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누로 손씻기는 감염병 예방을 가장 기초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의 약 50∼70%, 폐렴, 농가진, 설사질환의 40-50% 이상을 예방하며, 특히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출...
비누로 손씻기는 감염병 예방을 가장 기초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의 약 50∼70%, 폐렴, 농가진, 설사질환의 40-50% 이상을 예방하며, 특히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출현 또는 재출현하는 사스, 인플루엔자, 감기, 콜레라, 이질, 유행성 눈병 등 대부분의 감염병이 손씻기로 예방 가능하다. 그러나 국민들의 인식과 실천이 미흡하며, 장단기 사업운영 모형의 개발, 조사감시사업, 평가사업 등 사업 인프라 확충과 사업 운영체의 조직 등을 기초로 추후 지속가능한 사업운영 틀 및 체계의 개발이 필수적이며, 사업의 운영관리에서 전략적, 체계적 운영관리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주요 감염병의 일차예방 수단인 건강행동 “비누로 손씻기”사업의 전략개발을 위한 대국민 실태조사와 지속가능한 실천률 향상 방안, 사업 수행체계 등을 도출, 개발함에 있다. 이를 위해 진행된 연구내용과 범위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누로 손씻기 사업에 대한 관련문헌 및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비누로 손씻기프로그램 및 사업의 보건학적, 의학적 근거 등을 제시하였으며, 현행 비누로 손씻기 프로그램 및 사업의 개선방안과 발전과제를 도출하였다. 둘째, 국내 손씻기 관련사업의 현황, 수인성 및 식품매개성질환의 발생현황, 손씻기 실태 및 인식조사 등을 파악,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손씻기 사업 체계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제안, 그리고 개괄적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결과를 요약하고,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셋째, 손씻기 행동조사를 중심으로 손씻기의 측정 등 국내외 사례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행 조사사업 및 조사수행체계를 검토하고, 조사대상 및 방법의 내용개발, 조사내용 표준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넷째, 문제분석의 결과에 따른 조사내용을 개발하고, 국민(19세 이상 성인), 학생(초등 4학년∼고등 3학년), 화장실 시설 및 손씻기 행동 실태조사를 수행하여, 손씻기 사업의 인지 및 지식, 태도, 행동실태 등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우리나라 손씻기 홍보 현황분석과 홍보사업에 대한 전문가 및 표적 집단의 FGI 등을 통하여 홍보 전략을 개발, 제안하였다. 여섯째, 우리나라의 손씻기 사업의 향후 지속가능한 사업의 전략을 수립하고, 수행체계개선 방안을 도출하였고, 사업의 모니터링 및 평가지표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 제안된 조사수행체계와 사업의 전략 등은 향후 우리나라 “비누로 손씻기 사업 및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지속가능한 사업체계 및 사업 전략 등의 적용가능성을 확보하였다.