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영재의 논증 활동에서 나타나는 반박 유형 분석 = An Analysis of the Type of Rebuttal in Argumentation among Science-Gifted Stud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30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gumentation of gifted students in the perspective of rebuttal. Rebuttal is a significant indicator of argumentation quality; it is also an essential component for science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However, most previous research point out insufficient use of rebuttal in student`s argumentation. The argumentation of 37 8th grade students, enrolled in institutes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in Seoul, are observed and recorded for 4 hours. The argumentation topic is about how to measure the brightness of the sun. Based on Verheij`s (2005) five types of rebuttal patterns, the features of rebuttal are analyzed. It is found that students` argumentation include all of the five rebuttal types: rebuttal of the data, the claim, the warrant, warrant`s applicability, and connection between data and claim. It is also found that these five types can be categorized in two groups. The first group consists of first three types and is characterized by the disagreement with the validity of what has been said. The second group consists of the last two types and is characterized by the suggestion or additional information for missing links in argument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gumentation of gifted students in the perspective of rebuttal. Rebuttal is a significant indicator of argumentation quality; it is also an essential component for science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How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gumentation of gifted students in the perspective of rebuttal. Rebuttal is a significant indicator of argumentation quality; it is also an essential component for science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However, most previous research point out insufficient use of rebuttal in student`s argumentation. The argumentation of 37 8th grade students, enrolled in institutes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in Seoul, are observed and recorded for 4 hours. The argumentation topic is about how to measure the brightness of the sun. Based on Verheij`s (2005) five types of rebuttal patterns, the features of rebuttal are analyzed. It is found that students` argumentation include all of the five rebuttal types: rebuttal of the data, the claim, the warrant, warrant`s applicability, and connection between data and claim. It is also found that these five types can be categorized in two groups. The first group consists of first three types and is characterized by the disagreement with the validity of what has been said. The second group consists of the last two types and is characterized by the suggestion or additional information for missing links in argument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봉우, "탐구 토론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의 논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739-751, 2010

      2 조현준, "초등과학 영재의 논증활동에서 사용된 증거의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495-505, 2008

      3 이고은, "인터넷 메신저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논변활동의 특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사과정의 사례" 한국지구과학회 31 (31): 625-636, 2010

      4 이선경, "소집단 토론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상호작용적 논증 유형 및 특징" 대한화학회 50 (50): 79-88, 2006

      5 신호심,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나타난 영재학생들의 논의 양상 및 논의활동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567-586, 2011

      6 박정은, "논증 구조 교육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분석: 과학 글쓰기 장르에 따른 글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824-847, 2009

      7 고현범, "논변의 사용" 고려대학교출판부 2006

      8 강순민,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9 곽경화, "과학적 논의과정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논의과정 변화 및 논의상황에 따른 논의과정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400-413, 2009

      10 이지영, "갈등 상황에서 구성된 중학생들의 소집단 논변활동 유형" 한국생물교육학회 39 (39): 235-247, 2011

      1 이봉우, "탐구 토론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의 논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739-751, 2010

      2 조현준, "초등과학 영재의 논증활동에서 사용된 증거의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495-505, 2008

      3 이고은, "인터넷 메신저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논변활동의 특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사과정의 사례" 한국지구과학회 31 (31): 625-636, 2010

      4 이선경, "소집단 토론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상호작용적 논증 유형 및 특징" 대한화학회 50 (50): 79-88, 2006

      5 신호심,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나타난 영재학생들의 논의 양상 및 논의활동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567-586, 2011

      6 박정은, "논증 구조 교육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분석: 과학 글쓰기 장르에 따른 글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824-847, 2009

      7 고현범, "논변의 사용" 고려대학교출판부 2006

      8 강순민,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9 곽경화, "과학적 논의과정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논의과정 변화 및 논의상황에 따른 논의과정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400-413, 2009

      10 이지영, "갈등 상황에서 구성된 중학생들의 소집단 논변활동 유형" 한국생물교육학회 39 (39): 235-247, 2011

      11 Sandoval, W. A., "What can argumentation tell us about epistemology?,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71-88, 2008

      12 Chin, C., "Student's questions and discursive interaction : their impact on argumentation during collaborative group discussions in science" 47 (47): 883-908, 2010

      13 Kolsto, D. S., "Social aspects of argumentation,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47-69, 2008

      14 Khun, D., "Science argument: Implic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tific thinking" 77 (77): 319-337, 1993

      15 Erduran, S., "Methodological foundations in the study of argumentation in science classrooms,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47-69, 2008

      16 Verheij, B., "Evaluating arguments based on Toulmin's scheme" 19 : 347-371, 2005

      17 Driver, R.,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 84 (84): 287-312, 2000

      18 Jimenez-Aleixandre, M. P., "Designing Argumentation Learning Environments,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35-53, 2008

      19 Garcia-Mila, M., "Cognitive foundations of learning argumentation,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29-45, 2008

      20 Erduran, 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An overview,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3-27, 2008

      21 Kelly, G. J., "Aanlysis of lines of reasoning in written argumentation, In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71-8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