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봉우, "탐구 토론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의 논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739-751, 2010
2 조현준, "초등과학 영재의 논증활동에서 사용된 증거의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495-505, 2008
3 이고은, "인터넷 메신저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논변활동의 특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사과정의 사례" 한국지구과학회 31 (31): 625-636, 2010
4 이선경, "소집단 토론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상호작용적 논증 유형 및 특징" 대한화학회 50 (50): 79-88, 2006
5 신호심,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나타난 영재학생들의 논의 양상 및 논의활동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567-586, 2011
6 박정은, "논증 구조 교육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분석: 과학 글쓰기 장르에 따른 글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824-847, 2009
7 고현범, "논변의 사용" 고려대학교출판부 2006
8 강순민,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9 곽경화, "과학적 논의과정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논의과정 변화 및 논의상황에 따른 논의과정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400-413, 2009
10 이지영, "갈등 상황에서 구성된 중학생들의 소집단 논변활동 유형" 한국생물교육학회 39 (39): 235-247, 2011
1 이봉우, "탐구 토론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의 논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739-751, 2010
2 조현준, "초등과학 영재의 논증활동에서 사용된 증거의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495-505, 2008
3 이고은, "인터넷 메신저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논변활동의 특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사과정의 사례" 한국지구과학회 31 (31): 625-636, 2010
4 이선경, "소집단 토론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상호작용적 논증 유형 및 특징" 대한화학회 50 (50): 79-88, 2006
5 신호심,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나타난 영재학생들의 논의 양상 및 논의활동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567-586, 2011
6 박정은, "논증 구조 교육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분석: 과학 글쓰기 장르에 따른 글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824-847, 2009
7 고현범, "논변의 사용" 고려대학교출판부 2006
8 강순민,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9 곽경화, "과학적 논의과정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논의과정 변화 및 논의상황에 따른 논의과정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400-413, 2009
10 이지영, "갈등 상황에서 구성된 중학생들의 소집단 논변활동 유형" 한국생물교육학회 39 (39): 235-247, 2011
11 Sandoval, W. A., "What can argumentation tell us about epistemology?,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71-88, 2008
12 Chin, C., "Student's questions and discursive interaction : their impact on argumentation during collaborative group discussions in science" 47 (47): 883-908, 2010
13 Kolsto, D. S., "Social aspects of argumentation,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47-69, 2008
14 Khun, D., "Science argument: Implic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tific thinking" 77 (77): 319-337, 1993
15 Erduran, S., "Methodological foundations in the study of argumentation in science classrooms,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47-69, 2008
16 Verheij, B., "Evaluating arguments based on Toulmin's scheme" 19 : 347-371, 2005
17 Driver, R.,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 84 (84): 287-312, 2000
18 Jimenez-Aleixandre, M. P., "Designing Argumentation Learning Environments,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35-53, 2008
19 Garcia-Mila, M., "Cognitive foundations of learning argumentation,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29-45, 2008
20 Erduran, 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An overview,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3-27, 2008
21 Kelly, G. J., "Aanlysis of lines of reasoning in written argumentation,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71-8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