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경호 “고대 한국한자음에 반영된 동한~륙조대 중국음(1)”에 이어지는 문장으로서 , 고대조선반도의 차자표기에 드러나는 [?],[匣]母가 이표기에서 연구개파렬음을 지닌 [?]?와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14092
2014
Korean
학술저널
51-56(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경호 “고대 한국한자음에 반영된 동한~륙조대 중국음(1)”에 이어지는 문장으로서 , 고대조선반도의 차자표기에 드러나는 [?],[匣]母가 이표기에서 연구개파렬음을 지닌 [?]?와 대...
본고는 한경호 “고대 한국한자음에 반영된 동한~륙조대 중국음(1)”에 이어지는 문장으로서 , 고대조선반도의 차자표기에 드러나는 [?],[匣]母가 이표기에서 연구개파렬음을 지닌 [?]?와 대응되는 상황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기존의 학설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조선어음운체계를 주된 원인으로 본 립장과, 한어상고음을 반영한것이라는 두 부류의 견해가 존재하였다. 본 고에서는 두 론의에 모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당시의 력사적배경과 중국어방언이 실제로 보여주는 상황에 근거하여 남북조시대의 남조지역방언영향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단, [?]母에 한하여서는 해당 례시가 오직 하나만 존재하기때문에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할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우리 말 지식] 바른 말 고운 말: 어부, 우연하게/우연찮게
[우리 말 지식] 조선말띄여쓰기 학습: 명사들이 토없이 길게 전개될 때의 띄여쓰기를 어떻게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