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이 생물테러 대응체계에 주는 함의 = The Implications of the Covid-19 Pandemic for the Bioterrorism Response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19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수많은 사망자와 확진자 발생으로 전혀 다른 삶의 패턴으로 변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테러단체나 북한이 코로나-19와 유사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생물학 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수많은 사망자와 확진자 발생으로 전혀 다른 삶의 패턴으로 변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테러단체나 북한이 코로나-19와 유사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생물학 무기를 이용한 생물테러의 가능성에 대하여 군사안보 측면에서 대비하고자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통적·비전통적 안보위협에 대비한 포괄적인 안보체계 구축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법과 규정 등 제도의 정비, 중단없는 control tower 역할을 위한 지휘통제시스템 구축 등이 요구되었으며, 둘째, 생물테러 시 초기 피해 및 확산방지를 위한 개인 방호물자의 확보와 주기적인 대피 및 방호훈련을 해야 하며, 셋째, 생물테러에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물질과 시설에 대한 경계 및 방호대책 강구, 북한의 생물학 능력 및 생물학 무기에 대한 재판단과 위협의 우선순위를 고려한 대비책 강구, 백신과 치료제 확보가 요구되었다. 결론적으로 군사적 약자인 테러단체나 적이 인명 살상 및 사회 혼란 등의 목적 달성을 위해 팬데믹 상황에 편승하여 생물테러나 세균전 도발에 대한 대비방안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for military security against the possibility of bioterrorism using biological weapons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similar to Covid-19 at a time when many deaths and confirmed cases are changing to a complet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for military security against the possibility of bioterrorism using biological weapons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similar to Covid-19 at a time when many deaths and confirmed cases are changing to a completely different life pattern.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government need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security system against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overhauling laws and regulations, command and control system for non-stop control, and third, establishing biological and virus protection facilities in North Korea. In conclusion, it is a very meaningful study in that the military underdog, terrorist groups, or enemies, jumped on the Pandemic situation to provide countermeasures against bioterrorism or bacterial warfare to achieve the purpose of killing lives and social chao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현철, "해외 감염병재난 대응체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대응규정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55-170, 2020

      2 김태성, "테러리즘 확산에 따른 한국군의 역할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7

      3 김태영,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테러양상 변화 연구 - 언론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경호경비학회 97-120, 2020

      4 윤상호, "코로나19 사태가 일깨워준 생물무기의 위험"

      5 신소영,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본 바이오 테러리즘의 대응방안 관찰" (팬데믹 특별) : 215-, 2020

      6 Corona Board, "코로나-19 실시간 상황판"

      7 임승규, "코로나 포스트" 한빛비즈 2020

      8 재레드 다이아몬드(Jared Diamond), "총・균・쇠" 문학사상사 2015

      9 서이종, "일본제국군의 세균전 과정에서 731부대의 농안·신징 지역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의 역사적 의의" 한국사회사학회 (103) : 231-278, 2014

      10 육군교육사령부, "월간 작전환경분석 3월호"

      1 문현철, "해외 감염병재난 대응체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대응규정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55-170, 2020

      2 김태성, "테러리즘 확산에 따른 한국군의 역할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7

      3 김태영,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테러양상 변화 연구 - 언론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경호경비학회 97-120, 2020

      4 윤상호, "코로나19 사태가 일깨워준 생물무기의 위험"

      5 신소영,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본 바이오 테러리즘의 대응방안 관찰" (팬데믹 특별) : 215-, 2020

      6 Corona Board, "코로나-19 실시간 상황판"

      7 임승규, "코로나 포스트" 한빛비즈 2020

      8 재레드 다이아몬드(Jared Diamond), "총・균・쇠" 문학사상사 2015

      9 서이종, "일본제국군의 세균전 과정에서 731부대의 농안·신징 지역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의 역사적 의의" 한국사회사학회 (103) : 231-278, 2014

      10 육군교육사령부, "월간 작전환경분석 3월호"

      11 문화체육관광부, "엔(N)차 감염은 ‘연쇄감염, 연속감염’"

      12 양은주, "에어로졸 기반 생물테러감시체계 구축 필요성 분석" 화랑대연구소 70 (70): 313-326, 2014

      13 변태섭, "싱가포르 방문 2명 확진… ‘제3국 감염’"

      14 김우주, "신종인수공통전염병의 출현 전망과 대응전략" (1) : 13-14, 2016

      15 왕순주, "생물테러 및 생물학전의 재해안전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3 (3): 120-, 2007

      16 박민우, "생물무기 특성과 사례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13 (13): 442-454, 2017

      17 박재완, "북한의 생물학 위협과 한국의 대비방안"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7 : 177-207, 2020

      18 강영숙, "바이오테러리즘의 위협요인과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 3 (3): 7-38, 2010

      19 이지예, "나토 사무총장 “코로나19, ‘안보 위기’로 번지면 안 돼”"

      20 채인택, "나발니 암살 시도로 드러났다. 소련・러시아 독살"

      21 육군본부, "군사 용어사전" 육군본부 2017

      22 이다은, "국내외 감염병 대비, 대응 동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31, 2017

      23 이경환, "감염병 관련 법적 분쟁과 규제에 관한 합리적 해결방안" 한국재난정보학회 12 (12): 150-166, 2016

      24 김귀근, "北, VX 등 신경작용제만 6종 보유 추정"

      25 최이락, "⽇ 도쿄 지하철 독가스테러 옴진리교도 2명 사형집행"

      26 조성권, "21세기 생물테러와 복합안보: 보건안보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19 (19): 1-32, 2016

      27 국방부, "2020 국방백서" 국방부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