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ung, C. G., "현대의 신화/아이덴티티" 삼성출판사 1993
2 박수현, "청소년의 연애 심리 치유를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5) : 75-102, 2018
3 고영남, "청소년의 생애목표와 삶의 만족의 관계: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안암교육학회 23 (23): 161-182, 2017
4 Rice, F. P., "청소년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8
5 정옥분, "청년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7
6 허혜경, "청년발달심리학" 학지사 2002
7 이종섭, "장편소설의 교과서 수용 방안 연구: 최인훈의 <광장>을 예로 들어"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7 (57): 67-88, 2009
8 김성진, "인물 중심의 장편 소설 감상 교육 연구 -"광장"에 형상화된 이명준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18) : 425-446, 2005
9 정미영, "삶의 의미의 두 요인에 관한 연구: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기능과 효과"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4 (24): 153-180, 2013
10 정재찬, "문학교육을 통한 개인의 치유와 발달" 한국문학교육학회 (29) : 77-102, 2009
1 Jung, C. G., "현대의 신화/아이덴티티" 삼성출판사 1993
2 박수현, "청소년의 연애 심리 치유를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5) : 75-102, 2018
3 고영남, "청소년의 생애목표와 삶의 만족의 관계: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안암교육학회 23 (23): 161-182, 2017
4 Rice, F. P., "청소년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8
5 정옥분, "청년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7
6 허혜경, "청년발달심리학" 학지사 2002
7 이종섭, "장편소설의 교과서 수용 방안 연구: 최인훈의 <광장>을 예로 들어"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7 (57): 67-88, 2009
8 김성진, "인물 중심의 장편 소설 감상 교육 연구 -"광장"에 형상화된 이명준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18) : 425-446, 2005
9 정미영, "삶의 의미의 두 요인에 관한 연구: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기능과 효과"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4 (24): 153-180, 2013
10 정재찬, "문학교육을 통한 개인의 치유와 발달" 한국문학교육학회 (29) : 77-102, 2009
11 정호웅, "문학교실에서의 「광장」 읽기" 한국문학교육학회 (32) : 39-61, 2010
12 박수현, "도덕과 문학교육 -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고찰 -" 중앙어문학회 64 : 465-500, 2015
13 박수현, "김승옥·최인훈 소설에 나타나는 '내적 분열'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4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5]"
15 김미영, "교양소설로서의 <광장>과 교육적 의미" 한국문학교육학회 (52) : 83-111, 2016
16 최인훈, "광장/구운몽" 문학과지성사 1997
17 한철우, "고등학교 문학" 비상교육 2019
18 정재찬, "고등학교 문학" 지학사 2019
19 류수열, "고등학교 문학" (주)금성출판사 2019
20 방민호, "고등학교 문학" 미래엔 2019
21 김영애, "『광장』의 문학교과서 수록 양상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69) : 113-138, 2018
22 김창원, "2015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국어과 교육과정 발전의 논제 - 영역과 내용 체계" 국어교육학회 51 (51): 5-34, 2016
23 최지현,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문학 교과서의 도전" 청람어문교육학회 (57) : 59-93, 2016
24 박수현, "1970년대 계간지 『文學과知性』 연구" 우리어문학회 (33) : 253-293,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