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교사의 옷차림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태도와 선호에 관한 연구 = Comparison of the Attitude for Female Teachers' Attir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41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generate basic data for enhancing efficiency of education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their attitudes for female teachers' attire.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bout 622 students and 176 teacher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Suwon in South Korea. Data obtained from th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students and teachers exhibited higher than average scores in neatness and modesty of female teachers' attire and hair style, and especially teachers considered modesty of attire more important, while students considered neatness of hair style more important. Teachers thought the correlation between attire and efficiency of instruction was high, while students thought otherwise. Also, teachers usually considered teachers' attire more important than students did.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by schoo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considered neatness of female teachers' attire and hair style to be more important than teachers did. On the other hand, teachers in high schools considered it more important than students did. With regard to modesty,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ecame significant in high schools compared to middle school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eachers demanded modest outfits for female teachers more strongly than students did. Acros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eachers exhibit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orrelation betweenwhat female teachers wear and their teaching efficiency.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generate basic data for enhancing efficiency of education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their attitudes for female teachers' attire.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bout 622 student...

      This study aimed to generate basic data for enhancing efficiency of education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their attitudes for female teachers' attire.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bout 622 students and 176 teacher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Suwon in South Korea. Data obtained from th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students and teachers exhibited higher than average scores in neatness and modesty of female teachers' attire and hair style, and especially teachers considered modesty of attire more important, while students considered neatness of hair style more important. Teachers thought the correlation between attire and efficiency of instruction was high, while students thought otherwise. Also, teachers usually considered teachers' attire more important than students did.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by schoo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considered neatness of female teachers' attire and hair style to be more important than teachers did. On the other hand, teachers in high schools considered it more important than students did. With regard to modesty,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ecame significant in high schools compared to middle school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eachers demanded modest outfits for female teachers more strongly than students did. Acros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eachers exhibit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orrelation betweenwhat female teachers wear and their teaching efficien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여교사의 옷차림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태도를 비교분석하여 바람직한 여교사의 옷차림을 모색함으로써 보다 나은 교육적 효과를 주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연구 자료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서울과 수원지역의 초중고 학생과 초중고 교사를 대상으로 수집하여, 학생 622부, 교사 17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여교사의 옷차림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태도를 살펴본 결과 옷차림과 헤어스타일의 단정성과 정숙성에 대해 보통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옷차림의 정숙성은 교사가, 헤어스타일의 단정성은 학생이 더 높게 인식하였다. 옷차림과 수업의 연관성에 대해 교사는 높다고 생각하는 반면 학생은 옷차림과 수업의 연관성이 낮다고 하였다. 교사 옷차림에 대해서는 교사가 학생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둘째, 학교 급별로 살펴본 결과 여교사 옷차림과 헤어스타일의 단정성은 초등학교에서는 학생이 교사보다 높게 인식했으나 고등학교에서는 교사가 학생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정숙성에 대해서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갈수록 학생과 교사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났는데 교사가 학생보다 더 정숙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옷차림과 수업과의 연관성과 옷차림의 중요성에 대한 태도에서는 초등, 중, 고등학교 모두에서 교사가 학생보다 더 긍정적 태도를 나타냈다.
      번역하기

      여교사의 옷차림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태도를 비교분석하여 바람직한 여교사의 옷차림을 모색함으로써 보다 나은 교육적 효과를 주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연구 자료는 설...

      여교사의 옷차림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태도를 비교분석하여 바람직한 여교사의 옷차림을 모색함으로써 보다 나은 교육적 효과를 주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연구 자료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서울과 수원지역의 초중고 학생과 초중고 교사를 대상으로 수집하여, 학생 622부, 교사 17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여교사의 옷차림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태도를 살펴본 결과 옷차림과 헤어스타일의 단정성과 정숙성에 대해 보통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옷차림의 정숙성은 교사가, 헤어스타일의 단정성은 학생이 더 높게 인식하였다. 옷차림과 수업의 연관성에 대해 교사는 높다고 생각하는 반면 학생은 옷차림과 수업의 연관성이 낮다고 하였다. 교사 옷차림에 대해서는 교사가 학생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둘째, 학교 급별로 살펴본 결과 여교사 옷차림과 헤어스타일의 단정성은 초등학교에서는 학생이 교사보다 높게 인식했으나 고등학교에서는 교사가 학생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정숙성에 대해서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갈수록 학생과 교사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났는데 교사가 학생보다 더 정숙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옷차림과 수업과의 연관성과 옷차림의 중요성에 대한 태도에서는 초등, 중, 고등학교 모두에서 교사가 학생보다 더 긍정적 태도를 나타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사회에서의 교육 교직과 사도" 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 1981

      2 "초등학생이 기대하는 담임교사상" 2005

      3 "중학생이 인지하는 교사의 의복행동 연구" 1994

      4 "중고등학교 여학생이 지각한 중고등학교 여교사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1990

      5 "여자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1980

      6 "여교사의 이상적인 외모에 관한 조사연구" 1990

      7 "여교사의 의복행동에 대한 조사연구" 1986

      8 "여교사의 의복태도에 대한 중학생의 반응연구" 2002

      9 "여교사의 복식착용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의 태도연구" 2004

      10 "남자교사의 의복행동과 여자중학생의 학습의욕간의 관계성 연구" 1993

      1 "현대사회에서의 교육 교직과 사도" 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 1981

      2 "초등학생이 기대하는 담임교사상" 2005

      3 "중학생이 인지하는 교사의 의복행동 연구" 1994

      4 "중고등학교 여학생이 지각한 중고등학교 여교사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1990

      5 "여자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1980

      6 "여교사의 이상적인 외모에 관한 조사연구" 1990

      7 "여교사의 의복행동에 대한 조사연구" 1986

      8 "여교사의 의복태도에 대한 중학생의 반응연구" 2002

      9 "여교사의 복식착용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의 태도연구" 2004

      10 "남자교사의 의복행동과 여자중학생의 학습의욕간의 관계성 연구" 1993

      11 "남녀교사의 사회적 가치관과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1992

      12 "교육사회학 연구" 교육과학사 1990

      13 "교사의 품위에 대한 연구" 1979

      14 "교사의 의상형태가 학습의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979

      15 "교사의 의복행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반응비교" 1997

      16 "교사의 의복행동에 대한 여고생들의 선호도연구" 1991

      17 "교사들의 복식행동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연구" 27-28,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37 1.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