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 활동이 경도지적장애아동의 해독 및 독해능력과 메타언어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on development of decoding, comprehension and metalinguistic awareness fo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0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on development of decoding, comprehension and metalinguistic awareness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3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questions are 1) to what extent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influence development of decoding and comprehension ability? and 2) to what extent development of decoding and comprehension ability affect metalinguistic awaren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consist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comprehension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using BASA-R and questionnaire for decoding and comprehension. Metalingustic awareness was measured through a instrument developed by Um(2001).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was effective to develop decoding and comprehension ability for students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2) Development of decoding and comprehension ability intervened with metalinguistic awareness fo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on development of decoding, comprehension and metalinguistic awareness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3 fourth 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on development of decoding, comprehension and metalinguistic awareness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3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questions are 1) to what extent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influence development of decoding and comprehension ability? and 2) to what extent development of decoding and comprehension ability affect metalinguistic awaren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consist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comprehension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using BASA-R and questionnaire for decoding and comprehension. Metalingustic awareness was measured through a instrument developed by Um(2001).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was effective to develop decoding and comprehension ability for students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2) Development of decoding and comprehension ability intervened with metalinguistic awareness fo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훈, "학교속의 문맹자들" 우리교육 2012

      2 김애화, "초등학교 고학년의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읽기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3 (13): 1-25, 2008

      3 엄훈, "읽기 부진 개선을 위한 보충학습반 운영의 경험" 한국교육인류학회 9 (9): 57-97, 2006

      4 신종호, "일반아동과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상황, 조건, 인과관계에 대한 언어이해능력 비교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 (1): 47-69, 2002

      5 황순영, "이야기 다시 말하기 담론을 통한 경도정신지체 중학생의 화용론 발달 수준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69-87, 2011

      6 엄훈, "어휘에 대한 한국 아동의 메타언어적 인식 발달 연구" 104 : 23-50, 2001

      7 문금희, "마인드 맵핑 프로그램을 활용한 읽기 훈련이 정신지체 학생의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우지연, "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자발적 발화 및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송수희, "동화를 활용한 자기조절 학습기술 향상 수업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동화이해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77-98, 2010

      10 남수연, "동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언어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이야기 구성능력 및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65-83, 2007

      1 엄훈, "학교속의 문맹자들" 우리교육 2012

      2 김애화, "초등학교 고학년의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읽기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3 (13): 1-25, 2008

      3 엄훈, "읽기 부진 개선을 위한 보충학습반 운영의 경험" 한국교육인류학회 9 (9): 57-97, 2006

      4 신종호, "일반아동과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상황, 조건, 인과관계에 대한 언어이해능력 비교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 (1): 47-69, 2002

      5 황순영, "이야기 다시 말하기 담론을 통한 경도정신지체 중학생의 화용론 발달 수준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69-87, 2011

      6 엄훈, "어휘에 대한 한국 아동의 메타언어적 인식 발달 연구" 104 : 23-50, 2001

      7 문금희, "마인드 맵핑 프로그램을 활용한 읽기 훈련이 정신지체 학생의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우지연, "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자발적 발화 및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송수희, "동화를 활용한 자기조절 학습기술 향상 수업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동화이해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77-98, 2010

      10 남수연, "동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언어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이야기 구성능력 및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65-83, 2007

      11 Roth, F. P., "Unresolved mysteries: how do metalinguistic and narrative skills connect with early reading?" 30 (30): 257-277, 1996

      12 Stanovich, K. E.,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s of Reading"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365-389, 2004

      13 Ehri, L. C.,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s of Reading"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365-389, 2004

      14 Maynard, K., "Teaching vocabulary to first-grade students through repeated shared storybook reading : A comparison of rich and basic instruction to incidental exposure" 49 (49): 209-241, 2010

      15 Chall, J. S., "Stages of reading development"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1995

      16 Liboiron, N., "Shared storybook reading with a student who uses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 A description of scaffolding practices" 22 (22): 69-95, 2006

      17 Allor, J. H., "Research-based techniques for teaching early reading skills to stude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44 (44): 356-366, 2009

      18 Erickson, K., "Research-based practice for creating access to the general curriculum in reading and literacy fo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9 Browder, D. M., "Research on reading instruction for individual with significant cognitive disabilities" 72 : 392-408, 2006

      20 Levy, Y., "Repair behavior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impairments : Evidence for metalinguistic competence. Journal of Speech" 46 : 368-381, 2003

      21 Smith, F., "Reading without nonsense" Teachers College Press 1997

      22 Snow, C., "Reading for understanding: toward a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in reading comprehension" RAND 2002

      23 Warren-Leubecker, A., "Reading and growth in metalinguistic awareness : Relations to socioeconomic status and reading readiness skills" 59 : 728-742, 1988

      24 이윤아, "RAAC 중재 전략이 지적장애 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8 (8): 161-183, 2009

      25 Swank, L. K., "Phonological awareness and written word decoding. Language. Speech" 25 : 9-14, 1994

      26 Allor, J. H., "Methos for increasing the intensity of reading instruction for students intellectual disablities" 45 (45): 500-511, 2010

      27 Togerson, J. K., "Longitudinal studies of phonological processing and reading" 34 : 276-286, 2001

      28 Polloway, E., "Language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Love publishing company 2004

      29 Saint-Laurent, L., "Emergent literacy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21 (21): 267-281, 1998

      30 Joseph, L. M., "Comparison of a word study phonics technique between students with moderate to mild mental retardation and struggling reader’s without disabilities" 38 (38): 192-199, 2003

      31 Weisz J., "Cognitive development, helpless behavior and labeling effects in the mentally retarded : Toward a synthesis" 3 : 129-168, 1985

      32 Kolinsky, R., "Awareness of words as phonological entities : The role of literacy" 8 : 223-232,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8-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6-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지체연구 -> 지적장애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연구회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4 1.71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