame, and moral beliefs" Elsevier BV 49 (49): 334-341, 2012

      16 Siponen, "Neutralization: New Insights into the Problem of Employee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Policy Violations" JSTOR 34 (34): 487-, 2010

      17 M. Alonzo, "Flaming in electronic communication" 36 : 205-213, 2004

      18 Tirza H. J. van Noorden, "Empathy and Involvement in Bully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Springer Nature 44 (44): 637-657, 2015

      19 Ashley N. Doane, "Development of the Cyberbullying Experiences Survey" SAGE Publications 1 (1): 207-218, 2013

      20 Jiyeon Hwang, "Cyber neutralisation and flaming" Informa UK Limited 35 (35): 210-224, 2015

      21 Christina Salmivalli, "Connections between attitudes, group norms, and behaviour in bullying situations" SAGE Publications 28 (28): 246-258, 2016

      22 P. M. Podsakoff,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88 (88): 879-, 2003

      23 D. Olweus.,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Blackwell Publishers 1993

      24 Georges Steffgen, "Are Cyberbullies Less Empathic? Adolescents' Cyberbullying Behavior and Empathic Responsiveness" Mary Ann Liebert Inc 14 (14): 643-648, 2011

      25 I. Ajzen., "Action control" Springer 11-39, 1985

      26 Lambros Lazuras, "A process model of cyberbullying in adolescence" Elsevier BV 29 (29): 881-887,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