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수연, "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본 커뮤니티 비즈니스 정책과정에 관한 연구 - 전북 완주군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20 (20): 149-168, 2013
2 한상일, "한국 사회적 기업의 지역자산 활용 : 자산기반지역공동체발전 관점에서의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7 (27): 153-180, 2013
3 정규호, "한국 도시공동체운동의 전개과정과 협력형 모델의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7-34, 2012
4 정규호, "풀뿌리 사회경제 거버넌스의 의미와 역할: 원주지역 협동조합운동을 사례로" 제3섹터연구소 6 (6): 113-148, 2008
5 이상엽, "커뮤니티 비즈니스(자립형 지역공동체)의 발전방향 연구 - 일본 제도와의 비교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정부학회 15 (15): 221-252, 2011
6 최현선, "커뮤니티 개발에 기반 한 도시재생정책:미국, 영국,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2 (22): 255-275, 2012
7 이석현, "참여주체에 따른 마을만들기 성과에 관한 연구- 시흥시 희망마을만들기 사업을 대상으로 -" 대한건축학회 29 (29): 187-194, 2013
8 박인권,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전략의 규범적 모형: SAGE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 24 (24): 1-26, 2012
9 오단이,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창업한 사회적기업가가 바라본 한국 중간지원조직 연구: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해"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189-212, 2015
10 이인숙, "지역사회 주민참여 결정요인과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마을만들기’ 참여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237-257, 2015
11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8 (8): 33-67, 2006
12 박병춘, "지역발전과 지역공동체-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모형 및 기본 정책 방향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20 (20): 1-26, 2012
13 양덕순, "지역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0 (20): 75-93, 2008
14 남재걸, "지역공동체의 진화에 따른 이해관계자 간 역할변화 분석" 한국정책학회 25 (25): 105-132, 2016
15 최인수,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선진형 행・재정적 지원체계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16 전대욱,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전략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17 주상현,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비즈니스 형성요인과 정책과제 - 완주군 CB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8 (28): 219-249, 2014
18 김진선,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의 주민조직에 관한 연구: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30 : 95-109, 2015
19 임경수, "지속가능한 마을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6 (6): 83-95, 2013
20 김현호,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21 여관현, "지방자치단체 마을만들기 조례의 제정 방향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241-270, 2013
22 하현상, "중앙부처 마을공동체사업 조사・진단" 행정자치부 2015
23 강지윤, "중간지원조직과 에너지 레짐 전환 : 한국 에너지자립마을의 사례 비교" 한국공간환경학회 26 (26): 139-176, 2016
24 강기호, "주민참여와 농촌 마을만들기 사업성과의 관계에서 거버넌스의 매개효과 실증분석 - 제주 웃뜨르권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농촌계획학회 21 (21): 103-115, 2015
25 전원식,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사업의 사업주제 및 추진주체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9 (9): 131-148, 2008
26 원준혁, "주민참여 마을 만들기 사업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 휴먼타운 시범사업’에 대한 주민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3 (13): 55-68, 2012
27 노병찬, "주민주도형 마을 만들기 참여 만족도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분석: 자발적 공동체 참여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241-259, 2016
28 김상민, "주민자치와 협력적 마을만들기 - 협력적 마을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 한국지방자치학회 28 (28): 181-209, 2016
29 윤은식, "주민자치센터 행위자 네트워크거버넌스의 협력요인 분석 : 2009년 우수 주민자치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129-154, 2011
30 김이수, "정보화마을공동체 활성화의 결정요인에 관한 설명적 연구 : 전라북도 정보화마을주민들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9 (19): 201-227, 2015
31 김이수, "정보격차가 인터넷 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네트워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22 (22): 259-282, 2015
32 하현상, "자치분권시대의 지역활성화 주체로서 마을공동체의 과제와 방향"
33 고광용, "자치구 마을공동체 네트워크와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비교연구 : 서울시 동대문구와 성북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31-159, 2014
34 고재경, "유럽 에너지자립마을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특징 연구" 한국환경정책학회 22 (22): 101-135, 2014
35 임재현, "영구임대주택단지의 공동체 활성화 요인에 대한 수요 분석" 한국정책학회 21 (21): 173-198, 2012
36 안현찬,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사업 성과평가와 정책과제" 서울연구원 2017
37 이재완,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주민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인지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409-437, 2014
38 김동윤, "새마을운동과의 비교를 통한 마을만들기 사업의 실천전략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7 (27): 23-58, 2015
39 이수창,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모색: 경북행복재단을 중심으로" 4 (4): 1-17, 2013
