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화사고법에 나타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지리적 사고 특징: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발화사고법에 나타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지리적 사고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발화사고법의 대상으로 공통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선...

      본 연구의 목적은 발화사고법에 나타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지리적 사고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발화사고법의 대상으로 공통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선정하였으며, 수집한 데이터는 의미연결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지리적 사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초등학생은 분포적 사고, 중학생은 관계적 사고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공통적으로 난해한 용어에 대해 지리적 인과관계에 의한 추론이 아닌 용어 자체의 의미를 직관적으로 해석하려는 시도가 높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낮은 난도의 조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는, 초등학생은 지역의 지리적 사실이나 현상이 어디에 분포하는지 사고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였고, 중학생은 지리적 사실이나 현상에 대한 원인 요소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난도가 높은 조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공통적으로 기학습 내용의 고착에 빠져서 지리적 인과관계를 정교화하는 시도를 기피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특히 중학생이 초등학생에 비해 고착화되는 경향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geographical thinking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think aloud method. For this purpose,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 common curriculum were selected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geographical thinking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think aloud method. For this purpose,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 common curriculum were selected as collection targets using the Speech Thinking Metho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semantic network.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 thinking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survey problem,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high rate of distributed thinking and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high percentage of relational thinking. In additio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 attempts to intuitively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term itself rather than reasoning based on geographical causality for common difficult terms. In the process of solving a relatively low difficulty survey problem,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de errors in the process of thinking about where geographical facts or phenomena were distributed,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made errors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causal factors for geographical facts or phenomena. has occurred. In the process of solving a relatively difficult survey proble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common tended to avoid attempts to elaborate geographical causality because they fell into fixed learning contents. In particular,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fixation on contents of early learning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지리적 사고의 분석 방법론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요약
      • Ⅰ. 서론
      • Ⅱ. 지리적 사고의 분석 방법론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슬기,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8 (58): 87-110, 2019

      2 박치성,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소 19 (19): 73-108, 2013

      3 홍기대, "초등 사회과 지리 분야에서의 창의적사고력 신장" 29 : 105-125, 1996

      4 권순덕, "지리학습의 개별화를 위한 비판적 사고 기능의 선정과 메타인지의 계획 실행 평가과정에 관한 연구" 7 (7): 213-236, 1999

      5 이찬, "지리과 교육" 능력개발사 1975

      6 임덕순, "지리 교육에 있어서의 사고력 신장" 6 : 43-44, 1972

      7 박선희, "정치인의 퍼스널 커뮤니티와 네트워크 공론장으로서 트위터의 가능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8) : 81-115, 2010

      8 박지영,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셀러브리티의 SNS 메시지 탐구 : 아이돌의 미투데이 메시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82) : 36-74, 2013

      9 김동렬, "의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초등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과학에 대한 의미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2 (32): 327-345, 2013

      10 강창숙, "영국의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사고기능과 MTTG 전략(II)" 국토지리학회 39 (39): 79-94, 2005

      1 양슬기,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8 (58): 87-110, 2019

      2 박치성,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소 19 (19): 73-108, 2013

      3 홍기대, "초등 사회과 지리 분야에서의 창의적사고력 신장" 29 : 105-125, 1996

      4 권순덕, "지리학습의 개별화를 위한 비판적 사고 기능의 선정과 메타인지의 계획 실행 평가과정에 관한 연구" 7 (7): 213-236, 1999

      5 이찬, "지리과 교육" 능력개발사 1975

      6 임덕순, "지리 교육에 있어서의 사고력 신장" 6 : 43-44, 1972

      7 박선희, "정치인의 퍼스널 커뮤니티와 네트워크 공론장으로서 트위터의 가능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8) : 81-115, 2010

      8 박지영,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셀러브리티의 SNS 메시지 탐구 : 아이돌의 미투데이 메시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82) : 36-74, 2013

      9 김동렬, "의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초등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과학에 대한 의미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2 (32): 327-345, 2013

      10 강창숙, "영국의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사고기능과 MTTG 전략(II)" 국토지리학회 39 (39): 79-94, 2005

      11 정덕호,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교육과정 목표와교과서 학습 목표와의 일치성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I을 중심으로 -" 한국지구과학회 34 (34): 711-726, 2013

      12 이준기,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및 중학교 과학영재들의‘과학적’의 의미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4 (4): 29-42, 2012

      13 강이화, "언어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통한 혁신학교 교육과정 문서 분석" 한국교육학회 53 (53): 185-211, 2015

      14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49-68, 2014

      15 한봉희, "사회과에서 비판적 사고 신장을 위한연구" 24 : 39-49, 1991

      16 이미나, "기업의 위기 대응 전략에 따른 공중의 반응 분석 트위터 상의 이슈 확산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8 (18): 30-60, 2014

      17 박양주, "국내 교육공학분야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적용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한국교육공학회 28 (28): 263-287, 2012

      18 이광성, "교사변인들과 학생변인들이 고급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6 (16): 95-108, 2009

      19 김지수, "공공앱의 사용자 리뷰에 대한 분석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2 (22): 31-56, 2013

      20 박선희, "고급사고력 신장을 위한 역할놀이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현장 연구" 대한지리학회 40 (40): 109-125, 2005

      21 文部科学省, "高等校学習指導要領"

      22 文部科学省, "小学校学習指導要領"

      23 文部科学省, "中学校学習指導要領"

      24 海保博之, "プロトコル分析入門-発話データから何を読むか" 新曜社 1993

      25 Leat, D., "Thinking through geography" Chris Kington Publishing 1998

      26 Eflin, J. C., "Thinking critically about global environmental issues" 98 (98): 68-78, 1999

      27 Wasserman, S., "Social network analysis :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8 Prell, C., "Social network analysis : History, theory and methodology" Sage 2012

      29 Atteveldt, W. H., "Semantic Network Analysis:Techniques for Extracting, Representing, and Querying Media Content" BookSurge Publishing 2008

      30 Beyer, B. K.,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teaching of thinking" Allyn and Bacon, INC 1987

      31 Nichols, A., "More thinking through geography" Chris Kington Publishing 2001

      32 Wineburg, S., "Historical thinking and other unnatural acts" Temple University Press 2001

      33 Allen, R. F.,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energy : Using energy error cards geography classes" 80 (80): 64-70, 1981

      34 Wolf, J., "Critical thinking in physical geography : Linking concepts of content and applicability" 109 (109): 43-53, 2010

      35 Sternberg, R. J., "Cognitive psychology" Thomson Learning Wadsworth Publishing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