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사과산 분해 효모에 의한 개량머루주의 감산 특성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신맛이 강한 개량머루주의 산도 조절기술 개발을 위해 사과산 분해 효모에 의한 감산 및 품질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감산 효모(Pichia kudriavzevii)로 제조한 개량머루주의 발...

      본 연구에서는 신맛이 강한 개량머루주의 산도 조절기술 개발을 위해 사과산 분해 효모에 의한 감산 및 품질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감산 효모(Pichia kudriavzevii)로 제조한 개량머루주의 발효 중 유리당 함량 변화는 발효 3일째 glucose와 fructose의 함량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발효 7일째 각각 23.11, 0.99 mg%이며, 알코올 함량은 9.8%로 fermivin에 비해 약 2~3일 발효가 느리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와 휘발산 함량은 각각 3.94, 244.20 mg/L로 fermivin 3.79, 113.67 mg/L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가용성고형분 및 알코올 함량은 8.47<SUP>o</SUP>Bx, 11.93%로 fermivin 8.70<SUP>o</SUP>Bx, 12.07%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총산 함량은 0.86%로 0.08% 감소되었다. 유기산 함량은 malic acid와 succinic acid 함량이 각각 245.61, 50.18 mg%로 fermivin 302.44, 68.39 mg%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lactic acid 함량은 다소 증가하였다. 개량머루주의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은 isoamyl alcohol, -phenethyl alcohol, 2-methyl-1-propanol, diacetyl 등으로 확인되었고, 감산 효모로 발효 시 약품 냄새를 내는 특징이 있는 isoamyl alcohol 등 자극적인 향과 양조물 불쾌취인 diacetyl 함량이 감소되었다. 신맛의 강도를 평가한 결과 4.00으로 fermivin 5.50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선호도 조사는 색 6.00, 향 4.80, 맛 4.80, 균형감 4.20, 전반적 기호도 5.10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 of malic acid-degrading yeast on the quality of Gaeryangmerou (Vitis spp.) wine obtained from grapes commonly used for making wine in Korea was investigated. Alcoholic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at 25℃, for 14 days. A malic acid-degradi...

      The effect of malic acid-degrading yeast on the quality of Gaeryangmerou (Vitis spp.) wine obtained from grapes commonly used for making wine in Korea was investigated. Alcoholic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at 25℃, for 14 days. A malic acid-degrading yeast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sample and a commercial yeast, Fermivin, was used as a control. The fermentation process for the experimental yeast lasted 2-3 days longer than that of Fermivin. The pH and the volatile acid content of the wine were 3.94 and 244.20 mg/L, respectively. The total acid content was 0.86%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0.94% for the control group. The contents of malic acid and succinic acid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45.61, 50.18 mg% for experimental group versus 302.44, 68.39 mg% for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 contrast, lactic acid content was sligh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expected, the main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Gaeryangmerou wine varied with the yeast used for fermentation and were determined to be isoamyl alcohol, β-phenethyl alcohol, 2-methyl-1-propanol, and diacetyl for the experimental wi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환, "포도주 효모와 사과산 분해효모의 혼합발효에 의한 국산 포도의 알코올 발효 특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2 김상철, "두 집단 평균 차이 검정에서 분산의 동질성에 관한 소고" 한국통계학회 17 (17): 79-88, 2010

      3 Webb AD, "chemistry of winemaking" American Chemical Society 107-, 1974

      4 Park HS, "The study of functional materials, classification, identification and cultivation techniques for ‘Gaeryangmeoru’ grap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7

      5 Park YS, "The origin of gailiangmeru (Vitis spp.) for isozyme analysis, leaf and seed character(P2-4-152)" 2003

      6 Park YH, "Studies on the grape variety and the selection of yeast strain for wine making" 18 : 219-227, 1975

      7 Hwang IK, "Studies on of the anthocyanins in wild vines (Vitis amurensis Ruprecht)" 18 : 188-193, 1975

      8 Hwang IK,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wild vines" 18 : 183-187, 1975

      9 Seo SH,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malic acid-degrading yeast from Korean grape wine pomace" University of Kyungbuk 2006

      10 Kim KH,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somotolerant Wine yeasts and Tartaric acid- Degrading yeasts from Korean wild Grapes" University of Kyungbuk 2006

      1 김동환, "포도주 효모와 사과산 분해효모의 혼합발효에 의한 국산 포도의 알코올 발효 특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2 김상철, "두 집단 평균 차이 검정에서 분산의 동질성에 관한 소고" 한국통계학회 17 (17): 79-88, 2010

      3 Webb AD, "chemistry of winemaking" American Chemical Society 107-, 1974

      4 Park HS, "The study of functional materials, classification, identification and cultivation techniques for ‘Gaeryangmeoru’ grap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7

      5 Park YS, "The origin of gailiangmeru (Vitis spp.) for isozyme analysis, leaf and seed character(P2-4-152)" 2003

      6 Park YH, "Studies on the grape variety and the selection of yeast strain for wine making" 18 : 219-227, 1975

      7 Hwang IK, "Studies on of the anthocyanins in wild vines (Vitis amurensis Ruprecht)" 18 : 188-193, 1975

      8 Hwang IK,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wild vines" 18 : 183-187, 1975

      9 Seo SH,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malic acid-degrading yeast from Korean grape wine pomace" University of Kyungbuk 2006

      10 Kim KH,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somotolerant Wine yeasts and Tartaric acid- Degrading yeasts from Korean wild Grapes" University of Kyungbuk 2006

      11 Jacobson, J.L., "Introduction to wine laboratory practices and procedur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88-191, 2006

      12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Food Composition Table. 6th ed"

      13 Hariantono J, "Ethanol production from raw starch by simultaneous fermentation using Schizosaccharomyces pombe and a raw starch saccharifying enzyme from Corticium rolfsii" 71 : 367-371, 1991

      14 Lee JK, "Distilled Spirits" Kwangmoonkag 382-459, 2015

      15 Youn JH, "Comparison of resveratol contents between ‘Gailiangmeru’(Vitis spp.) and ‘Campbell Early’ grape" The Korean Society of Horticulutre 21 : 1-, 2003

      16 이주경, "Campbell Early를 이용하여 만든 포도주의 산도 감소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 38 (38): 408-413, 2006

      17 NTS, "Analysis of liquor regulatory" National Tax Service 41-42, 2009

      18 Kim SJ, "A economic impact analysis on factors that affect demand for imports of wine" Gatholic University, Daegu 2015

      19 권용희, "'개량머루'의 생육 특성과 기능성 물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