40 마상진, "사회적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 육성과 네트워크 활성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41 전지훈, "사회적경제기업의 정책수요와경제적 성과의 영향관계 분석 -충청남도 사회적경제 기업을 대상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30 (30): 223-250, 2018
42 기영화, "사회적경제 차원의 사회적기업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비교연구" 국제개발연구소 7 (7): 79-108, 2017
43 김정인, "사회적 지원이 조직구성원들의 근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시민행동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6 (26): 331-354, 2014
44 박관규, "비영리민간단체의 지방정부의 정책에 대한 영향력 결정요인: 정책만족도와 정부신뢰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1 (21): 163-197, 2015
45 서울시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마을살이 작은연구" 서울시마을공동체 지원센터 2015
46 여관현, "마을만들기의 추진단계별로컬거버넌스 형성에 관한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395-422, 2017
47 여관현, "마을만들기 추진단계별 주민자치의 실천에 관한 연구 -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263-291, 2015
48 박세훈, "마을만들기 참여 거버넌스의 비교분석 : 제도주의적 접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207-220, 2009
49 박세훈,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운영특성 연구 : 정부-시민사회 관계의 관점에서" 한국도시행정학회 28 (28): 75-104, 2015
50 박수진, "마을만들기 사업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8 (28): 31-51, 2015
51 문종화, "마을만들기 사례분석을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사례를 중심으로" 37 (37): 21-31, 2012
52 최승범, "마을공동체재생 거버넌스를 위한 주민학습체계" 대한지방자치학회 18 (18): 133-151, 2017
53 김성균, "마을공동체의 주민참여 영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 성남 논골을 중심으로" 1-24, 2018
54 송인하, "마을공동체운동의 성공조건과 과제" 14 : 33-64, 2010
55 박태정, "마을공동체사업의 프로그램논리모형에 대한 연구- 서울특별시 강북구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5 (15): 31-55, 2014
56 이기태,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 거래비용이론 관점에서 -" 한국정책학회 25 (25): 455-490, 2016
57 김수영, "마을공동체 형성의 인과구조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9) : 337-381, 2014
58 하현상, "마을공동체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중앙정부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1 (51): 421-459, 2017
59 최진식, "마을공동체 사업의 핵심적 성공요인, 공동체발전 국민포럼" 2015
60 김근혜, "마을공동체 사업의 사회적 성과 창출을 위한 성과 요인 분석: 논산시 ‘동고동락’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8 (28): 139-167, 2018
61 박선희, "마을공동체 사업 성과 측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9) : 285-306, 2014
62 김경화, "마을 만들기의 주민참여 활성화 요인 도출" 한국도시행정학회 28 (28): 267-285, 2015
63 진재문, "마을 만들기 사업을 위한 자치단체의 주민참여 활성화 노력과 삶의 질의 관계: 주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45) : 340-372, 2014
64 김영, "마을 만들기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순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87-108, 2008
65 박수진, "로컬거버넌스 관점에서 지방의제21 마을만들기 실천사업의 고찰 - 푸른광주21협의회의 내집앞마을가꾸기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22 (22): 337-359, 2015
66 박경옥, "도심 마을공동체 내 거주자의 상호작용과 공동체의식 - 성미산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24 (24): 185-204, 2015
67 권정주, "도시재생사업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거버넌스 참여주체별 의사결정 영향력 분석 - 청주시 도시재생사업 의사결정 과정 중심으로 -" 한국도시행정학회 25 (25): 325-343, 2012
68 박세훈, "도시재생 중간지원조직 연구: 정부-시민사회 관계의 관점에서" 국토연구원 2014
69 김상민, "대성동 마을만들기의 거버넌스 특성 분석: 시민참여 및 시민주도의 관점에서" 한국지역개발학회 28 (28): 155-184, 2016
70 김정태, "농촌지역개발 민간컨설팅회사의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농촌지도학회 21 (21): 1-28, 2014
71 성희자, "농촌지역 주민의 사회참여와 공동체의식이 “배타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24 (24): 315-332, 2013
72 여혜진, "근린재생 거버넌스 유형별 중간지원조직 운영특징 연구 - 도쿄, 버밍험, 보스턴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0 (30): 57-65, 2014
73 김의영, "굿 거버넌스 연구 분석틀: 로컬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0 (20): 209-234, 2011
74 김정희, "굿 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대도시의 주민참여행정 비교연구: 부산시와 서울시의 마을만들기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135-170, 2015
75 여혜진, "공공주도 근린재생사업의 로컬 거버넌스 특징 연구" 대한건축학회 30 (30): 91-100, 2014
76 고재경, "경기도 저탄소 녹색마을 중간지원조직 발전방안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2
77 정수화, "경기도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및 운영방안" 경기복지재단 2011
78 양미란, "거버넌스 참여주체별 인식차이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강원도 폐광지역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49-67, 2015
79 장현주, "갈등관리방식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개인특성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0 (50): 23-51, 2012
80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81 Hillery, G. A.,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20 : 111-123, 1955
82 Eagle, Nathan, "Community Computing: Comparisons between Rural and Urban Societies using Mobile Phone Data" 4 : 144-150, 2009
83 김정인, "Case Study of Community-based Collaborative Governance"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289-312, 2011
84 Kertzmann. J. P, "Building Communities From the Inside Out: A Path toward Finding and Mobilizing a Community’s Assets" ACTA Publication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