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도입국청소년 연구의 10년 동향분석 - KCI 등재 논문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25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중도입국청소년의 관련 문헌을 살펴보고자 2011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게재된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국문논문 총 49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연구동향 을 살펴보기 위해 등재지 게재 동향, 연구주제 동향, 연구방법 동향을 파악하였 다. 이를 통해 중도입국청소년 연구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 향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고, 총 31개의 학 술지에 수록되었다. 둘째, 연구주제 동향을 살펴보면,‘생활실태, 사회적 지원, 법ㆍ인권, 정체성, 적응ㆍ부적응을 포함하는 사회적 측면’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유형으로는‘질적연구’가 가 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양적분석’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첫째 KCI에 등록된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연구의 접근성 향상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주제의 확장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연구 방법의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연구가 최초로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2011년부 터 2020년까지 10년의 동향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중도입국청소년의 관련 문헌을 살펴보고자 2011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게재된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국문논문 총 49편을 선정하여 ...

      본 연구는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중도입국청소년의 관련 문헌을 살펴보고자 2011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게재된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국문논문 총 49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연구동향 을 살펴보기 위해 등재지 게재 동향, 연구주제 동향, 연구방법 동향을 파악하였 다. 이를 통해 중도입국청소년 연구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 향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고, 총 31개의 학 술지에 수록되었다. 둘째, 연구주제 동향을 살펴보면,‘생활실태, 사회적 지원, 법ㆍ인권, 정체성, 적응ㆍ부적응을 포함하는 사회적 측면’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유형으로는‘질적연구’가 가 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양적분석’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첫째 KCI에 등록된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연구의 접근성 향상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주제의 확장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연구 방법의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 관련 연구가 최초로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2011년부 터 2020년까지 10년의 동향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49 Korean literature papers related to middle-aged immigrant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KCI) from 2011 to December 2020. In order to examine research trends related to migrant youth, the publication trend of registered site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the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hecking the current status of migrant youth research and setting the direction of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16 to 2018, with a total of 31 academic journals. Second, looking at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the most studies related to social aspects are published. Third,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ly used research type,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or data analysis. Suggestion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research related to migrant youth registered with the first KCI. Second, we need to expand the research topic. Third, various research methods are needed. This study can to the limitation that only papers that can be viewed in the original form of KCI-listed papers are subject to analysis, There may be errors in the qualitative studies classified in this study because each researcher has slightly different perspectives that define qualitative research.
      번역하기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49 Korean literature papers related to middle-aged immigrant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KCI) from 2011 to December 2020. In order to examine research trends related to migrant youth, the ...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49 Korean literature papers related to middle-aged immigrant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KCI) from 2011 to December 2020. In order to examine research trends related to migrant youth, the publication trend of registered site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the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hecking the current status of migrant youth research and setting the direction of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16 to 2018, with a total of 31 academic journals. Second, looking at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the most studies related to social aspects are published. Third,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ly used research type,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or data analysis. Suggestion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research related to migrant youth registered with the first KCI. Second, we need to expand the research topic. Third, various research methods are needed. This study can to the limitation that only papers that can be viewed in the original form of KCI-listed papers are subject to analysis, There may be errors in the qualitative studies classified in this study because each researcher has slightly different perspectives that define qualitative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II. 연구방법
      • 1. 분석대상
      • 2. 분석절차
      • 국문초록
      • I. 서론
      • II. 연구방법
      • 1. 분석대상
      • 2. 분석절차
      • 3. 분석기준 및 방법
      • III. 연구결과 및 해석
      • 1. 등재학술지 게재 동향
      • 2. 연구주제별 동향
      • 3. 연구방법별 동향
      • 4. 연구주제에 따른 연구방법별 동향
      • IV.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언하,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 연구 동향 분석(2010~2019)"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399-414, 2019

      2 윤혜순, "탈북청소년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25-149, 2014

      3 김보미, "탈북 청소년 연구의 20년 동향분석: 1999년~2018년 연구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65-1289, 2019

      4 김범구,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15-337, 2012

      5 유진이,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3 (3): 3-46, 2018

      6 배상률, "중도입국청소년의 실태 및 자립지원 방안 : 진로 및 취업을 중심으로" 2 (2): 67-88, 2017

      7 좌동훈, "중도입국청소년의 사회문화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8 송원일,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정체성교육"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5 (5): 1-14, 2020

      9 윤새은임, "중도입국청소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 (2): 57-93, 2017

      10 김소형, "중도입국청소년 한국어교육 지원 현황 및 개선방안" 3 (3): 31-66, 2018

      1 박언하,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 연구 동향 분석(2010~2019)"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399-414, 2019

      2 윤혜순, "탈북청소년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25-149, 2014

      3 김보미, "탈북 청소년 연구의 20년 동향분석: 1999년~2018년 연구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65-1289, 2019

      4 김범구,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15-337, 2012

      5 유진이,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3 (3): 3-46, 2018

      6 배상률, "중도입국청소년의 실태 및 자립지원 방안 : 진로 및 취업을 중심으로" 2 (2): 67-88, 2017

      7 좌동훈, "중도입국청소년의 사회문화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8 송원일,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정체성교육"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5 (5): 1-14, 2020

      9 윤새은임, "중도입국청소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 (2): 57-93, 2017

      10 김소형, "중도입국청소년 한국어교육 지원 현황 및 개선방안" 3 (3): 31-66, 2018

      11 김소형, "중도입국청소년 자기결정성 동기가 한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4 (4): 41-65, 2019

      12 정세진,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적응 영향요인 연구-개인, 가족, 다문화배경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4) : 23-50, 2018

      13 유진이, "중도입국 청소년의 진로계획 경험 연구" 4 (4): 67-105, 2019

      14 김민경, "중도입국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재구성과 부적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융합학회 11 (11): 279-286, 2020

      15 유진이, "중도 학업중단청소년의 진로선택 요인 연구" 3 (3): 69-110, 2018

      16 강영배, "일본의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체계에 관한 고찰"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1 (1): 3-31, 2016

      17 김은경, "이주배경 청소년에 관한 질적 연구 동향: 국내 및 북미 학술지 게재 논문 분석(2003-2015)" 한국상담학회 18 (18): 245-270, 2017

      18 송원일,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한국인 정체성 갈등과 대응전략"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5 (5): 1-26, 2020

      19 김용숙,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 KCI 등재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403-422, 2015

      20 이은해, "아동 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6

      21 박병금,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적응 연구 동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71-381, 2020

      22 홍영균, "4차산업혁명시대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 방안" 2 (2): 89-122, 2017

      23 법무부, "2019 출입국ㆍ외국인정책 통계연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12-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다문화아동청소년학회 ->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영문명 : The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Child and Youth -> Institute of Multicultural Child and Youth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