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학교과서와 정전 교육의 재구성 - 최인훈의 『광장』을 중심으로 - = Literature Textbook and Reorganization of Canon Education - Focused on Gwangjang by Choi In-ho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933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hinks about the teaching methods of the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2015 curriculum about Gwangjang by Choi In-hoon and proposes educational methods for mental growth and psychological healing of adolescents. The literature textbooks show almost similar aspects in the unit, subject, goal of learning and exemplified part. It follows long repeated and inherited education methods.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s for mental growth and psychological healing of adolescents, this paper discovers the universal psychology of adolescents from the main character Lee Myung-joon. As a result, it finds the psychology searching for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endless self-denial and self-centeredness, idealism and so on. It proposes an educational method that provides a link between them and students' psychology.
      번역하기

      This paper thinks about the teaching methods of the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2015 curriculum about Gwangjang by Choi In-hoon and proposes educational methods for mental growth and psychological healing of adolescents. The literature textbooks...

      This paper thinks about the teaching methods of the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2015 curriculum about Gwangjang by Choi In-hoon and proposes educational methods for mental growth and psychological healing of adolescents. The literature textbooks show almost similar aspects in the unit, subject, goal of learning and exemplified part. It follows long repeated and inherited education methods.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s for mental growth and psychological healing of adolescents, this paper discovers the universal psychology of adolescents from the main character Lee Myung-joon. As a result, it finds the psychology searching for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endless self-denial and self-centeredness, idealism and so on. It proposes an educational method that provides a link between them and students' psych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문학교육 정전으로서 확고한 위상을 지닌 최인훈의 『광장』에 대해, 현행 2015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교육 방식을 살펴보고, 청소년의 정신적 성장과 심리 치유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현행 문학교과서들은 『광장』의 수록 단원, 주제, 소단원 학습목표, 지문 등에서 대동소이한 양상을 보여주며, 문학교육 역사상 유구하게 반복·계승되어 온 교육 방식을 추수한다. 청소년의 정신적 성장과 심리 치유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이 논문은 주인공 이명준의 행보에서 청소년의 보편적 심리를 간취한다. 그 결과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아 방황하고 편력하는 심리, 끝없는 자기 부정과 자기중심성, 도저한 이상주의 등을 발견하며, 이들과 학생의 심리가 만나는 접점을 마련하여 학생들이 고통의 보편성을 인식하고 자신과 타인에 대한 통찰력을 얻게 도와주는 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문학교육 정전으로서 확고한 위상을 지닌 최인훈의 『광장』에 대해, 현행 2015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교육 방식을 살펴보고, 청소년의 정신적 성장과 심리 치유...

      이 논문은 문학교육 정전으로서 확고한 위상을 지닌 최인훈의 『광장』에 대해, 현행 2015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교육 방식을 살펴보고, 청소년의 정신적 성장과 심리 치유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현행 문학교과서들은 『광장』의 수록 단원, 주제, 소단원 학습목표, 지문 등에서 대동소이한 양상을 보여주며, 문학교육 역사상 유구하게 반복·계승되어 온 교육 방식을 추수한다. 청소년의 정신적 성장과 심리 치유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이 논문은 주인공 이명준의 행보에서 청소년의 보편적 심리를 간취한다. 그 결과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아 방황하고 편력하는 심리, 끝없는 자기 부정과 자기중심성, 도저한 이상주의 등을 발견하며, 이들과 학생의 심리가 만나는 접점을 마련하여 학생들이 고통의 보편성을 인식하고 자신과 타인에 대한 통찰력을 얻게 도와주는 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ung, C. G., "현대의 신화/아이덴티티" 삼성출판사 1993

      2 박수현, "청소년의 연애 심리 치유를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5) : 75-102, 2018

      3 고영남, "청소년의 생애목표와 삶의 만족의 관계: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안암교육학회 23 (23): 161-182, 2017

      4 Rice, F. P., "청소년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8

      5 정옥분, "청년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7

      6 허혜경, "청년발달심리학" 학지사 2002

      7 이종섭, "장편소설의 교과서 수용 방안 연구: 최인훈의 <광장>을 예로 들어"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7 (57): 67-88, 2009

      8 김성진, "인물 중심의 장편 소설 감상 교육 연구 -"광장"에 형상화된 이명준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18) : 425-446, 2005

      9 정미영, "삶의 의미의 두 요인에 관한 연구: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기능과 효과"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4 (24): 153-180, 2013

      10 정재찬, "문학교육을 통한 개인의 치유와 발달" 한국문학교육학회 (29) : 77-102, 2009

      1 Jung, C. G., "현대의 신화/아이덴티티" 삼성출판사 1993

      2 박수현, "청소년의 연애 심리 치유를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5) : 75-102, 2018

      3 고영남, "청소년의 생애목표와 삶의 만족의 관계: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안암교육학회 23 (23): 161-182, 2017

      4 Rice, F. P., "청소년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8

      5 정옥분, "청년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7

      6 허혜경, "청년발달심리학" 학지사 2002

      7 이종섭, "장편소설의 교과서 수용 방안 연구: 최인훈의 <광장>을 예로 들어"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7 (57): 67-88, 2009

      8 김성진, "인물 중심의 장편 소설 감상 교육 연구 -"광장"에 형상화된 이명준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18) : 425-446, 2005

      9 정미영, "삶의 의미의 두 요인에 관한 연구: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기능과 효과"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4 (24): 153-180, 2013

      10 정재찬, "문학교육을 통한 개인의 치유와 발달" 한국문학교육학회 (29) : 77-102, 2009

      11 정호웅, "문학교실에서의 「광장」 읽기" 한국문학교육학회 (32) : 39-61, 2010

      12 박수현, "도덕과 문학교육 -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고찰 -" 중앙어문학회 64 : 465-500, 2015

      13 박수현, "김승옥·최인훈 소설에 나타나는 '내적 분열'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4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5]"

      15 김미영, "교양소설로서의 <광장>과 교육적 의미" 한국문학교육학회 (52) : 83-111, 2016

      16 최인훈, "광장/구운몽" 문학과지성사 1997

      17 한철우, "고등학교 문학" 비상교육 2019

      18 정재찬, "고등학교 문학" 지학사 2019

      19 류수열, "고등학교 문학" (주)금성출판사 2019

      20 방민호, "고등학교 문학" 미래엔 2019

      21 김영애, "『광장』의 문학교과서 수록 양상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69) : 113-138, 2018

      22 김창원, "2015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국어과 교육과정 발전의 논제 - 영역과 내용 체계" 국어교육학회 51 (51): 5-34, 2016

      23 최지현,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문학 교과서의 도전" 청람어문교육학회 (57) : 59-93, 2016

      24 박수현, "1970년대 계간지 『文學과知性』 연구" 우리어문학회 (33) : 253-293,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1 1.085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