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의 계획ㆍ정책결정 과정으로 살펴본 도시 비공식성과 공식적 거버넌스 메커니즘의 상호작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581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을 도시 비공식성의 담론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 사례를 통해 과거 도시 계획의 규제와 억압의 대상이었던 도시 비공식성이 현재 새롭게 부상하는 도시 계획의 패러다임에 맞추어 어떻게 공식적 거버넌스 메커니즘과 상호작용하는지 상술하고자 한다. 사례 분석을 위해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이라는 새 로운 도시 공간을 만들어낸 서울시 정부를 공식적 권위체로 설정하고 야시장의 플리마켓, 푸드트럭, 거리공연과 이 에 참여하는 행위자들을 도시 비공식성 영역으로 분류했다. 연구를 통해 서울시 정부가 행사를 조직하는 데 있어서 공식적 거버넌스 메커니즘과 절차를 따르기 위해 제도적 기반을 다듬고 도시 비공식성 영역의 자율성을 일정 부분 제약하는 경향이 드러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도시 비공식성 영역의 행위자들이 정부와의 협력적 상호작용 을 통해 적극적으로 도시 비공식성 영역을 유지, 강화시키고자 노력하는 현상에 주목했다. 나아가, 이와 같은 공식 적 거버넌스와 도시 비공식성 간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지는 공통의 합의가 도시 공간에 대한 상호 호혜적인 기대 를 형성하게 만들며 그 결과로 보다 역동적인 서울밤도깨비 야시장이 만들어졌다고 결론지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을 도시 비공식성의 담론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 사례를 통해 과거 도시 계획의 규제와 억압의 대상이었던 도시 비공식성이 현재 새롭게 부상하는 도시 계...

      이 연구는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을 도시 비공식성의 담론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 사례를 통해 과거 도시 계획의 규제와 억압의 대상이었던 도시 비공식성이 현재 새롭게 부상하는 도시 계획의 패러다임에 맞추어 어떻게 공식적 거버넌스 메커니즘과 상호작용하는지 상술하고자 한다. 사례 분석을 위해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이라는 새 로운 도시 공간을 만들어낸 서울시 정부를 공식적 권위체로 설정하고 야시장의 플리마켓, 푸드트럭, 거리공연과 이 에 참여하는 행위자들을 도시 비공식성 영역으로 분류했다. 연구를 통해 서울시 정부가 행사를 조직하는 데 있어서 공식적 거버넌스 메커니즘과 절차를 따르기 위해 제도적 기반을 다듬고 도시 비공식성 영역의 자율성을 일정 부분 제약하는 경향이 드러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도시 비공식성 영역의 행위자들이 정부와의 협력적 상호작용 을 통해 적극적으로 도시 비공식성 영역을 유지, 강화시키고자 노력하는 현상에 주목했다. 나아가, 이와 같은 공식 적 거버넌스와 도시 비공식성 간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지는 공통의 합의가 도시 공간에 대한 상호 호혜적인 기대 를 형성하게 만들며 그 결과로 보다 역동적인 서울밤도깨비 야시장이 만들어졌다고 결론지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on the discourse of urban informality. Within this case,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how urban informalities, that once was regarded as troubles to be regulated or discarded in urban spaces, interact with formal governance mechanisms under a new paradigm of urban planning. To closely look into the this case, the author sets the city government as a formal authoritative agent that makes spatial policies regard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urban space,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while categorizing the internal sectors—flea market, food trucks and street performance— and each players into urban informality. Although the research has found out that the city government did somehow limited the autonomy of urban informalities while engaging in formal governance mechanisms and procedures, it was proven clear that urban informal player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collaborative interaction with public agents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ir own territory without being formalized. Furthermore,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formal governance mechanisms and urban informalities create common agreements and positive expectations which eventually succeeded in designing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into a more dynamic urban space.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on the discourse of urban informality. Within this case,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how urban informalities, that once was regarded as troubles to be regulated or discarded in urban spaces, in...

      This paper analyzes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on the discourse of urban informality. Within this case,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how urban informalities, that once was regarded as troubles to be regulated or discarded in urban spaces, interact with formal governance mechanisms under a new paradigm of urban planning. To closely look into the this case, the author sets the city government as a formal authoritative agent that makes spatial policies regard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urban space,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while categorizing the internal sectors—flea market, food trucks and street performance— and each players into urban informality. Although the research has found out that the city government did somehow limited the autonomy of urban informalities while engaging in formal governance mechanisms and procedures, it was proven clear that urban informal player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collaborative interaction with public agents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ir own territory without being formalized. Furthermore,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formal governance mechanisms and urban informalities create common agreements and positive expectations which eventually succeeded in designing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into a more dynamic urban sp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의 이론적 배경
      • 1) 도시 비공식성(urban informality) 패러다임의 전개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의 이론적 배경
      • 1) 도시 비공식성(urban informality) 패러다임의 전개
      • 2) 도시 계획(urban planning)과 거버넌스
      • 3) 도시 비공식성을 다루는 도시 계획
      • 3. 사례 소개
      • 4. 사례분석
      • 1)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의 도시 비공식성 영역
      • 2)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의 계획·정책수립과정에서 나타나는 도시 비공식성과 공식적 거버넌스 메커니즘 간 상호작용 양상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