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龜巖 李楨의 서적편찬과 간행이 道統 확립에 미친 영향 = The Effects of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Guam(龜巖) Lee Jeong(李楨) on Establishing Confucian Orthodoxy(道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2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studies publishing process of 22 works issued by Lee Jeong and their character, through which finds that his publishing process intertwine with the process for establishing confucian orthodoxy of Zhu Xi’s Neo-Confucianism(朱子性理...

      This article studies publishing process of 22 works issued by Lee Jeong and their character, through which finds that his publishing process intertwine with the process for establishing confucian orthodoxy of Zhu Xi’s Neo-Confucianism(朱子性理學) mainly based on Toegye(退溪).
      Efforts to establish confucian orthodoxy of Toegye have converged into building Seowon(書院) and publication. Holding local official, Lee Jeong actively accepted Toegye’s opinion when he built Seowon and published books. He would construct a shrine dedicated to Gil Jae(吉再) during his term of local office. Since then, he had built Seoakjeongsa(西岳精舍), Okcheonjeongsa(玉川精舍), Guamjeongsa(龜巖精舍).
      There were the most Eonhaengroklike(言行錄類) among books published by Lee Jeong, which, based on Zhu Xi’s perception of confucian orthodoxy, reveal point of confucian study of ethics(道學) and its accession through one’s achievements and thoughts. And he published books of poetry and prose(詩文類) à la confucian study of ethics(道學風) and works of confucian of Ming dynasty(明儒) reputed to theoretical Neo-Confucian(純正性理學者). This established confucian orthodoxy in Song(宋)ㆍYuan(元)ㆍMing dynasty with Zhu Xi as the central figure. And he solidified Kim Goengpil(金宏弼)’s place in confucian orthodoxy of Joseon(朝鮮) by compiling and publishing Kyunghyunrok(『景賢錄』).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이정이 간행한 서적 22종의 간행과정과 서적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이정의 서적간행은 퇴계를 중심으로 전개된 주자성리학의 道統 확립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것을 ...

      본고는 이정이 간행한 서적 22종의 간행과정과 서적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이정의 서적간행은 퇴계를 중심으로 전개된 주자성리학의 道統 확립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것을 밝혔다.
      퇴계의 도통 확립을 위한 노력은 서원 건립과 서적 간행으로 집약된다. 이정은 지방관으로 재임하면서 서원을 건립하고 서적을 편찬할 때는 퇴계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였다. 이정은 善山郡守 재임 시에 吉再의 사당에 들러서 제사를 받들고 허물어져가는 사당을 새로 지으려 하였다. 이후에는 西岳精舍와 玉川精舍를 건립하여 성현을 봉사하였다.
      이정이 간행한 서적은 朱子의 도통인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물의 행적과 학설을 통해 道學의 요점과 그 계승을 밝힌 ‘言行錄’類 서적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송대 도학자들의 문장과 행실 속에서 도학의 면모를 재조명하고자 한 道學風의 詩文類 서적을 많이 간행하였다. 또한 퇴계가 명대의 순정성리학자로 평가하는 明儒의 저술을 간행하여 명대 朱子學의 동향의 일단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주자를 중심으로 송ㆍ원ㆍ명대까지 주자성리학자의 도통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景賢錄』을 편찬ㆍ간행하여 조선에서 주자성리학의 道統에서 김굉필의 위치를 굳건히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청장관전서"

      2 우정임, "조선전기 성리서의 간행과 유통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3 우정임, "조선전기 <<性理大全>>의 이해과정-節要書의 編纂ㆍ刊行을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31) : 263-305, 2012

      4 候外廬, "송명이학사 2" 이론과 실천 1995

      5 "성호사설"

      6 이은식, "구암사상학술집" 사천문화원 2005

      7 최영성, "구암사상학술집" 사천문화원 2005

      8 李樹健, "구암사상학술집" 사천문화원 2005

      9 "龜巖集"

      10 "龜巖年譜" 泗川文化院 2002

      1 "청장관전서"

      2 우정임, "조선전기 성리서의 간행과 유통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3 우정임, "조선전기 <<性理大全>>의 이해과정-節要書의 編纂ㆍ刊行을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31) : 263-305, 2012

      4 候外廬, "송명이학사 2" 이론과 실천 1995

      5 "성호사설"

      6 이은식, "구암사상학술집" 사천문화원 2005

      7 최영성, "구암사상학술집" 사천문화원 2005

      8 李樹健, "구암사상학술집" 사천문화원 2005

      9 "龜巖集"

      10 "龜巖年譜" 泗川文化院 2002

      11 김정만, "龜巖 李楨의 道學思想 硏究" 성균관대학교 2015

      12 안현주, "龜巖 李楨의 圖書刊行에 관한 硏究"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2 (42): 339-367, 2011

      13 정우락, "龜巖 李楨 연구의 반성적 모색" 퇴계연구소 (52) : 51-82, 2013

      14 김훈식, "順天刊本 景賢錄의 편찬과 내용" 부산경남사학회 (86) : 37-68, 2013

      15 황위주, "退溪와 龜巖의 往復書翰" 퇴계연구소 (47) : 309-341, 2010

      16 "退溪集"

      17 홍원식, "退溪 李滉의《宋季元明理學通錄》에 대한 硏究 ――《宋元學案》과 비교를 중심으로" 동아인문학회 (14) : 349-361, 2008

      18 정재훈, "退溪 李滉의 학문관과 정치사상" 2 : 2006

      19 "眉巖日記"

      20 沈慶昊, "朱子 ꡔ齋居感興詩ꡕ와 ꡔ武夷櫂歌ꡕ의 조선판본" 14 : 1994

      21 최경훈, "朝鮮前期 朱子 著述의 刊行에 관한 硏究" 한국서지학회 (42) : 453-489, 2009

      22 李東熙, "明初朱子學과 朝鮮前期의 朱子學" 20 : 1988

      23 김영두, "中宗代 文廟從祀 論議와 朝鮮 道統의 形成" 한국사학회 (85) : 39-76, 2007

      24 이봉규, "『延平答問』 논의를 통해 본 退溪學의 지평 -동아시아 유학사의 맥락과 연관하여" 국학연구원 (144) : 169-206, 2008

      25 우정임, "‘言行錄’類 서적의 수입과 이해과정을 통해 본 16세기 道統 정립과정 연구" 효원사학회 47 : 127-157, 2015

      26 변동명, "16세기 중엽 順天府使 李楨의 성리학 진흥" 남도문화연구소 (28) : 193-219, 2015

      27 金恒洙, "16세기 士林의 禮意識과 禮書編纂" 22 : 1992

      28 金恒洙, "16세기 士林의 性理學 理解-書籍의 刊行ㆍ編纂을 중심으로-" 7 :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1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역과역사 -> 지역과 역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4 1.558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