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옥타비오 빠스, "흙의 자식들-낭만주의에서 전위주의까지 in: 흙의자식을 외" 솔 1999
2 도명희, "황동규 시의 신화적 상상력 연구-시집<풍장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문화예술대학원 2001
3 이혜원, "황동규 시의 시간의식" 한국어교육학회 (113) : 715-742, 2004
4 이명희, "현대시와 신화적 상상력" 새미 2003
5 김혜순, "한잔의 붉은거울" 문학과 지성사 2004
6 앤소니 기든스, "포스트모더니티" 민영사 1991
7 김혜순, "잘익은 사과" 문학사상사 2000
8 브라이언 그린, "우주의 구조: 시간과 공간, 그 근원을 찾아서" 숭산 2005
9 김혜순, "우리들의 음화" 문학과 지성사 1987
10 김혜순,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문학동네 2002
1 옥타비오 빠스, "흙의 자식들-낭만주의에서 전위주의까지 in: 흙의자식을 외" 솔 1999
2 도명희, "황동규 시의 신화적 상상력 연구-시집<풍장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문화예술대학원 2001
3 이혜원, "황동규 시의 시간의식" 한국어교육학회 (113) : 715-742, 2004
4 이명희, "현대시와 신화적 상상력" 새미 2003
5 김혜순, "한잔의 붉은거울" 문학과 지성사 2004
6 앤소니 기든스, "포스트모더니티" 민영사 1991
7 김혜순, "잘익은 사과" 문학사상사 2000
8 브라이언 그린, "우주의 구조: 시간과 공간, 그 근원을 찾아서" 숭산 2005
9 김혜순, "우리들의 음화" 문학과 지성사 1987
10 김혜순,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문학동네 2002
11 김혜순, "어느 별의 지옥" 청하 1988
12 김혜순, "아버지가 세운 허수아비" 문학과 지성사 1985
13 정진홍, "신화적 상상력과 종교" 29 : 2002
14 필립 윌킨스, "신화와 진실, 그 기원을 찾아서" 21세기 북스 2010
15 정창훈, "신화, 과학을 들어올리다" 웅진주니어 2010
16 E. 슈타이거, "시학의 근본개념" 삼중당 1978
17 조혜숙, "시조에 나타난 시간의식과 시적 자아의 관련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1999
18 송기한, "시와 시간 in: 시론" 황금알 2008
19 김준오, "시론" 문장 1986
20 신상희, "시간과 존재의 빛" 한길사 2000
21 한스 메이어호프, "시간과 근대세계 in: 문학과시간의 만남" 자유사상사 1994
22 이송희, "서정주 시 텍스트의 인지시학적 연구" 전남대학교 2008
23 김혜순, "불쌍한 기계" 문학과 지성사 1997
24 김혜순, "또 다른 별에서" 문학과 지성사 1981
25 김혜순, "들끓는 사랑" 학고재 1996
26 김혜순, "당신의 첫" 문학과 지성사 2008
27 김혜순, "달력공장 공장장님 보세요" 문학과 지성사 2000
28 김혜순, "낮게 나는 새가 자세히 본다" 책나무 1991
29 김혜순, "나의 우파니샤드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4
30 차창용, "김수영, 신동엽 시의 신화적 상상력 연구" 중앙대학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